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선-
dc.contributor.author이경진-
dc.creator이경진-
dc.date.accessioned2021-02-16T16:31:18Z-
dc.date.available2021-02-16T16:31:1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8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80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941-
dc.description.abstractUrolithin B is one of the gut microbial metabolites of ellagitannins, which have a number of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Urolithin B showed anti-cancer activities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prevented muscle atrophy, recovered cardiac function, and decreases amyloid β1-42 fibrillation via penetration into brain. In the present study I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rolithin B in brain microglia. Urolithin B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hile it increased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and rat primary microglia. In addition, urolithin B inhibited NO, TNF-α and IL-6 production in poly(I:C)- or LTA-stimulated BV2 cells, suggesting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urolithin B is not confined to LPS stimulation. Subsequent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at urolithin B regulates the expression of iNOS, TNF-α, IL-1β, COX-2 and IL-10 at mRNA and protein levels in LPS-induced BV2 cells. More detailed mechanistic studies showed that urolithin B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JNK, ERK, Akt, and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which is associated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cesses. Urolithin B inhibited the DNA binding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NF-κB, by reducing the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κBα. Urolithin B also showed antioxidant effect by reducing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and NADPH oxidase subunit expression, and by upregulating the antioxidant hemeoxygenase-1 expression via Nrf2/ARE signaling. Treatment of neuronal cells with conditioned media from urolithin B + LPS-treated BV2 cells ameliora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LPS-only treated cells. Finally, I demonstrate that urolithin B suppressed microglia activation in LPS-injected mouse brains. Collectively, the data suggest that urolithin B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neuroinflammatory disorders that are associated with microglial activation.;유로리틴 B는 엘라지타닌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생성된 폴리페 놀의 일종으로, 선재된 연구를 통하여 항암과 항균, 항염증, 항산화 및 신경 보호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유로리틴 B는 다양한 암세포에서 항암작용을 하였으며, 근육의 위축을 막고 심장기능을 회복시키며 뇌혈관장벽을 통과해 아밀로이드 베타의 섬유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신경염증에서 유로리틴 B의 약리적인 활성은 명확히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뇌의 소교세포에서 유로리틴 B의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을 규 명하고 자세한 분자적 기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면역활성물질인 LPS로 활 성화된 소교세포주와 일차배양 소교세포에서 유로리틴 B는 일산화질소와 염 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항염증 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인 인터류킨-10의 생성은 증가시켰다. 또한 다른 면역활성물질인 poly(I:C)와 LTA로 유도한 염증에서 유로리틴 B가 일산화질소와 TNF-α 및 IL-6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통하여, 유로리틴 B의 항염증 작용이 LPS에만 국한 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RT-PCR과 웨스턴 블랏팅을 통하 여 유로리틴 B가 iNOS와 TNF-α, IL-1β, COX-2 및 IL-10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세한 기전 연구를 통하여 유로리틴 B가 JNK와 ERK 및 Akt의 인산 화를 저해하며, 항염증과 항산화 작용에 관여하는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유로리틴 B는 염증과 관련한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IκBα의 인산화 와 분해 또한 감소시켰다. 다음으로 유로리틴 B의 항산화 작용에 관여하는 분자적 기전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로리틴 B는 LPS에 의한 세포내의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에 관여하는 NADPH 산화효소 서브유닛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Nrf2/ARE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항산화효소인 HO-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LPS를 처리한 소교세포주에서 얻은 세포 배양액을 뉴런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유로리틴 B는 뉴런세포의 사멸을 완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로리틴 B의 효능을 LPS를 복강 내 주사하여 전신 염증을 유발한 쥐의 뇌에서 확인하였다. LPS 주사에 의해 뇌의 피질과 해마, 흑질 부분에서 소교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Iba1 염색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유로리틴 B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이 세 부분 모두에서 활성화된 소교세포의 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로리틴 B는 활성화된 소교세포에서 항염증 및 항산화작용 을 나타냄을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로리틴 B가 산화 스트레스 및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동반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제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Microglia and neuroinflammation 1 B. TLR-mediated immune responses 3 C. NF-κB signaling pathway 5 D. MAPK, PI3K/Akt and AMPK signaling in neuroinflammation 7 E. ROS and Nrf2/ARE antioxidant system 8 F.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urolithin B 10 G. Purpose of this study 14 II. MATERIALS AND METHODS 15 A. Reagents 15 B. Antibodies 15 C. Cell culture 15 D. Mice 16 E. Cell viability test 16 F. Measurement of nitrite and cytokines 17 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easurement 17 H. RT-PCR 18 I. Transient transfection and reporter gene assay 18 J.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19 K. Western blot analysis 19 L. Immunohistochemistry 20 M. Statistical analysis 21 III. RESULTS 23 1. Urolithin B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TNF-α, IL-6, IL-1β and increased IL-10 production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23 2. Urolithin B regulated the expression of pro- and anti-inflammatory molecules at mRNA and protein levels in LPS-induced BV2 microglial cells 27 3. Urolithin B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JNK, ERK, and Akt, while it increased AMPK phosphorylation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27 4. Urolithin B suppressed the DNA binding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NF-κB and AP-1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31 5. Urolithin B inhibited ROS production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NADPH oxidase subunit 31 6. Urolithin B increased hemeoxygenase-1 expression by upregulating Nrf2/ARE signaling 34 7. Urolithin B enhanced PPAR signaling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37 8. Urolithin B ameliorated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activated microglia 37 9. Urolithin inhibited microglial activation in LPS-injected mouse brains 40 IV. DISCUSSION 42 V. CONCLUSION 47 REFERENCES 48 ABSTRACT (in Korean)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4720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Mechanism of Urolithin B in Activated Microglia-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62 p.-
dc.contributor.examiner정영해-
dc.contributor.examiner오세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과학과-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