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朝鮮時代 刺繡그림 연구

Title
朝鮮時代 刺繡그림 연구
Authors
양수정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known of the Changable Aspects of Painting of Embroidery of the 16~18th centuries Joseon Dynasty. Until now we have left those things which we should have done on an academic consideration about the primary roles of Painting of Embroider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maintaining a technological and ornamental viewpoint. Since the mid-19th century, this perception is that keeping in a state of oblivion to the utility and the meaning of the embroidery.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to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ainting of Embroidery through awareness of the process and the change. In particular, this 16~18th centuries was the most dramatic time especially in the rapid pace of change to perception of culture, art and custom. Therefore, taken stock of the changing shape of Embroidery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is period. The first one is the ancient meaning of decoration(意匠) and appreciation(表意) for an emperor. Thus the people who doing Painting of Embroidery were an organization of small groups of divinity had advanced technologies and be subjugated to the emperor who wears a Painting of Embroidery and be equipped with expertise for. While became territorial expansion, Painting of Embroidery were more needed like consuetudinary gifts. In the history of politics the Inviolable small groups were be subjugated to the structure of an emperor. So Painting of Embroidery had added to the meaning of commercial value. In China, the emperor encouraged to such high value-added industries as Silk and Painting of Embroidery. Also During ancient and medieval of korea, Painting of Embroidery had been utilized a system in the same context of China’s and it had been Maintained by the culture of Aristocratic class with Confucianism places high value on thrift in Joseon Dynasty. Painting of Embroidery was a kind of high-level culture for making a individual wish as practice good deeds in Buddhism and marking a patterned garments as offical’s insignia of the upper classes and required special skills for Highly Materials. Therefore Before the 17th century, people had hardly thinking to the admiration and possession of the painting of embroidery except court. Like this, the Joseon Dynasty are presented a difference some protest from China's development of Painting of Embroidery but it was thereby slowing change from the middle of 17th century. Had been brought the intellectuals’ culture of The Late Ming as‘Mania for trifling and elegant objects(玩物)’, Culture of hierarchy had changed, thus Embroidery was preferred, but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as a luxury. However, people made a choice Painting of Embroidery’design with imitated the painting manual as Jie zi yuan hua zhuan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芥子園畵傳 or Tang shi hua pu (Illustrated poems, 唐詩畵譜) and admired the Painting of Embroidery, even Pocket and pillows’design, like a painting and lead to the literati. Besides the king Sukjong was watching and making the Painting of Embroidery(with Kings' Manuscript, 列聖御製), like this behavior has caused it to be perceived as painting. Moreover, in proportion to the posing of culture and art of women, the perception of men were Changed at that time. During 18th century the culture conduced to looking(Appreciation of Literati) and collecting Painting of Embroidery and changed to meaning of women’s spare time. Namely Painting of Embroidery which the royal family’s doing for spare time was started to be educated by women of the ruling class(兩班) be chosen in preference to household affairs(weaving, needlework(for clothes), cook). The Literati prefered ‘trifling and elegant objects to mania(玩物)’and ‘scholar's elegant things to metaphysical idealism(淸玩)’as the Literati culture. Accordingly, people had been thinking about that Painting of Embroidery is a kind of elegant taste. This tendency points to a change in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s, also was head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technique in old type to fill pattern were getting gone, instead of new type to focus on gradations of colour by technique, it was very important about seeing the pictorial with painterly composition, naturalistic textures, a remarkable likeness(reality). And then the mid 18th century came, scholar's elegant things(淸供, 淸玩) as an influence of literati culture were drawn on Painting of Embroidery by techniques like a set pattern and beauty of balance. So in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re are delicate and patterned techniques as long and short stitch(套針), parallel satin stitch(齊針) interconnect with various and colorful thread(百衲彩絲繡), a design such as shaped like a comb(木梳?繡). Accordingly in this time, the painting of embroidery of Joseon Dynasty is better than Chinese’s. In the Literati culture. By decorating the house in the pictures of lucky signs like the paintings of the flowers and plants of Literati’s preference. In particular, the painting of embroidery was a kind of way to accomplish pray a luck or strive after virtue and ornament for the privileged class. The painting of embroidery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were during with the paradigm of major chang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Embroidery. For precisely that change in embroidery techniques and expansion of people’s desire of it would be. In ancient Korean peninsula, embroidery done is a unique and subjective use, and each jumps and progress has been made through a neighboring culture and exchanges. Although not voluntary, made with the positive changes in embroidery at the time, Chosun, sharing the context of these past, too. And Many of the 19th century in the discourse of 16 to 18 century own characteristics is reached. And creation and growth, such as a change of art history in a conversation topic or in technique development together. So Embroidery of the ruling elite favor that comes to speak as the literary tastes high culture. So Embroidery have been playing its role with a unique feature and patterns, will in future more systematic research and attention must advance forward with professionally thinking it'll be learning targets.;본 연구는 조선 16~18세기 자수그림의 활용에 있어서 변화의 양상에 주목한 연구이다. 조선시대의 자수그림은 그 본연적 임무는 망각된 채 기술적이고 장식적인 시각에 치우쳐 학술적 고찰은 방치되어 왔다. 이런 인식은 19세기 중후반~20세기의 유행된 사조로 자수의 소용과 효용의 의미가 망각된 상태에서 인지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그 변화된 인식의 과정을 살펴 조선시대의 자수그림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우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16~18세기는 시대적 문예사와 풍속, 사조의 변화 속도가 빠르고 가장 드라마틱한 시기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시기를 통해서 조선 자수사의 변화의 양상을 살핀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 자수그림은 장식이나 감상용의 활용보다는 고대 천자를 意匠하고 表意하는 시각적인 장엄을 위해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자수를 하는 자들은 선진의 기술을 가진 소규모의 신성한 조직이었으며 차차 자수그림을 착의하는 자에게 복속되어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지배자를 중심으로 영토가 확장되면서 자수그림은 예물의 의미로 확대되었으며 이런 신성한 조직을 복속시키는 정치사 속에서 점차 상업적 가치가 더해지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경우 각 속국의 지리적 특색에 맞는 공물을 장려하는 과정 중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높았던 비단과 자수가 장려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고대와 중세도 이러한 맥락에서 자수그림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였으나 조선에 이르면 崇儉의 표방아래 특정 계층의 문화로 유지되었다. 자수는 제작에 있어서 고가의 재료에 따른 특수한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서 주로 불교 功德繡와 같은 길상 발원용으로 사용되었으며 권력층의 의장을 중심으로 所用되는 고급문화였던 것이다. 따라서 17세기 이전에는 자수그림에 대한 감상과 소유의 개념은 궁을 제외하고는 미비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조선은 중국의 자수 발전과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17세기 중반을 기해서 차차 변화의 조짐을 보이게 된다. 명말 玩物의 풍속이 유입되면서 지배층의 문화가 변화되기 시작했으며 그들이 선호한 자수는 사치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자수그림은 畵譜의 ?本을 취해서 자수흉배와 繡衣繡裳의 문양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주머니나 베개의 자수그림까지도 그림을 보는 것처럼 감상의 의미가 부여되면서 자수그림은 문인문화로 부상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숙종의 御覽하거나 제작한 감상용 자수그림은 자수그림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더욱이 여성들의 문화예술이 부각됨에 따라서 당대 남성들의 인식 변화도 유도되었다. 그리하여 18세기에는 자수그림이 감상되고 寶藏되는 풍습을 이끌게 되었으며 사가 여성의 餘事의 의미도 변화를 불어왔다. 왕실이나 특권층의 여사였던 자수가 사가여성의 紡織, 縫裁, 밥 짓는 것에 우선하여 교육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玩物과 淸玩의 문인문화가 유행되면서 자수그림을 기이하고 고상한 취향으로 여긴 세태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풍조는 기존 자수기법의 변화도 이끌게 되었다. 17세기 이전의 滿繡 중심의 古式은 차차 사라지고 회화적 감상의 완물을 위한 운간 중심의 자수기법이 유행하였다. 그러다가 18세기 중반을 기해서 문인취향의 청완과 청공 자수그림이 등장하면서 정형성이 강조된 자수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8세기 말에는 자리수와 百衲彩絲繡, 木梳?繡와 같은 정연한 자수기법이 선호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가 되면 조선의 자수그림이 당시 쇠퇴기를 맞이하던 중국의 자수그림보다 낫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풍속에 있어서도 화훼도와 같은 우의적 내용의 길상화와 문인취향의 그림이 집안을 장식하게 됨에 따라 자수그림은 고급문화로서 감상, 소장되는 대상이 되었다. 특히 공덕이나 발원의 기능성과 더불어 자수그림은 문인취향의 화제와 함께 고급문화의 의장적인 소용으로 지배층의 취향을 대변하게 되었다. 조선 16~18세기의 자수그림은 한반도 자수사에서 가장 큰 변화의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던 시기였다. 바로 자수기법의 변화와 향유층의 확대가 그것일 것이다. 고대 한반도 자수그림의 독창 · 개성적인 활용과 소용은 각 주변국 문물의 교류사를 통해서 도약과 발전이 이루어졌었다. 비록 당시 자수의 변화가 이처럼 자국의 자발적인 성장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 것처럼 조선도 이런 과거의 맥락을 함께 하며 16~18세기의 많은 담론 속에서 19세기 조선만의 특징에 도달하게 된 것이었다. 그리고 화제나 기법에 있어서도 회화사의 변화와 같은 생성과 성장, 발전을 함께 했으며 지배층의 문예취향을 고급문화로 대변해오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독특한 특징과 시대적 패턴 속에서 자수그림도 그 역할을 다해 왔으므로 앞으로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관심을 두어 전문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학문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