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8 Download: 0

놀잇감에 대한 영아학급 보육교사의 인식 및 제공 현황

Title
놀잇감에 대한 영아학급 보육교사의 인식 및 제공 현황
Other Titles
Infant Care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Authors
이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학급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놀잇감 인식 및 제공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잇감에 대한 영아학급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영아학급 보육교사의 놀잇감 제공 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세 학급, 2세 학급, 1‧2세 혼합 학급의 담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교사의 놀잇감에 대한 인식 및 제공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묻는 문항, 교사의 놀잇감 인식을 묻는 문항, 교사의 놀잇감 제공 현황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연구문제에 따른 빈도, 백분율, 케이스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잇감의 인식과 관련하여 보육교사는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교사는 놀잇감이 영아의 놀이 및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아에게 적절한 놀잇감의 특징 및 제공 방식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표준보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놀잇감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교사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잇감의 제공 현황과 관련하여 보육교사는 책, 블록, 역할 소품, 악기를 항시 제공하였고, 자연물, 재활용품, 식재료는 간혹 제공한 반면 식재료, 운동기구, 재활용품은 전혀 제공하지 않는 교사도 있었다. 교사는 영아의 놀이 및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놀잇감을 항시 제공하고 있었으며, 정해진 시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융통적으로 놀잇감을 제공하고 있었다. 놀잇감 추가 제공 시 무엇을, 언제 제공할지에 대해 영아의 의견보다는 교사의 의견을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는 영아의 놀잇감 사용법 및 사용 공간을 제한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영아의 안전을 중요시하기 때문이었다. 이상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정리하면, 보육교사는 놀잇감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영아 발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일부 놀잇감의 특징 및 제공 방식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이에 영아 발달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높아지면, 놀잇감에 대한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교사의 놀잇감 제공 현황을 감안할 때, 인식과 실제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놀잇감의 제공 형태와 제공 이유 간에도 모순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아 발달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자료 제작 및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놀잇감에 대한 인식과 제공 현황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놀잇감 제공 시 보육교사가 느끼는 어려운 점, 도움이 필요한 점 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by daycar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infant care teachers' perception of toys? 2. What is the status of infant care teachers' provision of toys? For this, 231 homeroom teachers of 1-year-old, 2-year-old, and 1-and 2-year-old infant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 questionnaire creat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general background, perception of toys, and provision of toy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case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aycare teachers generally showed a high perception of toys.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positive effects of toys on infants' play and development, and were generally well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ys appropriate to infants and the proper provi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ny teachers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oys due to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Second, as for the provision of toys, the daycare teachers had always provided books, blocks, role-play props, and musical instruments and sometimes natural objects, recycled goods, and food materials.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had never provided food materials, exercise equipment, or recycled products. The teachers had always given toys to support infants' play and development in a flexible way based on the situation rather than according to a fixed schedule. When providing extra toys, what and when to give them were decided based on the opinion of teachers rather than infants. In addition, they had controlled how and where infants could play with toys for safety reasons. In conclusion, the daycare teachers had a high perception of toys in general, but they showed a low percep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vision of certain types of toy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better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will lead to a better perception of toys. Given how they provide toy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and that the methods and reasons of providing toys were also contradict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guidelines and provide teachers with training to help them better understand infant development. It is also important to identify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providing toys for daycare teachers in order to narrow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