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표현 습득 연구

Title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표현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by Thai Korean Learner
Authors
BOONRUNG, SUPAPOR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인 ‘-어서’, ‘-니까’, ‘-느라고’, ‘-길래’, ‘-기 때문에’, ‘-는 바람에’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 다양성에 따른 습득 양상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사용 빈도와 학습 난이도에 따른 습득 양상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간 태국 내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문법 교육은 연결어미 오류나 사용 빈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연결어미 개별 항목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연결어미의 다양한 의미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한정된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데 초점을 두어 연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는 종류가 상당히 많고 같은 의미를 지닌 다른 형태가 많은데 비해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에 해당하는 태국어 연결어미의 경우에는 한국어처럼 발달되지 않았고 미세한 제약 없이 단순하게 쓰일 수 있다. 이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국어학 관점에 대한 연구와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한국어 교육 관점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을 선정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선정과 사용 빈도와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학습 난이도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인과관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 다양성에 따른 습득에 대한 것이었으므로 먼저 선정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통사적 제약에 대해 살펴보았고, 주어 일치 제약, 서술어 제약, 시제 선어말어미 제약, 종결어미 제약 그리고 부정문 제약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의미적 다양성을 살펴보았고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실험 앞서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예비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서 적절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 문항과 대화를 추출하고 본 실험을 위한 자료 수집 도구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통사적 판단 테스트 60 문항, 의미적 판단 테스트 20 문항을 주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분석하기 전에 우선 검사 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한국어 인과관계 습득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인 크루스칼 왈리스 분석(Kruskal-Wallis Test)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논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는 중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고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 사용은 사용 빈도, 학습 난이도,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 다양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 사용은 사용 빈도에 따라 중급 태국인 학습자는 사용 빈도가 연결표현의 습득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학습 난이도에 따라 중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습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지만 고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습득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통사적 제약에 따라 ‘하위’ > ‘중위’ > ‘상위’의 순서로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통사적 제약이 ‘중위’일 경우와 ‘상위’일 경우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이 통사적으로 복잡할수록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미적 다양성에 따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통사적 제약과 마찬가지로 의미적 다양성이 ‘하위’ > ‘중위’ > ‘상위’의 순서로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사용은 의미적으로 가장 단순한 연결표현으로부터 의미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연결표현으로 이어지는 습득 순서가 있어 의미적 다양성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통사적 제약의 하위 분류에 따른 습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가 낮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통사적 제약을 이해하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연구 문제 3’에서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 사용이 각 연결표현의 의미적 다양성에 따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도 확인하였으며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이해하기 매우 어려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 요약, 의의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통사적 제약보다 의미적 다양성을 습득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문법을 가르칠 때 통사적 제약뿐만 아니라 의미 기능을 비교하고 각 연결표현의 의미적 다양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태국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표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 다양성 층위의 교수-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태국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문법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 기능 역시 체계적이고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patterns of Thai learners of Korean, Korean connective endings showing causality focusing on Korean connective expressions conveying causality: ‘-eoseo,’ ‘-nikka,’ ‘-neurago,’ ‘-gilrae,’ ‘-gi ttaemune,’ and ‘-neun barame’. In addi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ai learners’ acquisition patterns of such connective expression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level of difficult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Thailand, studies on teaching grammar of connective ending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analyze errors or frequency of use. However, most studies on syntactic constraints and semantic functions of connective endings have been centered on limited syntactic constraints of connective endings despite various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connective endings. In particula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ypes and many different forms with the same meaning in Korean causal connectives. However, connective endings of the Thai language corresponding to Korean causal connectives have not been developed relatively and can be used easily without subtle restrictions on their usage. With that regard,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cquisition and use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by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composition and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introduced, and prior studies are reviewed to extract research questions. Prior studies related to causal connectives were primarily divided into two strands: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select and analyze Korean causal connectives, research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selection and use and interpretations over the level of difficulty. Chapter Ⅱ unfolds theoretical backgrounds. A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connective expressions based on syntactic constraints and semantic diversity of causalit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chapter examines the syntactic constraints of the selected Korean causal connectives. Based on that, the syntactic constraints were summarized, focusing on the constraints on a subject agreement, predicates, tense pre-final endings, sentence-closing endings, and negative sentences. Also, the semantic diversity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was also examined and analyzed. Chapter Ⅲ gives details of the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 pilot experiment was conducted prior to the initiation of a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experiment, adequate questions and dialogues related to Korean causal connectives were extracted, and data collection tools for the survey were prepared. Subsequently, the survey data collection tools were prepared, and participants underwent a survey with 60 test questions of the syntactic aspect and 20 test questions of the semantic aspect. In this study, a reliability analysis on the test tools was performed before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s a nonparametric test, the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ausality of Korean language among three groups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dvanc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identify its acquisition patterns. Chapter Ⅳ discu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discussions. ‘Research Question 1’ is centered on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among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dvanc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native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syntactic constraints, and semantic diversity.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use was reveal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connective expressions in the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affected the acquisition of connective expressions in the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ut the same tendency was not found from the advanc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lthough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found to tend to acquire Korean causal connectives in the order of ‘low level’ > ‘middle level’ > ‘high level’ of syntactic constraints,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depending on ‘middle level’ or ‘high level’ of syntactic constraint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syntactic complexity of Korean connective expressions affects their acquisition.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also found to acquire Korean causal connectives in the order of ‘low level’ > ‘middle level’ > ‘high level’ of semantic diversity. In the aspect of semantic diversity, when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acquiring Korean causal connectives, they tended to use those with the most straightforward meanings at the beginning but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meanings at further stages of acquisition. In that sense, semantic diversity was shown to affect the acquisition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Research Question 2’ focuses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Korean causal connectives' acquisition depending on the low-level classification of syntactic constraints. As a resul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ith a low proficiency level were revealed to have difficult understanding the syntactic constraints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most. ‘Reseach Question 3’ involves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Korean causal connectives between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native Korean speakers depending on semantic diversity. It was also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depending on proficiency level.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ind it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verse semantic functions. Chapter Ⅴ summarized the finding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Chapter Ⅳ. This study found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ad more difficulties learning the semantic diversity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than its syntactic constraint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it is essential to compare the syntactic constraints and the semantic functions and have Thai learners recognize the semantic diversity of respective connective expressions when Korean grammar is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for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causal connectives in the aspects of syntactic constraints and semantic divers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in Thailan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explicitly discuss the grammatical forms and the semantic functions to ensure effective teach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