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1 Download: 0

언어적 단서에 따른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문 습득 연구

Title
언어적 단서에 따른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문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Passive Sentences Acquisition in L1 Chinese Learners using the Linguistic Cues
Authors
김민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피동문에 대한 인식과 생산이 숙달도 변인과 언어적 단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문 습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조사만으로 문장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능동문에 비해 피동문은 동사가 부여하는 논항의 의미역과 격조사를 함께 고려해야하므로 문장 처리가 더욱 복잡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문 습득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문장 성분이 통사적 위치를 뒤바꾼 어순 재배치와 피동문의 동작주와 피동작주의 관계를 사건 개연성을 통해 파악하는 언어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문제를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문장의 태 유형과 숙달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인식 과제를 통해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언어적 단서와 숙달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인식 과제를 통해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하위 연구 문제로서 어순과 사건 개연성을 언어적 단서로 구분하고, 각각을 변인으로 삼았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생산 과제를 통해 동사 유형과 숙달도에 따른 점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위 연구 문제로서 능동문과 피동문 생산 맥락을 구분하고, 생산 오류 유형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Ⅱ 장에서는 문장의 태 유형에 따른 사건 구조 대응과 문법적 표현 방식에 따른 통사적 특성, 명사구의 의미역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이 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피험자의 모어인 중국어의 언어 유형적 차이를 대조하고, 다음으로 언어적 단서를 중심으로 단서 경쟁모형 이론과 단서 경쟁실험 및 제2언어 습득 연구에 대해 살폈다. Ⅲ 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절차와 피험자 정보, 측정 도구 및 연구 결과의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실험 문항의 조건과 변인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인식 과제 및 생산 과제 분석 방법과 채점 기준, 오류 유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Ⅳ 장에서는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동문에서 부사격조사와 결합한 명사구를 동작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술어의 논항 정보를 파악해야 하므로 능동문에서 주격조사를 통해 나타나는 주어를 동작주로 파악하는 것보다 습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 집단이 피동문을 인식할 때 다른 집단에 비해 점수가 낮고, 생산에서도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피동문에서 능동문의 주어가 부사어로 강등하고, 목적어가 주어로 부각되는 현상이 숙달도가 낮은 L2 학습자들에게 쉽게 습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문장의 구성 성분의 전형적 배치가 뒤섞여 나타나는 어순 재배치는 문장 성분의 배열이 고정적으로 나타나는 중국어가 L1인 학습자의 문장 처리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L1 학습자 집단이 어순 재배치 문장에서 모어 화자 집단에 비해 낮은 인식 점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는 어순 재배치 문장에서 전형적 어순 문장보다 인식 점수가 낮았는데, 이는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가 모국어의 특성에 더욱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사건 개연성이 낮은 문장에서는 동작주와 피동작주가 의미적으로 뒤바뀌어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을 나타냄으로써 장면이 어색해지는데, 숙달도가 낮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사건 개연성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건 개연성이 낮은 문장에서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 집단이 숙달도가 높은 집단에 비해 통사적 단서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어휘·의미적 정보로 문장을 처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능동문과 피동문 생산 맥락에서 숙달도 변인에 따라 응답을 분석한 결과, 피동문 생산에서는 숙달도 변인과 무관하게 학습자 집단이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식 능력과 생산 능력의 발달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CL 집단의 능동문 인식 및 생산에서 확인되었는데, 피동문 생산에서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 집단은 모어 화자의 생산 수준에 근접하지 못하고,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 집단도 능동문 생산보다 피동문 생산에서 모어 화자와 점수 격차가 커졌다. 생산 과제 응답을 분석한 결과, 피험자의 오류가 모든 문항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피험자의 오류 문항을 살피고 추가적으로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오류 발생 원인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였는데, 오류 유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능동문 생산 맥락에서 능동사가 명사구에 부여하는 논항을 잘못된 격조사와 결합시키는 사건 구조 불일치 유형의 오류가 가장 빈번하였고, 다음으로 필수 논항 또는 격 조사를 빠뜨리는 누락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이 외 다른 오류 유형이나 다른 집단(CH, NK)의 능동문 생산 오류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피동문 생산 맥락에서는 CH 집단도 능동문 생산에 비해 E3 유형 오류를 빈번하게 발생시켰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능동문과 달리 피동문 생산에서는 숙달도 변인과 무관하게 학습자 집단이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와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교육적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능동문보다 피동문을 인식할 때 겪는 어려움에 대해 확인하고, 언어적 단서를 통해 어려움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어순 단서가 문장을 인식할 때 두 학습자 집단(CL, CH)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셋째, 형태·통사적 정보를 언어적 단서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가 어휘·의미적 정보를 활용하여 문장을 인식한다는 점을 밝혔다. 넷째, 피동문 생산에서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 집단은 모어 화자의 수준에 근접하지 못하고,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 집단도 능동문 생산에 비해 모어 화자와 격차가 벌어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피동사가 부여하는 의미역과 구조격이 불일치하는 피동문 생산 맥락에서 구조격과 의미역 정보가 일치하는 능동문 생산보다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언어적 단서가 갖는 의미와 원리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피동문 습득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Korean sentences through the voice and linguistic cues in L1 Chinese learners by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 variables of proficiency. Sentence types were 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forms, and measurement tools were specified based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ounded on the theory of the cue competition model. Linguistic cues in this study consist of case markers, word order, and the event probability according to semantic relationships in noun phrases. The research considers differences in the cu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proficiency of learners to discuss L2 acquisition using the recognition and production tasks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s. Chapter I ident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establishes research questions through a review of the earlier literatur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type of sentence voices and learner proficiency variables in a sentence recognition task.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focuses 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inguistic cues and learner proficiency variables in a sentence recognition task. The third issue of the study is to see how the proficiency variable makes a difference in the sentence production task in context with active and passive verbs provided.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recognition and production tasks is to observe the level of development gaps in recognition and production capabilities. The result is observed by comparing the scores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Chapter II looks into the structural response of events in active and passive sentences with the characteristics in Korea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first part of this chapter examines linguistic cues composed of case markers, word order, and the probability of events. In the latter section, the terminology, overall concepts in the cue competition model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cue competition experiments on the L2 recognition of sentence structures are review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Chapter III discloses details on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of test subjects, experimental procedure and analytical methods fo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Furthermore, this chapter provides in­-depth description of controlled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 analytical approach on recognition and production tasks and criteria for scoring and error type analyses. Chapter IV analyz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the group variables was observed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 groups and between intermediate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passive sentence recognition test. The main effect of the word order variable was found in between the canonical order and the scrambled sentence in recognition task, and the proficiency of the group variable was found in sentence recognition task scores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 groups in scrambled sentences. A sentence with a low probability of an incident refers to the awkwardness of the scene as the agent and the patient state are reversed to indicate an unusual situation. It was observed that a group of intermediate learners misinterpreted sentences that are meaningfully less receptive due to their relatively high dependence on semantic cues. Since the average score of active sentences for intermediate learner groups in the previous recognition task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advanced group, the result implies that the ability of less proficient learners to produce active texts is less close to the Korean than their ability to recognize active sentences, while those with higher proficiency had a result that was closer to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Second, in the context of the provision of passive verbs,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the production task was notable between intermediate learner group and Korean speaker group. However, the averag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 groups was only seen in recognition task and was not significant in production task. The result implies that the score gap in the ability to produce passive sentences is smaller than in the ability to recognize passive sentence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production task error type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type among all three groups was event structure inconsistencies in given scenes and sentences; the second most frequent type was case marker alternation errors; and the omission error type was the least frequent. Among intermediate learner groups, error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contexts providing passive verbs than in contexts providing active verbs, and as proficiency increased, the difference in errors between the verb types provided decreased.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and describ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 to an easier method to identify and resolve the causes of learner errors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dentifying the competition systems of linguistic cues between the target and native language. Furthermore, linguistic cu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ferable method of teaching for learners with an L1 background like Chinese wherein word order has a grammatical function, unlike Korean syntactic case mark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not only the case markers but also the word order and semantic conditions of noun phrases in Korean as well as the impact on the comprehension of learners with lower proficiency. In conclusion, this study observed the process of L2 acquisition and used linguistic cues to confirm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roficiency, the closer responses were to those of native speaker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s laid out in this paper were restricted to L1 Chinese learners of Korean. Consequently, the same results may not applied to non-­Chinese speaking learners; yet such results may lead to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 and studies regarding the usage of linguistic cues for L2 acquisition of learners with different mother languag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ore in-­depth Korean language classes can be conducted if the meaning and principles of linguistic cues are well utiliz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 proficien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