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기억 도축

Title
기억 도축
Other Titles
A Slaughter of The Memory : Focused on My Paintings with A Fear of Death
Authors
신채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경험은 물리적 시간의 흐름에 의해 끊임없이 변해간다. 흘러가는 시간으로 하여금 훼손된 ‘사건’은 그것을 회상하는 경험자에게 양가적이고 복합적인 감상을 가지도록 하는 동시에 사건의 발생 이후 잔재하는 기억은 경험자에게 자극으로 남아 망각에 이를 때까지, 혹은 망각 이후에도 불시에 등장하며 영향을 끼친다. 본인의 작업은 과거 본인이 겪은 정신병리적 ‘사건’에 기반하며, 지속적으로 훼손되어 가는 ‘사건’을 다층적인 시선과 감정을 경유하여 이미지와 텍스트로 분해 및 분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인은 작업의 시발점이자 소재인 ‘사건’을 평면 회화의 방식을 통해 ‘도축’하고자 한다. 가축을 해체하고 분해하는 방법인 도축은 본인이 ‘사건’을 여러 요소로 나누고 와해시키는 과정과 닮아있기에 이를 본인의 회화론에 접목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경험자에게 부여된 다양한 층위의 감정과 자극은 시각 언어로서의 도축을 통해 여러 단일 이미지로 은유된다. 경험에서 추출한 이미지들은 본인의 작업에서 납작하고 무질서한 구성으로 화면에 드러나는데, 추출과 박제를 반복하는 작업 제작 방식은 경험자가 느꼈던 과거의 자극으로부터 무뎌지길 바라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사건’으로부터 선택되는 이미지들은 사건 자체의 도덕적 가치나 판단에서 멀리 떨어져있다. 따라서 본인은 원본으로서의 경험이 이미지 중심의 기억으로 변형되고 유실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사건’에서 실제로 존재했던 이미지를 즉흥적으로 추출, 즉 선택한다. 선택의 기준은 회상과 망각이다. 같은 기억을 회상해도 오늘 떠올린 기억은 어제 떠올린 그것과 다르고, 내일 떠올릴 그것과 상이할 것이다. 또한 변해가는 기억의 구성 요소들이 경험자에게 드러내는 선정성은 항상 달라진다. 본인은 회상의 순간마다 가장 선정적으로 드러나는 이미지를 골라낸다. 이와 같은 ‘시간에 의해 변주되는 이미지로서의 기억’이 본인이 만들어낸 시각적 결과물의 방법론이다. 병리적 상황의 경험자, 그리고 그것을 재조명하는 회화적 주체. 이와 같은 이중적인 역할을 겸하는 본인이 염원하는 것은‘사건’과 그것으로 인한 자극에 둔해지는 것이다. 더하여 생과 사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사건’은 본인에게 죽음으로 인해 경험할 필연적 이별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멈출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타고 다가오는 죽음의 결말은 사건 이후의 또 다른 사건으로 경험 가능하다. 이러한 예정된 사건 외에도 앞으로 ‘사건’을 축으로 하여 수많은 사건이 파생될 것이다. 따라서 본인은 작업을 통해 불시에 겪을 이별, 혹은 충격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 본인은 과거의 특정 사건을 기반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판단하며 그것들을 이미지와 텍스트로 기록하고, 나아가 이후 경험할 필연적 자극에 대비한다. 분열적인 ‘판단’과 복합적 층위의 형태를 띤 ‘기록’의 방식, 즉 ‘도축’을 통해 파편적 기억으로서의 ‘사건’은 경험자에게서 점차 멀어진다. 경험자는 도축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행함으로써 나아가 본인과 비슷한 경험을 할, 혹은 했던 또 다른 경험자들에게 다가올 자극을 이미지로써 제시한다. 따라서 필연에 대한 예언을 통하여 앞으로 수없이 생겨날 사건의 경험자들이 겪을 충격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기를 기대한다. ;Experience is constantly changing by the flow of physical time. ‘The event’ that is damaged by the passing time makes the experiencer of the event have an ambivalent and complex appreciation; simultaneously, the memory that remain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vent persists as a stimulus to the experienced person and continues to affect them until they reach oblivion. My work is based on the psychopathic ‘the event’ I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It i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decomposing and analyzing continuously of the damaged ‘the event’ into images and text through multilayered eyes and emotions. I want to ‘slaughter event’, which are the starting points and materials of the work, through the method of flat painting. Saughtering, a method of dismantling and decomposing livestock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dividing and destroying ‘the event’ into various elements, therefore is applied to my painting theory. As previously mentioned, the feelings and stimuli of various layers given to the experiencers are metaphorized into multiple single images as slaughter in the form of visual language. The images extracted from experience are shown on the screen in a flat and disorderly configuration of my work. This intended process of extraction and stuffing is repeated to overcome the past stimuli felt by the experiencer and to slowly overcom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eventually to become dull. The images chosen from 'the event' are far from the moral value or judgment of the event itself. Therefore I improvise or select an image that actually existed in 'the event' based on the process where the original experience is transformed and lost into image-oriented memory. The criteria for choice is based on recall and oblivion. Even if you recall the same memory, today's memory is different from yesterday's, and it will be different in tomorrow’s. Also, the sensationalism by the changing components of memory always reveals differently to experiencer. In every moment of remembrance, I pick out the most sensational image. Thus, I created the ‘memory as an image altered by time’ as the methodology through visual results. The experiencer in a pathological situation, and the painter that sheds light on it again; this is what I wish to do within the dual role and to be insensitive to the stimulus of ‘the event.’ In addition, ‘the event’ that crosses the line of life and death raises fear of inevitable separation which comes with death. But after the ending of coming death, riding on an unstoppable flow of time, can be experienced as another event after the event. In addition, a number of events will be deriv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event’ apart from what is scheduled. Therefore, the process of creating my work prepares me to face a sudden breakup or shock in the coming future. I feel and judge various emotions based on certain events of the past, record them as images, and even further prepare myself for the inevitable stimuli which to experience in the time to come. Through the divisive method of the form 'judgment' and the 'records' with complex layers, i.e. 'the event' as fragmented memories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experienced people. By continuously non-stopping the act of slaughter, the experiencer can foretell a visual image of the fear that will come to another experiencer who will or have a similar experience.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prophecy of necessity will reduce the impact of the numerous events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