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조선전기 官窯白磁의 器皿體系와 성격

Title
조선전기 官窯白磁의 器皿體系와 성격
Authors
윤효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thesis examines the material and written records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of the royal kilns to comprehend the porcelain’s formal features and actual usage. White porcelain are the representative ware of dynasty and this examination sheds light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syste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ough royal kiln white porcelain have been a beloved research topic and central to studies of Joseon-dynasty porcelain, the scholarship primarily focuses on inscribed white porcelain and the operation of the royal kiln. There has yet to b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into royal kiln white porcelain itself and the manner in which their forms were selected, named, and utilized. Hence this thesis concentrates on form, production, and usage of royal kiln white porcelai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to buncheong ware and early white porcelain produced in local kilns, their connection to porcelain of Yuan and Ming dynasties, and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archival materials including personal records. First, by considering the domestic and transcontinental context of the early Joseon dynasty, one can determine the context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system. In connection to tributes to the Ming dynasty, the Joseon court banned the use of metal which caused a greater demand for white porcelain. Also the porcelain produced in the Ming royal kilns generated a new appreciation that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white porcelain as the representative, official ware of the Joseon dynasty. Moreover, the forms and use of Joseon white porcelain were rooted in ritual hierarchies that corresponded to the dynasty’s founding Confucian ideology. Following Ming Confucian rites, in addition to ancestral rites, Joseon rituals were reorganized around drinking courtesy bringing about a rise in status of Joseon white porcelain used in banquets and ceremonies including both wares for ancestral rites(祭器) and drinking ware (酒器). Excavations and records confirm that a bureau called Saongwon (司饔院), that oversaw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oyal kiln, was established in 1467 during a time of large-scale government reform and restructuring. Saongwon was not only a consolidation of Saseonseo (司膳署) and Saongbang (司饔房), agencies that were in charge of palace cuisine, but also absorbed Sajunwon (司樽院), the bureau that oversaw government ceremonies and controlled the gold and silver drinking ware. Through this multilateral merge, Saongwon became a powerful organization that supervised the cuisine for the royal family, the production and usage of white porcelain, the management of ceremonial government wares, and other duties related to the menu and meals of the palace. Although the government decided create an official kiln before 1466, with the establishment of Saongwo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kiln started in earnest. During 1470~1480s, officials of the Saongwon were dispatched forming a system for the inspection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and the designation of forest areas for kiln firewood. As such, it is likely that the reorganization and new system of the royal kiln was complete by the 1490s. Excavations of royal kilns demonstrate that two kinds of white porcelains were produced: tableware and specialty wares. The majority were tableware and less than 30% were of specialty wares. Also noteworthy is that 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royal kiln were differentiated by quality and the forms were systemized. Thus, in the royal kiln, depending on quality, white porcelain were produced in differing methods, sizes, and forms, which reflects a hierarchy in ware types. A high quality porcelain has an inverted triangle bottom with fine sand applied for easier separation after firing. In contrast, low quality porcelain has a jukjeolgup [bamboo-shaped bottom] and applied clod--two techniques also utilized in local porcelain kilns. The inverted triangle bottom, a newly adopted shape in the royal kiln, implies an affinity with the white porcelain and blue-and-white porcelain produced during the Xuande period of Ming. It is assumed that the wares gifted by Emperor Xuande (r. 1425-35) in early Joseon were the models for the newly produced high quality porcelains. Additionally, compared to diversity in the speciality wares made in the provinces in early Joseon, the royal kiln porcelain have an overalll unity and consistency in form, which is another significant feature of the royal kiln white porcelain. Examining the material and written records with regards to the forms and usage of royal kiln white porcelain of early Joseon, bowl (bal), dish, small bowl (bo-a), and small dish (jongja) are the representative type of the tableware. Some forms that have been classified as cup should be re-categorized as small bowl (bo-a) or small dish (jongja). In addition, this thesis offers a new interpretation that the inscriptions on high quality white porcelain tableware were applied to demarcate usage. Inscribed high quality white porcelain from the royal kiln were one of the ritual wares used in royal funerals and royal ancestral rites. In particular, in relation with food for the ancestral rites, inscribed white porcelain bowls and dishes are classified as soup bowls, fruit dishes (or side dish containers), and noodle bowls. A close examination of the forms of speciality wares and the historical records listing the names and usage of these wares reveal large categories: drinking ware (酒器), tea ware (茶器), basins [盥洗器], and incense ware (香器). Drinking ware consist of standing jars, bottles with wide mouth, flattened bottles, jang-gun, cups with two handles, flower-shaped cups, and outward dishes. Stem cups and cup-stands are tea ware and large bowls, large dishes, and bowls with short spout are basins. Incense burners and incense covered bowls are incense ware. The features of the standing-jars, cups with two handles, flower-shaped dishes, and outward dishes, representative shapes of the drinking ware, reflect a connection to Ming-dynasty porcelain. The thesis concludes that the production and forms of early Joseon royal kiln white porcelain reflect various influences and factors. The royal kiln produced tableware, drinking ware, basins, incense ware, and floral-decoration ware and also wares for ceremonial and ritual use. Henc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oyal kiln white porcelain were rooted in Confucian philosophy and rituals. Moreover, the specialty ware were produced to exemplified formal rules and rituals that reflected hierarchy. Royal kiln white porcelain demonstrate traits from Goryeo celadon and buncheong ware, while at the same time inspiration from Ming-dynasty porcelains particularly drinking ware. This illustrates that the royal kiln in early Joseon actively embraced new styles and incorporated changes into the traditional forms from Goryeo. The royal kiln sought to produce high quality white porcelain that were unembellished and austere in order to reflect ideals Confucian rites and established white porcelain as the ware of the Joseon dynasty.;본 논문은 朝鮮前期의 官窯에서 제작된 白磁器皿에 대한 연구로 유물과 기록을 토대로 각 기명의 조형적 특징과 실제적인 쓰임을 규명하여 조선왕실의 국용기를 대표하는 관요백자의 기명적 체계와 성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요백자는 조선백자를 대표하는 존재로 특히 조선전기에 관요에서 백자로 제작된 기명들은 국용기로 선택된 백자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조선전기 관요백자에 대한 연구는 관요의 운영체제와 명문백자에 집중되었고, 기명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때문에 조선백자를 대표하는 기명의 상당수가 조형적 근거나 當代의 명칭, 그리고 구체적인 쓰임 등 그 실체가 불분명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전기의 관요백자, 특히 왕실기명으로 관요백자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양질백자를 대상으로 유물과 기록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통해 조선 관요백자의 기명적 체계와 성격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였다. 특히 기명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분청자 및 초기백자와의 관계, 그리고 중국의 元・明代 器皿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 생활사 자료를 포함한 문헌자료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전기에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의 조형적 근거와 제작 및 사용의 양상, 그리고 당시의 구체적인 쓰임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선 초 백자의 새로운 기명체계가 성립되는 배경을 당시의 대내외적 상황을 통해 살펴본 결과, 對明關係 및 明 磁器의 영향이 조선전기 관요백자의 성립과 전개에 중요한 배경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對明 金銀歲貢은 조선 왕실에서 금은기의 사용을 억제하고 백자의 사용을 확대하는데 강력한 영향을 제공하였다. 또 세종연간에 전래된 宣德帝가 賜與한 官窯産의 백자와 청화백자는 조선왕실에서 고급자기로서 백자를 새롭게 인식하고 국용기로 선택하는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선덕제의 賜與品으로 전래된 明의 관요자기는 조선 관요백자의 조형과 양식의 직접적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이 큰데, 왕실기명으로 제작되는 양질백자에서 새롭게 채택한 역삼각형굽과 가는 모래받침도 선덕연간 자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와 함께 조선 초 대명의례가 酒禮를 핵심으로 개편되어 본격 시행되면서 酒器의 위상이 강화되어 연향용 의례기의 핵심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明의 酒器가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관요백자에서도 주기에 해당하는 기명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관요체제의 성립과정과 백자기명의 제작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요의 운영을 담당한 司饔院의 성립은 왕실의 음식을 담당한 司膳署와 司饔房 뿐 아니라 儀禮의 執事 및 金銀酒器의 관리를 담당했던 司樽院까지 포함하는 다각적 통폐합 통해 과정을 거쳤던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옹원은 御膳支供과 闕內供饋, 왕실기명의 제작과 관리, 進酒․進茶․進膳과 관련된 의례에서의 執事 업무까지 포함하는 왕실의 음식과 기명에 관한 제반 업무의 통합적 담당관사로 거듭나게 되었다. 특히 사옹방의 주축이 된 司饔 諸員은 良人출신의 身役者들이 중심이 되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파악하였다. 또 관요의 설치는 1466년 이전 결정되었지만 체제정비는 사옹원의 성립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1470년대~1480년대에 司饔院의 官員이 파견되어 白磁를 監造하는 시스템과 燔木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司饔院의 柴場이 設定되었고, 1490년대에 이르러 官窯의 體制는 完備가 되어 왕실용 백자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게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마터 출토품의 분석하여 관요의 백자기명 제작양상을 살펴본 결과, 관요의 생산품은 飯床器皿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였고 特殊器皿은 전체의 30%미만으로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品等의 區分과 造形의 體系化는 관요에서 나타난 백자의 새로운 제작 양상으로 파악되었다. 관요에서는 백자를 品質에 따라 굽의 형식과 번조받침, 그리고 크기를 구별하여 제작하였다. 또 器皿別로 定型化된 조형의 대표 형식을 선택하여 제작함으로써 관요백자는 전체적인 조형의 통일성과 체계성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관요에서의 백자 제작은 이원적 체계로 이루어졌다. 즉, 良質의 백자는 역삼각형굽과 가는모래받침을 새롭게 도입하여 제작한 반면 조질의 백자는 지방에서 경질백자의 제작에 사용한 죽절굽과 태토빚음받침을 그대로 채택하였다. 조선전기의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기명의 조형과 용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상기명의 경우 조선전기에도 발과 접시 외에 甫兒와 鍾子가 飯床器로 사용된 대표 기명임을 확인하고, 현재 盞으로 분류되는 유물 중 반상기인 보아와 종자에 해당하는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 조선전기에 양질백자 발과 접시를 대상으로 표기된 天․地․玄․黃으로 대표되는 字號의 銘文은 祭祀用 器皿에 대한 구분의 標式으로 명문이 표기된 백자가 朝鮮王室의 俗祭 및 凶禮에 사용된 祭器일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특히 俗祭 및 凶禮의 奠과 祭에 사용된 祭需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명문이 표기된 백자발과 백자접시(口緣外反形과 口緣內彎形)는 湯器․果器[饌器]․麵器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한편 특수기에 해당하는 여러 기명들의 조형적 근거와 名稱 및 用度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입호․옥호춘병․편병․장군, 그리고 쌍이잔․화형잔․전접시는 酒器, 고족배와 잔탁은 茶器, 대발․대반․주구발은 水器[盥洗器], 향로와 향합은 香器에 해당하는 기명으로 드러났다. 특히 연향에 사용된 酒器와 茶器를 중심으로 明 도자의 조형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그 외에 水器․香器 등은 고려청자 및 분청자의 조형전통을 계승하면서 세부 조형의 변화를 시도한 특징을 확인하였다. 백자기명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조선 관요백자의 기명체계와 성격을 파악하였다. 첫째, 조선 관요백자의 기명적 체계는 禮器에 근간을 둔 것으로 백자기명들은 禮器로서의 쓰임에 부합하는 정형화된 조형의 規式을 토대로 제작되었다. 관요의 양질백자는 食器․酒器․水器[盥洗器]․香器․花器에 해당하는 器皿을 포함하면서 祭祀에 사용되는 祭器와 宴饗에 사용되는 宴器(燕器)의 구성을 포괄적으로 아우르고 있다. 결국 조선의 왕실백자는 祭器와 宴器가 두 축을 이루는 儒敎 禮器의 본질을 충실히 따르면서 祭祀와 宴饗을 위한 기명들을 위주로 새롭게 구성되었던 것이다. 둘째, 조선의 관요백자는 왕실기명에 부합하는 고품질과 절제된 조형과 함께 장식의 절제 경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관요의 백자기명들은 문양이 없는 무문백자가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면서 청화나 철화를 사용한 문양은 酒器에 국한되어 극히 제한적으로 시문되었다. 또 개별 기명의 조형은 청자나 분청자의 조형을 계승하면서도 장식을 배제하고 보다 단순된 형태를 지향하였다. 결국 조선의 관요백자는 문양을 꾸미지 않은 단순하고도 질박한 그릇을 지향하였고, 이것은 禮器의 본질에 부합하는 素器와 尙質이라는 古禮의 이상을 실천적으로 구현한 것이었다. 셋째,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기명들은 대명관계와 관련된 연향기의 핵심이 된 食器와 酒器를 위주로 明 陶磁 器皿의 새로운 조형과 양식을 선택적으로 수용한 반면 그 외에는 고려청자 및 분청자의 조형 전통을 계승한 것이 특징이다. 조선의 왕실백자는 명 도자의 신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한편 고려시대 이래의 전통적 조형을 토대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독자적 조형을 모색하고 이를 완성시켰던 것이다. 결국 조선왕조는 국가의 근본으로 삼은 유교이념을 왕실기명으로 선택한 백자를 통해 실천적으로 투영하였던 것이고, 관요의 백자는 그것을 명징하게 보여준다. ;本论文是一篇对朝鲜前期官窑制造白瓷器皿进行的研究。在文物和记录的基础上对各器皿的造型特征和实际用途进行全盘了解,目的是为了探讨代表朝鲜王室国用器皿的官窑白瓷器皿体系和性质。 朝鲜前期的官窑白瓷作为朝鲜时代陶瓷史的核心主题一直备受关注,但迄今为止相关研究一直偏重于官窑的经营管理系统及铭文白瓷。而关于官窑白瓷器皿本身的正式研究相对滞后,代表朝鲜白瓷的器皿究竟以何种造型依据被选择,当时被称为何种名称,被用作何种用途,很多时候得不到准确判断。对此,本论文以朝鲜前期官窑白瓷为中心,从多方面探讨了与粉青瓷和地方窑早期白瓷的关系,以及与中国元明代陶瓷器皿的关系。通过对官方史料和包括个人记录在内的文献资料进行的全面研究,具体阐明了朝鲜时代官窑白瓷当中代表性器皿的造型、制作、使用情况和实际用途。 首先,通过朝鲜初期的对内外情况看白瓷新器皿体系的成立背景,结果表明,对明朝岁贡相关金属器使用的控制成为白瓷使用增多的直接契机。并且从明朝传来的明官窑瓷器很有可能对白瓷产生新的认识并选择为国用器皿有决定性影响。另外,朝鲜初期通过整顿国家礼仪建立的符合儒教理念的礼器体制,是白瓷器皿体系和造型样式的基础,随着朝鲜以酒礼为中心重组对明礼仪,酒器的地位也有所提高。因此,朝鲜的白瓷是由祭器和酒器为中心的宴器为主轴被重新构成的。 通过对文献记录和出土文物分析官窑体制的成立和白瓷器皿制作样式的结果显示,官窑的管辖机关兼运营工作的司瓮院是在朝鲜初期官制改编的大框架下成立的。不仅统合了负责饮食的司膳署和司饔房,甚至负责管理儀禮和金银酒器的司樽院的业务也被接管。经过多方面的整合,司翁院负责御膳和阙内饮食的供馈,国用白瓷的制作和管理,还负责国家礼仪及礼仪器的管理,名副其实地成为担当御膳及内膳相关一切事务的综合性机构。另外,官营沙器所的设立决定于1466年以前,因此1467年司饔院成立,官窑体制正式开始构建。1470至1480年代,受派遣的官员设定了白瓷的监造系统和柴場,到了1490年代,官窑的新体制很有可能已经整顿完成。通过窑址出土品分析官窑白瓷器皿的制作情况,发现官窑产品由餐具(飯床器皿)和特殊器皿两部分组成,但特殊器皿仅占全部的30%,绝大多数为餐具(飯床器皿)。此外,官窑的新制作形式上值得关注的是白瓷的质量分化和造型的系统化。即在官窑按照白瓷的品级来制作,白瓷在制作上根据品质的不同,通过使用不同的烧造方式和制作出不同的大小,明确体现器皿的等级。优质白瓷新引进了倒三角形足(足端尖)和细沙土支烧点的方式制作而成。而粗质白瓷的制作继承了地方窑在制作硬质白瓷时正式使用的竹节形足跟胎土支烧点这一方式。值得一提的是,官窑新采用的倒三角形足(足端尖)与宣德年间制作的白瓷及青花白瓷的底部在样式上具有亲缘性。因此,朝鲜初期宣德帝的赏赐品很有可能成为官窑里新制优质白瓷造型和样式的直接模型。并且朝鲜初期地方上各民窑还制作了各式特殊器皿,皆按照官窑各器皿定型样式的标准制作而成,在造型上具有整体统一性。这也是官窑白瓷的另一大特点。 通过文物和记录分析朝鲜前期官窑制作的白瓷器皿的造型和用途的结果表明,在朝鲜前期,钵、碟子、甫儿、宗子是餐具(飯床器皿)的代表器皿。并且显示出了在目前分类为盏的文物中作为餐具(飯床器皿)使用相当于甫儿和宗子的器皿类型。在优质餐具(飯床器皿)中标记铭文的是为了区别用途,即区别包括宴器在内的御器和祭器的标识。由此本文新提出了包括铭文白瓷在内的官窑优质白瓷是王室的俗祭及凶礼上使用的祭器的可能性。特别是从同俗祭和凶礼的奠和祭中所使用祭祀用品的关系来看,标有铭文的白瓷钵,白瓷碟(外撇形、 内收形)可能是分别被用作汤器,果器[馔器],面器。另一方面,通过具体分析包括特殊器皿在内的各种器皿造型和记录,具体掌握了当时的名称和使用情况。结果可以发现立壶、玉壶春瓶、扁甁、缶、双耳盏、花形盏、平口碟为酒器,高足杯、盏托为茶具,大钵、大盘、注口钵为水器[盥洗器],香炉和香盒为香器的具体用例。特别是以立壶、双耳杯、花形杯、平口碟为代表的酒器积极采用明朝瓷器造型的特征十分明显。 通过以上讨论整理,朝鲜前期官窑白瓷的器皿体系和性质如下。朝鲜前期官窑制作的白瓷包括食器、酒器、水器[盥洗器]、香器、花器等器皿种类,具有与宴器祭器等礼器构成相吻合的特点。由此可见,官窑白瓷的器皿体系是以儒教理念为基础整顿的礼器体系作为主干构建,各器皿均以符合礼器用途的定型造型规范为基础制作而成。并且,朝鲜前期的官窑白瓷的特点是继承了高丽青瓷和粉青瓷的造型传统,以酒器为主,有选择地采用明代陶瓷器皿的新造型和样式。这表明,朝鲜前期的官窑白瓷在积极接受明朝陶瓷的新样式的同时,还对高丽时代以来的传统造型尝试进行细节的改变,从而摸索并完成了朝鲜的独特造型。最后,朝鲜的官窑白瓷采用符合王室器皿的高品质与低调的造型,并不进行纹样装饰,而是通过最简单的形态追求质朴,从而将素器和尙質之祭器为核心的礼器本质和古礼理想体现得淋漓尽致。;本論文は、朝鮮時代前期に官窯で製作された白磁の器皿に関する研究である。遺物と記録をふまえて、造形的特徴と実際の用途を明らかにし、朝鮮王室の国用器を代表する官窯白磁の器皿体系およびその性格の把握を試みた。 朝鮮時代前期の官窯白磁は、朝鮮時代をめぐる陶磁史研究において核心的テーマとして多くの関心を集めてきた。しかし現在までの研究は、官窯の運営体制、そして銘文白磁に偏っており、官窯で製作された器皿をめぐる研究は未だ本格的に行われていない現状である。そのため官窯で製作された白磁の器皿の多くは、造形的根拠や同時代における名称、具体的な用途について不明な点が多数残されている。本論文では、朝鮮時代前期の官窯白磁を対象として、粉青磁や地方窯で製作された初期白磁との関係、そして元・明代器皿との関係を多角的に考察し、個人の記録を含む文献資料についての包括的な検討を試みた。この検討を通して、朝鮮時代前期に官窯で製作された白磁の造形的根拠、そして製作・使用の様相、そして当時の具体的な用途を確認した。 まず朝鮮時代初期における内外状況の検討を通して、白磁の器皿体系の成立背景を新たに見出すことができた。具体的には、まず明朝への金銀歳貢が、朝鮮王朝において金属器の使用抑制につながり、白磁の使用を拡大する重要な契機となったと考えられる。そして明との関係のなかで伝来した明代官窯白磁と青花が、新たな認識をもたらし、白磁を新たな御用器として選択する直接的な影響を与えた。いっぽう朝鮮時代前期に国家儀礼を整備するなかで儒教理念に合致する礼器の体系が樹立され、朝鮮時代を通じて官窯白磁の造形と様式の根幹をなしたことを指摘した。そして酒礼を中心に構成された対明儀礼が本格的に施行されるなか、酒器の位相が高まり、朝鮮時代の官窯白磁が宴器と祭器を中心に新たに構成されるうえで影響を与えたとした。 つづいて文献記録と出土遺物に基づき、官窯体制の成立過程と白磁の器皿の製作様相を考察した。官窯の運営を担当した司饔院の成立は、朝鮮時代初期に推進された官制改編の枠組みで進められた。王室の飲食を担当した司膳署や司饔房だけではなく、儀礼の執事や金銀酒器の管理を担当した司樽院の統合もまた、同時に行われたことを新たに確認した。その結果、司饔院は、王室の御膳の支供、宮闕内の供饋、御用白磁の製作と管理、国家儀礼の執事、そして儀礼器の管理まで担当することになり、御膳と内膳に関するすべての業務を遂行する統合官司として変貌を遂げる。いっぽう官窯の設置は1466年以前に決定され、司饔院が成立した1467年以降、官営の生産体制が整備され始めた可能性が高い。そのような背景のもと1470~80年代に司饔院の官員が派遣され、白磁「監造」(製作の監理)のシステムが整備された。さらに薪を安定的に供給するために司饔院の柴場が公式に設定され、1490年代に至ってようやく完備された官窯体制下で、王室白磁が本格的に製作され始めたことを推定した。さらに窯跡の出土品を通じて、官窯における白磁の製作様相を考察した結果、官窯の主力生産品は飯床の器皿であり、特殊器皿の比率は全体の30パーセント未満に過ぎないことが分かった。また品等の区別と造形の体系化は、官窯に新たに登場する白磁の製作様相として注目される。官窯では、白磁の品質に応じて高台の形式と目跡、そして大きさを変えて製作した。各器皿に応じて定型化された形式を選択する製作がおこなわれるなか、白磁の造形に全体的統一性が備わった。とくに官窯で新しく製作された良質白磁は、断面が逆三角形の高台、細かい砂の目跡を選択した。いっぽう粗質白磁は、地方窯の硬質白磁と同様の竹の節高台、胎土目の目跡を用いた。そのような様相のなかで官窯の良質白磁に確認できる逆三角形断面の高台は、明代・宣徳年間に製作された白磁および青花の高台と極めて類似しているということを新たに指摘した。つまり朝鮮時代初期の官窯は、宣徳帝の賜与を通じて伝えられた明朝の官窯磁器をモデルとして、王室用の良質白磁を製作したのである。 さらに遺物と記録の検討を通して、朝鮮時代前期における官窯白磁の造形と用途を次のように捉えた。まず朝鮮時代後期と同様、前期においても鉢・皿・甫兒・鐘子が飯床器として使用された代表的器皿であることを確認し、また「盞」と分類されている遺物のうち、飯床器である甫兒と鐘子の該当する類型を提示した。また朝鮮時代前期において良質白磁に属する鉢と皿を対象として、表記された「天」「地」「玄」「黄」に代表される字号の銘文が祭祀用器皿についての区分の標識であり、銘文が記された白磁が朝鮮王室の俗祭や凶礼に使用された祭器である可能性を新たに提示した。とくに俗祭および凶礼の奠と祭に用いられた祭需との関係を検討した結果、銘文が表記された白磁鉢と白磁皿(口縁外反形、口縁内湾形)は、それぞれ湯器、果器(饌器)、麺器の用途で用いられた可能性が推定される。いっぽう特殊器皿に含まれる多様な器種をめぐって、造形的根拠を検討すると同時に、記録をもとに名称と用途を考察した。その結果、立壺、玉壺春瓶、扁壺、俵壺、双耳盞、花形盞(葵花盃)、鍔縁皿(盞台)は酒器、そして高足盃と盞托は茶器、さらに大鉢、大盤、注口鉢は水器(盥洗器)、最後に香炉と香合は香器として用いられた器皿であることを指摘した。とくに立壺、双耳盞、花形盞(葵花盃)、鍔縁皿(盞台)に代表される酒器を中心として、明代磁器の造形を積極的に反映した特徴を確認した。 以上の分析と検討を通して把握した、朝鮮時代前期における官窯白磁の器皿体系とその性格をまとめるならば、以下の通りである。朝鮮時代前期における官窯白磁は、食器・酒器・水器(盥洗器)・香器・花器に該当する器皿を含む祭祀用の祭器と、宴饗に使用される宴器(燕器)の構成を包括的に併せもっている。また官窯白磁において素文白磁が絶対的な割合を占めており、文様の装飾は酒器に限って極めて制限的に施された。つまり官窯で製作された王室白磁は、儒教理念に立脚した礼器を根幹として器皿体系が新たに構築され、礼器としての用途に合致する定型化された造形規範に基づいて製作されたのである。いっぽう官窯で製作された白磁の器皿は、高麗青磁、粉青磁の造形的伝統を継承しながら、酒器を中心に明代陶磁の造形と様式を選択的に受け入れた点を特徴として指摘できる。朝鮮王朝の白磁は、高麗青磁以来の伝統をもとに明代陶磁の新様式を積極的に受容し、独自的な造形を模索して完成した。つまり朝鮮王朝の官窯白磁は、王室の器皿に符合する高品質かつ節制の造形を採択しながらも文様で飾らない、単純でありながら質朴な器を追求した。このような装飾の排除と節制した造形は、古礼に立脚した礼器の本質に符合する素器と尚質の理想を実践的に具現したものといえる。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