View : 489 Download: 0

The Gender Equality Aid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Australia

Title
The Gender Equality Aid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Australia
Authors
윤희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ennifer Sejin Oh
Abstract
As gender equality is seen as a crucial cross-cutting issue in achieving SDGs, donor countries are trying to mainstream gender in their aid. Due to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inequalities, including gender inequalities, are intensified, and SDGs' progress is in danger of being pushed back, making mainstreaming gender in ODA even more critical in maintaining the hard-earned progress. Korea and Australia are donor countries that are trying to mainstream gender in aid to achieve SDGs. Both countries have similar ODA volumes and prioritize neighboring Asian regions but have an opposite trend in gender equality targeting aid ratio as Korea's gender equality aid are slowly rising, and Australia's is decreasing with ups and downs in recent years. So, this thesis examined the two countries' strategies on gender equality aid strategie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the 2010s and tried to find the factors that deter each country from successful gender mainstreaming in their ODA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conditions. This thesis found that the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factors which hinder mainstreaming gender in ODA. The analysis revealed that Korea had an issue with coordination as Korea has over 40 aid agencies. On the other hand, Australia seemed to be having trouble meeting the ends with a decreased budget. Accordingly, the recommendations for Korea were the CIDC setting a target for gender equality aid ratio and establishing a guideline for gender mainstreaming of aid, and conducting gender mainstreaming training for ODA personnel in each ministry. Recommendations for Australia were to increase the ODA budget, form a committee to coordinate the aid by other departments, and, if necessary, additional employment of gender specialists.;성 평등이 SDGs를 달성하는 중요한 범분야 문제로 간주됨에 따라 공여국들은 원조를 성주류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성 불평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SDGs가 이룬 발전이 역행할 위험에 처해 있다. 그렇기에 ODA에서 성 주류화는 어렵게 이룬 진보를 유지하는 데 있어 더욱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SDGs의 달성을 위하여 한국과 호주는 원조의 성 주류화를 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공여국들이다. 두 국가는 비슷한 원조 규모 및 중점 지역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성 평등 ODA의 지원이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호주는 최근 몇 년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전반적으로는 감소하는 추세로, 성 평등 ODA 비율의 추세가 한국과는 반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0년대 성 평등 원조 전략과 실제 결과에 대해 살펴보고, 성공적인 성 주류화를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두 국가의 성 주류화 ODA를 저해하는 요인이 각기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국의 경우 40여 개 집행기관이 있어 성 주류화에 대한 조정에 문제가 있는 반면, 호주는 2015~2016년부터 축소된 예산으로 인해 예전과 같은 수준의 성 평등 ODA 비율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경우,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서 성 평등 원조 비율 목표 설정 및 원조의 성 주류화 가이드라인 제작, 각 부처 원조 담당자 대상 성 주류화 연수 진행 등을 권고하며, 호주의 경우 원조의 증액 및 다른 부처와의 원조 조정 역할의 위원회 구성 및 젠더 전문가의 추가 고용 등을 권고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