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미세먼지 노출의 빈혈 지표에 대한 영향과 공기청정기 저감 효과

Title
미세먼지 노출의 빈혈 지표에 대한 영향과 공기청정기 저감 효과
Other Titles
Study on the effect of exposure to fine dust on the indicators of anemia and the reduction effect using an air purifier
Authors
곽영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하은희
Abstract
본연구는‘가정주부 코호트’를 구축하여 미세먼지 노출의 빈혈 지표에 대한 영향과 공기청정기 저감 효과를 연구하였다. 가정주부는 주방에서 조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각종 유해물질을 비롯하여, 청소, 빨래 등 여러 가사노동을 통해 다량의 미세먼지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민감 집단이다. 이 연구는 코호트 모집을 통해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여 가정주부의 미세먼지 노출원 및 노출 정도를 파악하고, 미세먼지 노출 측정 방법별(중량법, 센서측정) 가정주부의 빈혈 지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미세먼지 노출 기간별 단기와 장기 특징의 차이를 알고, 빈혈지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기청정기 사용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에 따른 빈혈지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내외 환경유해물질 중 미세먼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료를 산출하며, 이후 빈혈에 대한 건강영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형태로 데이터를 구축하여, 가정 내 생활공간 내에서 미세먼지 측정 자료를 연계한 노출-바이오마커 연계자료를 구축함으로써, 미세먼지와 빈혈에 대한 건강영향의 연관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주부의 실내 미세먼지의 노출이 증가할수록 빈혈 지표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공기청정기 중재연구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에 따른 빈혈 지표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정주부 연구에서 미세먼지의 노출은 빈혈 지표에 영향을 주며, 이는 공기청정기의 사용으로 유의미하게 감소 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가정주부에서 실내 미세먼지에 대한 건강 영향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에 따라 실내 미세먼지 노출원 및 노출 정보, 미세먼지 노출의 빈혈 지표에 대한 영향과 공기청정기 저감에 따른 효과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Background and aim: Housewives are involved in daily household chores such as cleaning and laundry, making them directly exposed to indoor particulate matter (PM) exposure. Indoor PM exposure is a potential factor that increases systemic inflammation and affects hematopoietic ac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 of exposure indoor PM(Gravimetric and Sensor) and indicators of anemia (Hemoglobi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Mean M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and effect of air purifier intervention. Methods: We recruited a total of 300 housewives in Seoul and Ulsan, Republic of Korea. Among them, we analyzed the data of 40 housewives who were subjected to the air cleaner arbitration. Indoor exposure level of PM2.5 and PM10 of each housewife was analyzed as the adjusted value of the sensor and the gravimetric measure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indicator of anemia such as hemoglobin, MCV, MCH and MCHC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air purifier for three month.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multiple linear model and by linear mixed model. Results: The difference in indoor PM exposure levels by air purifier was related in anemia indicators (Hemoglobin and MCHC).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indoor PM2.5 level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MCHC (β: -0.034, P = 0.031) and Hemoglobin (β : -0.013, P = 0.04). The decrease in level of indoor PM2.5 level by air purifier was associated with a increase in MCHC (β: 0.204, P = 0.087) and Hemoglobin (β: 0.190, P = 0.039). In particular, the level of MCHC and Hemoglobin had a significant impact of the air purifier interventio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ine dust reduces hemoglobin and anemia markers. and that the intervention of indoor air purifier decreases PM exposure and affects the anemia indicators. Since the effect on anemia is subacute, this effect was confirmed three months after the air purifier was operated. In conclusion, blood health can be managed through fine dust reduction management. Keywords: indoor particulate matter, housew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