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디지털 교재 개발 사례 연구

Title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디지털 교재 개발 사례 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Study on Developing Korean Digital Textbooks for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김미숙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4차 산업 혁명 시대인 지금 전통적인 교수·학습 환경도 점차 디지털화되어 웹이나 모바일 기반 학습이 더욱 확대되고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 지능 등의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만나 이른바 에듀테크(edutech) 시대가 열렸다. 학습자들 역시 디지털 시대에 자란 미래 세대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익숙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에도 익숙하다. 이렇게 시대가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는 만큼 그에 발맞추어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란 기존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 문항, 보충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를 연계하고 교육용 콘텐츠 등과 연계할 수 있고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을 부가한 학생용 교재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과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가 한국어 교육 분야에도 개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더욱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수준별 학습이 가능해져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또한 국외에서 학습할 경우 교재 수급의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디지털 교재 제작 및 활용은 의미 있는 시도라고 본다. 특히 대학 진학 후 학문적,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대학에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많은 대학에서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교양 과목에 한국어와 관련된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그러나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경우 개인적인 학습 배경이 다르므로 같은 수업 내에서도 한국어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물론 수강하는 학습자들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디지털 교재를 활용하면 자기 주도 학습과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고 학습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교재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서 학습을 촉진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디지털 교재가 한국어 교육 분야에도 개발된다면 실제적인 과제 수행이 가능하고 실제감 있는 내용을 제공하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보충·심화 학습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도 이러한 디지털 교재 개발 및 제작이 필요하다. 디지털 교재를 개발할 때는 학습자의 흥미, 요구를 고려하여야 하고 학습자들의 이해 및 기억을 극대화시켜 습득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또한 교재의 내용에는 정확하고 필수적이며 실제적인 내용을 담아야 하고 디지털 교재의 특성을 살려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필요하며 디지털 교재의 구동 및 접속이 안정적인지, 학습자들의 활용이 용이한지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고려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한 후 서울의 모 대학의 학부 과정 2020년 2학기 <한국어> 교양 과정 수업에서 적용해 보았다.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수업에서 개발한 교재로 수업한 후 학습자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교재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는데 최종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교재 사용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앞으로 디지털 교재가 개발되기 기대하고 있었다. 개발된 교재의 어휘는 단어장 형식, 게임형 학습, 단어 퀴즈 형식으로 반복 학습을 하게 하는 도구를 활용하였는데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높았다. 이렇듯 학습자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행 연구로 디지털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분야의 디지털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 가능한 하나의 예시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도 디지털화되어 가는 교육 환경에 발맞추어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이라 기대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gradually digitized, further expanding web- or mobile-based learning, and the so-called edutech era has opened with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ry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rs are also familiar with computers and smartphones as future generations that grew up in the digital age. As the times are developing and chang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developing and utilizing digital textbooks that enable learner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encourage active and active participation with the aim of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Digital textbooks are 'rich learning materials such as terminology dictionaries, multimedia materials, evaluation questions, and supplementary learning contents, and students' textbooks that can be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etc.', which motivate learners to learn and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and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If such digital textbooks are also develop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t will be effective as it will further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to learn,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and level-by-level learning. In addition, the crea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is considered a meaningful attempt because learning abroa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ifficulti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textbooks. In particular, academic-purpose learners who are experiencing academic and practical difficulties after entering university should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o that they can learn on their own at university and continue learning with learning. Currently, many universities are offering Korean language-related subjects in liberal arts to help learners who lack Korean language skills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However,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personal learning backgrounds are different, so even within the same class, differences in Korean level occur, making it difficult for teachers who conduct classes as well as learners who take classes. Using digital textbooks will reduce these difficulties and have an effect on learning because self-directed and level-based learning is possible. Digital textbooks are useful because they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multimedia features to facilitate learning and provide various learning materials. If digital textbooks with these advantages are also develop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ey can perform practical tasks and provide realistic content, which can attract learners' interest and enable supplementary and advanced learning.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needs to develop and produce such digital textbooks. When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the interests and needs of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and configured to help learners acquire by maximizing their understanding and memory.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should contain accurate, essential, practical content, make it possible to learn by level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textbook, and consider whether the digital textbook is driven and connected, and easy to use by learners. Considering these principles, this study developed digital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applied them to an undergraduate course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in the liberal arts course. After using digital textbook in the clas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repeatedly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learners and experts. And the final survey showed that the learners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 use of the textbook and expected it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 vocabulary of the developed textbook utilized tools that allow repetitive learning in the form of word fields, game-type learning, and word quizzes, with learners having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vocabulary learning. As such, learners need a tool to arouse interest.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did not go through a procedure to verify that classes using digital textbook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with digital textbooks at a time when it is insignificant, and it has become an example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take a step further in line with the digitalized education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