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High School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Authors
이미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high school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CTB)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so that creative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school through promoting CTB. For this analysis, the result of survey from 7th-year teachers data of SELS in 2016 were used.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 is CTB which includes the use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the use of creative evaluation methods, and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curriculum.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teacher individual variables and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f CTB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The difference analysis in the use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by high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in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training participation time,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percep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recognition of policy, smart education utilization ability.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all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use of teacher's creative evaluation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in gender,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teacher's training participation time,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smart education utilization ability, percep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recogni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The use of teacher's creative evaluation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dministrative works hours, professional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principal's transformative leadership, principal's interest in class improvement.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teacher's training participation time,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smart education utilization ability, percep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recognition of policy.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all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TB of high school teachers. The use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is influenced by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gender,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smart education utilization ability, percep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recogni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and among variables of school characteristics, administrative works time, professional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school climate. In the use of teachers' creative evaluation methods, gender, teacher's training participation time,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recognition of policy and administrative hou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curriculum, gender,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teaching's training participation time, use of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smart education utilization ability, percep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recognition of creativity-related education policy, school climate, administrative work hours, and principal's interest in class improvement are significantly aff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eer supervision to form professional relations with fellow teachers and cooperate. Second, major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creative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awareness of teachers' policy understanding. Third, training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ers' smart education capabilities and to utilize computer and network aided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Fourth, schools should strengthen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o make school environment for creative education. Fifth, time and financial support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provided, and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increase teachers' motivation to participate.;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지능정보사회에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현행 교육과정은 이러한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창의적 사고 역량을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주요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는 것은 결국 교사라는 맥락에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창의적 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인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유아, 초등학교 교사 위주로 수행되었으며,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인 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수업 계획·진행·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인지적, 정의적 지원을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교사 개인 및 학교 특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7차년도 일반 고등학교 교사 및 학교 설문조사 결과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종속변인인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 창의적 평가방식 활용,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으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은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특성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교사 개인 변인으로 성별, 학력, 교직경력, 교직이수 형태, 임용 형태, 수업개선 활동, 연수 참여시간,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을 설정하였으며 학교 특성 변인으로 행정업무 시간, 학교풍토, 동료교사와의 전문적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장의 수업개선 관심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독립변인의 차이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교사 개인 변인 중에서 최종 학력, 교직경력, 수업개선 활동, 연수 참여시간,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학교 특성 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평가방식 활용은 교사 개인 변인 중에서 성별, 수업개선 활동, 연수 참여시간,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에 대해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교 특성 변인 중 행정업무 시간, 동료교사와의 전문적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장의 수업개선 관심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의 경우 수업개선 활동, 연수 참여시간,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에 대해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학교 특성 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에는 교사 개인 변인 중에서 학력, 성별, 교직경력, 수업개선 활동,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 학교 특성 변인 중에서 행정업무 시간, 동료교사와의 전문적 관계, 학교풍토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평가방식 활용에는 교사 개인 변인 중에서 성별, 연수 참여시간, 수업개선 활동,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 학교 특성 변인 중에서 행정업무 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에는 성별, 교직경력, 수업개선 활동, 연수 참여시간, 온라인 교수-학습 지원체제 활용, 스마트교육 활용능력,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인지, 창의성 관련 교육정책 필요성 인식, 학교 특성 변인 중 동료교사와의 전문적 관계, 학교풍토, 행정업무 시간, 교장의 수업개선 관심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동료교사와의 전문적인 관계는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과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 간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동료교사와 함께 전문성 개발을 도모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 동료장학 등을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한다. 둘째, 창의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지 정도는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과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교육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정책의 집행자인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정책을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교사들에게 제시하고 교육정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스마트교육 활용 능력은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과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교수-학습 매체 활용은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세 가지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교사 연수를 확대하고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교수-학습 매체와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마련하여 교사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가 학교풍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활용 수준과 창의적 교육과정 구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학생과의 관계와 학생의 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적극적으로 창의적 수업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성교육과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개선을 통해 창의교육을 위한 학교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의 연수 및 수업개선 활동의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 활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질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사가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 및 금전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