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유형별 양상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

Title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유형별 양상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The specific aspects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ir supports
Authors
한영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세, 2세 학급에서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 중에 나타나는 영아 또래 상호작용 및 교사 지원의 양상과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세, 2세 학급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 양상은 어떠한가? 1-1.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유형별 양상은 어떠한가? 1-2. 영아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1-3.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 간 관계는 어떠한가? 2. 1세, 2세 학급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1세와 2세 학급에 재원중인 영아 165명과 그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36명이었다.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영상을 촬영하였다. 촬영본을 보며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을 표집하였다.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은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시도와 반응 행동 및 교사의 지원 행동을 포함한다.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은 Deynoot-Schaub와 Riksen-Walraven(2006)이 제시한 또래와의 접촉 행동을,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 지원 행동은 Williams, Mastergeorge와 Ontai(2010)가 제시한 교사 또래 상호작용 지원 행동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을 맥락 유형(놀이 vs. 일상생활), 시작 유형(영아 vs. 교사), 교사 지원 여부 유형(유 vs. 무), 교사 지원 이후 지속 유형(지속 vs. 중단)으로 나누어 사건 유형별 빈도 및 지속시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건 유형에 따른 영아 행동과 교사 지원 행동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고, 영아 행동과 교사 지원 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 순위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급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다양한 유형이 포함되도록 10분 가량으로 편집한 후 이를 살펴보며 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에서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전사한 뒤에 텍스트 연결망 분석 및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들은 일상생활 맥락보다 놀이 맥락에서 또래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상호작용도 더 길게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세 학급 영아는 1세 학급 영아들에 비하여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 모두에서 또래와 상호작용을 더 길게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들의 또래 상호작용은 교사의 지원으로 시작되는 경우보다 영아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지원이 실시된 경우가 실시되지 않은 경우보다 많지만, 교사의 지원 이후 상호작용이 지속되기보다는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교사의 지원이 실시된 이후 상호작용이 지속될 경우 영아는 또래와 더 길게 상호작용을 이어나가며 이러한 특성은 놀이 맥락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가 자발적으로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으며, 교사의 지원이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맥락 유형(놀이 vs. 일상생활), 시작 유형(영아 vs. 교사), 교사 지원 여부 유형(유 vs. 무), 교사 지원 이후 지속 유형(지속 vs. 중단)에 따라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 맥락보다 일상생활 맥락에서 이루어진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영아는 긍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을 많이 하고 교사는 영아 중심 지원을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가 먼저 또래 상호작용을 시작한 경우에는 교사가 성인 중심 지원을 더 많이 실시하는 반면 교사가 먼저 또래 상호작용 지원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영아 중심 지원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지원이 없었던 상호작용보다 교사의 지원이 있었던 상호작용에서 영아의 부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지원이 영아의 긍정적 행동보다 부정적 행동에 초점 맞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사의 지원 이후 상호작용이 중단될 경우보다 지속될 경우에 영아의 긍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적절한 지원은 영아가 또래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시도와 반응 행동, 교사의 지원 행동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1세와 2세 학급 모두에서 영아의 또래에게 긍정적 시도 행동이 많아질수록 부정적 시도 행동은 줄어들고, 영아의 긍정적 반응이 많아질수록 부정적 반응과 거절 반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시도 행동이 많아질수록 긍정적 반응은 줄어들고 부정적 반응 행동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세와 2세 학급 교사 모두 영아의 긍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이 많아질수록 성인 중심, 집단 대상 지원을 덜 실시하고, 부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이 많아질수록 성인 중심 지원을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에 대해 1세 학급 교사와 2세 학급 교사 모두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서 놀이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세와 2세 학급 교사 모두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에서 놀이에 비하여 일상생활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세와 2세 학급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놀이를 통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감정 표현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가정의 영향력, 기질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지원의 중요성,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세 학급 교사는 2세 학급 교사에 비하여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서 안전과 일상생활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2세 학급 교사는 1세 학급 교사에 비하여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서 교사의 개입과 감정의 언어 표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에서 나타나는 1세와 2세 학급 영아들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을 알아보고 영아 또래 상호작용을 다양한 사건 유형으로 나누어 양상 및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의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지원에 대한 인식을 함께 살펴봄으로서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아 교사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s of interaction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s appearing during play and routine daily-life contexts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ir supports for interaction among infant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spects of interaction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s in the 1 and 2-year-old classrooms? 1-1. What are the aspects of each type of infants interaction events? 1-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infants’ social behaviors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behaviors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ants interaction events? 1-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social behaviors toward their peers and teachers’ support behaviors? 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ir support for interaction among infa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5 infants and 36 teachers in 1 and 2-year-old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look into the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the video recording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play and routine daily-life in the daycare center.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was based on the events sampling which included infants’ social behaviors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s. Each event was divided into a type of context (play vs. routine daily-life), type of start-up (infant vs. teacher), type of teacher’s support (existence vs. none), type of continuity after teachers’ support (sustained vs. restrained). The analysis yielded frequency, proportion and duration of each type of infants’ interaction events.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infants’ behaviors and teachers’ supports according to the event types. Meanwhile the Spearman ranking correlation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behaviors and teachers’ supports. Nex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heir support, video-stimulated recall interview method was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at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text net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questions 1 we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frequency of infant interaction appeared higher as well as the duration of the interaction also appeared longer during the play situation than in daily life situation. It has been shown that 2-year-old infants continued to interact longer with their peers in both the context of play and routine daily-life. The interaction continued longer in the play context with the teachers’ support.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support than not support interactions among infants. If the interactions continued after the teachers’ supports, the duration of the interaction in the play context was longer than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ants’ soc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according to event types. In particular, infants tended to show more positive attempts and responsive behaviors, and teachers tended to show more child-centered support in the context of routine daily-life rather than play. Furthermore, when teachers provided support on infants’ interactions, infants tended to show more attempts in interacting with peers and also showed more responsive behavio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fants’social attempt and reaction behaviors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As more infants’ positive attempt behaviors toward peers appeared, fewer negative attempts were made in both the 1 and 2-year-old classes. As more positive responses towards peers appeared, the fewer negative responses and rejection were made. Also as more negative attempt behaviors showed, fewer positive responses and more negative responses appeared. Both 1-year-old and 2-year-old class teachers tended to provide support based on the infants’ behavior. When infants showed positive attempts and responses toward peers, teacher tended to provide less adult-centered support. Meanwhile when infants showed negative attempts and responses toward peers, teachers tended to provide more adult-centered suppor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questions 2 were as follows: Teachers tended to recognize ‘pla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eer interactions and teacher support. However teachers in the 2-year-old classes emphasized ‘play’ more than the other factors in peer interaction than the teachers in 1-year-old classes. According to topic modeling analysis, both 1-year-old and 2-year-old class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ollowing common topics i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 support which were ‘infant-peer interaction in the play context’, ‘expressing emotion to peers’, ‘effects of family context on infant-peer interaction’, ‘supports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differences in infant-peer interaction based on gender’. Meanwhile, 1-year old class teachers tended to emphasize ‘safety’ and ‘routine daily-life’, whereas 2-year old class teachers tended to emphasize ‘teacher intervention’ and ‘language expression of emotion’ as important contextual response in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suppor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as it provides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ir supports. And this study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the content and method of infant teacher training for infant-peer interaction and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