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키스트로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 연구

Title
키스트로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 연구
Other Titles
Process and product : Investigation of L2 Korean writing using keystroke logging
Authors
백승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관점에서 제2 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 양상이 최종 텍스트의 특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기존의 한국어 쓰기 연구는 쓰기 산출물인 최종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과정 중심 접근법에서의 쓰기 과정과 이의 실증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아 왔다. 특히 최근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학습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바, 본고에서는 실시간 쓰기 과정을 타자 기록으로 분석하는 키스트로크 로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에 나타나는 휴지 행동, 수정 행동, 쓰기 유창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실시간 쓰기 과정 양상과 최종 텍스트의 질적 수준, 길이, 오류율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을 밝히고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구인의 정의와 측정 기준 및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쓰기 과정과 쓰기 과정 연구 방법을 고찰하였다. 쓰기 과정은 기존 쓰기 과정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본 연구에 적용할 점을 도출하였으며 쓰기 과정의 요소를 수정, 휴지, 유창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정의와 분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쓰기 과정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쓰기 과정 연구 방법에서는 쓰기 관찰 도구의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본고에서 사용한 키스트로크 로깅 분석이 갖는 특징과 장점에 대하여 고찰하한 후 키스트로크 로깅을 활용한 실시간 쓰기 과정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연구 도구, 그리고 연구 절차를 다루었다. 연구 도구로는 먼저 쓰기 과정을 양적으로 측정하는 한국어 전용 키스트로크 로깅 프로그램의 개발 배경과 특질을 다루었으며 쓰기 과정 구성 요소인 수정, 휴지, 쓰기 유창성의 측정 기준과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최종 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텍스트의 질적 수준, 텍스트 길이, 텍스트 오류율의 측정 방법과 조작화 방식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후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수정 행동과 휴지 행동이 발생한 위치를 의미론적 단위로 나누어 그 횟수를 키 로그 데이터로 분석하고 속도의 측면에서 쓰기 유창성을 측정한 후 하위 요소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시간 쓰기 과정의 하위 요소 중 어떤 것이 최종 텍스트의 질적 수준, 텍스트 길이, 텍스트 오류율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중 TOPIK 5급 이상 소지자이며 동시에 국내 대학원 석사 과정 이상에 재학 중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40명이 참여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다루었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고급 학습자는 어절 사이 영역에서 가장 많은 휴지 행동을 보였다. 단어 내 영역, 어절 내 영역에서 발생한 휴지 행동은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이를 통하여 석사 과정 이상에 재학 중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단어나 어절 단위의 짧은 길이의 텍스트 산출을 계획하거나 검토하는 데에 2초 이상의 휴지 시간이 필요한 만큼의 복잡한 인지적 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즉, 한국어 고급 학습자는 미시 구조가 아닌 거시 구조 차원에서 다음 내용을 계획하거나 기존에 쓴 텍스트를 검토하는 인지 처리 과정 양상을 보였다. 둘째, 실시간 쓰기 과정 중 수정 행동은 어절 이하 영역에서 가장 빈번한 횟수를 보였다. 2문장 이상 이상의 수정 횟수는 문장 사이에서 발생한 휴지와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이는 거시 구조의 계획하기, 표현하기, 검토하기가 서로 반복적이고 회귀적으로 일어남을 의미한다. 또한 음절 이하의 수정은 어절 내 휴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어휘의 의미나 어휘의 활용형에 대한 형태적 지식 또는 조사와의 결합 등 미시 구조의 표현하기 과정과 문제 진단 간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쓰기 유창성과 관련하여 휴지나 수정의 발생 없이 연속하여 산출한 텍스트 길이 단위인 쓰기 연속 단위와 최종 텍스트의 문법 활용 능력 간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고급 수준의 문법을 다양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속도의 측면에서 유창하게 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넷째, 실시간 쓰기 과정의 하위 요소들의 관찰로 최종 텍스트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거시 구조의 수정이 많을수록 텍스트의 높은 질적 수준을 예측할 수 있고, 미시 구조 내 휴지가 많을수록 텍스트의 오류율이 증가함을 예측 가능하였다. 이는 단어 단위, 어절 단위와 같은 미시 구조의 언어 사용과 산출이 모어 화자처럼 자동화되어 있어 해당 단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문장 단위와 같은 거시 구조의 문제 진단과 수정 행동의 반복에 충분한 작업 기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텍스트의 질적 수준과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제2 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실시간 쓰기 과정을 키스트로크 로깅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것이 최종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피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쓰기 과정 중에 나타나는 휴지 행동과 수정 행동이 의미론적 단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쓰기 과정의 키스트로크 분석으로 최종 텍스트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는 보다 높은 완성도의 쓰기 텍스트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접근법을 근간으로 한 쓰기 과정의 실증적, 객관적 관찰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연구에 더욱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writing process of learners of Korean as the second language can predict the features of final text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writing focused on final text, which is a writing output, and studies on the writing process and its empirical analysis in a process-oriented approach have drawn relatively less attention. With the growing demand for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in an online environment day by day,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patterns of pause, revision, and writing fluency in the writing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using keystroke program, which analyzes an online writing process in a typing record.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final text features based on text quality, length and error rate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riting process. First, to identify the online writing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divide the position of revisions and pauses into syntactic units, analyzed the number of times by keystroke, measured the learners’ writing fluency in terms of spe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sub-elem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ich sub-factors of online writing process could predict the quality level, length, and error rate of final text. Among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ose were L1 native Chinese speakers, learner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who had TOPIK level 5 or higher and were currently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r higher in Korean graduate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al subjects were 40 students in this study, a keystroke XML file, video file and a final text file that analyzed the writing process of 60 people in tota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showed the most pauses between word segments. There were relatively less pauses within words and within word segments, confirming that the learner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enrolled in a master's program or above needed to pause two seconds or longer to plan or review the text production of words or word units in short length, not needing complex cognitive process. In other words,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a cognitive process by planning the next content or reviewing the existing text at higher level discourse units rather than lower level discourse units. Second, revision among online writing processes was the most frequent below word segments. The number of revisions for two or more sentences was correlated with pauses within sentences, implying that planning, translating, and reviewing of higher level of discourse units occur repeatedly and regressively. Also, revisions below syllabl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uses within word segments, suggesting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lower level of discourse units and problem diagnosis such as vocabulary meaning, morphological knowledge of vocabulary usage, and combination with postpositions. Third, in terms of writing fluency,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urst, a text length unit produced continuously without pauses or revisions, and the ability to use the grammar of final text. This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use advanced grammar in various and accurate ways was related to the ability to write with fluency in terms of speed. Fourth,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final text features could be predicted by observing sub-elements of online writing process. More macrostructural revisions could predict the higher quality level of texts, while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increase of the text error rate with more pauses in the microstructure such as within words or between words. This means that text quality and completion increase if revisions are not needed for units is not necessary, since the use of microstructural languages such as words and word segments and their production are automated like native speakers, then sufficient working memory can be used to diagnose macrostructure problems such as sentence units and the repetition of rev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nline writing process of foreig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through keystroke logging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final text. This study identified that pauses and revisions during the writing proces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varied depending on syntactic units, patterns and the features of final text could be predicted by the keystroke logging of writing process. To sum up, writing higher-quality texts must be preceded by the empirical and objective observation of writing process based on a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search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