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Title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Other Titles
Korean Feminist Design Studies and Practices Analysis : 1990-2018
Authors
김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간 축적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를 아카이브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배경이 되는 2015년 한국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문화예술계에는 2016년 10월 ‘#○○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이 있었다. 이에 디자인계의 반성을 촉구하는 디자이너들이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WOO)’을 발기했으며, 연구자는 본 모임의 대표로 활동하는 가운데 경험했던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학위 논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큰 주제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과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 분석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영미권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역사와 경향성, 미술과의 관계 속에 디자인 프랙티스의 역사와 의미를 다뤘다. 페미니스트 미술의 사례들로부터 내용에 따른 분류 유형을 ‘정치적 실천’, ‘여성성 강조’, ‘이분법 해체’로 나누었다. 기법면에서의 특징은 ‘장식・공예’, ‘가사(家事)’, ‘텍스트(text)’, ‘부드러운 재료’, ‘신체’로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했다. Ⅲ장에서는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를 분석했다. 1990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국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를 학술지, 석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으로 분류했으며 연구 범위는 시각, 제품, 패션, 건축 분야를 포함하여 아카이브하고, 이에 대한 시대별, 분야별, 저자별 특징을 분석했다. Ⅳ장의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의 분석에 있어서는 좀더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의 범위를 연구자가 속한 디자인 분야인 시각 디자인으로 한정했다.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 분석을 위한 선결 사항으로 한국 여성 디자이너의 작업 아카이브가 구축되어야 했으며, 연구자가 연구·조사로 참여한 바 있는 2017년 전시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의 여성 디자이너 아카이브 작업이 토대가 되었다. 또한 《W쇼》는 월간 『디자인』에서 조명한 여성 디자이너 아카이브 가운데 91명을 아카이브한 전시이기도 했으므로 월간 『디자인』 역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 역할을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고자 하였던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 비평의 관점은 유형별로 ‘정치적 실천’, ‘여성성 강조’, ‘이분법 해체’로 나누었다. 유형별 분류는 디자인 프랙티스가 다루는 내용과 대상이 여성인 경우의 접근법 유형을 의미한다. 불평등에 맞서는 여성 디자이너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1) ‘정치적 실천’으로서의 프랙티스,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를 분명히 인지하고 (2) ‘여성성을 강조’함으로서 전복의 효과를 얻거나 여성 사용자를 배려하는 프랙티스, 남녀이분 구도를 넘어서 시각 문화 전반에 내재한 (3) ‘이분법 해체’를 꾀하는 프랙티스로 나눴다. 이를 토대로 동시대 그래픽 디자인의 프랙티스 사례들이 지닌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이를 통해 후속 연구자와 디자이너들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의 계보와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chive Korean feminist design studies and practices accumulated over the past 30 year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fter the 2015 Korean Feminism Reboot,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arts and culture field had a hashtag campaign under ‘#○○_field_sexual_violence’ in October 2016. In response, women designers urging the reflection of the design field launched the Women Designer Policy Research Group (WOO). Domestic feminist design studies published from 1990 to 2018 are classified into academic journals,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field and author are analyzed. The scope of feminist design research covers the fields of design, including the visual, product, fashion, and architectural fields, and derive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practice that is the subject of feminist design research. In the analysis of feminist design practices, the scope of the study is set to graphic design (visual design), which is the design field belonging to the researcher, in order to derive more specific results. As a prerequisite for reaching feminist design practices, the Korean women designers work archive should be preceded, based on the women designers archive work of the 2017 exhibition ‘W Show―Graphics Designer List,’ where the researcher had participated in research part. The archives of the women designers, which were shown in monthly Design, and the exhibition ‘W Show,’ which archives 91 women graphic designers, are organized. By analyzing six archive-analytical design works that make this archive exten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design criticism, we examine how the perspectives of feminist design criticism summarized above apply to practical practices.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easibility as a feminist design practice in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graphic design. It is hoped that subsequent researchers and designers will gain viiigenealogy and insights into feminist design studies and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