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자발적 고독의 시간 표현 연구

Title
자발적 고독의 시간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ime of Spontaneous Solitude : Focused on the Image of Garden
Authors
문예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자발적 고독에 대해 탐구한 과정을 정원 속 식물로 은유해 표현한 조형적 연구이다. 연구자는 자아에 대한 고찰의 방법으로 내면의 감정을 돌아보고 치유함으로써 올바른 자아로 성장하는 시간을 ‘자발적 고독의 시간’이라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고독의 시간을 정원 속 식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빠르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하고 많은 생각과 감정을 느끼며 지나보낸다. 경험들로부터 나온 감정은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자아를 자라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지나간 내면의 감정을 살피고 보듬어주는 긍정적 시간은 올바른 자아 확립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연구를 통해 자발적 고독의 시간이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첫째, 고독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정원의 의미와 자아를 형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정원의 조형성을 다양한 작품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표현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작품 표현을 위한 제작 방식에 대한 연구로는 자수와 페인팅으로 표현한 작품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중첩 방식의 공간 구성 사례 작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색채를 통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을 위해 드로잉으로 먼저 작업 구상을 하였다. 기억과 감정의 중첩을 표현하기 위에 첫 번째 레이어에 페인팅으로 기억의 형상을 재현하고 후에 감정을 자수를 통해 형상화하였다. 또한 기억의 축적을 표현하기위해 투과성이 있는 소재를 택하여 중첩 효과를 주었다. 이는 감정들이 쌓여 얽힌 복잡한 심리를 중첩으로 나타내기 적합하다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총 6개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자수와 페인팅을 투과성이 있는 소재로 중첩함으로써 그 사이에 공간을 주어 예술적으로 연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자발적 고독의 시간을 통해 경험으로부터 나온 감정을 다시 돌아보고 깨달음으로써 자아를 긍정적으로 형성해가는데 도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예술로 표현함으로써 고독 속 성장을 통해 나아가 타인과 더 나은 소통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This paper is a formative study that metaphorically describes the process of exploring spontaneous solitude as a plant in garden. The time to grow into a right self by looking back and healing inner feelings in a way that concerns the self is called the time of spontaneous solitude. And it is expressed as a plant in garden. In the daily life, people have numerous experiences and pass through many thoughts and emotions. Emotions from experiences play a role in bringing up the self with negative or positive effects.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positive time to examine and care for past inner feeling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tablishing the right self. Thus, the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time of spontaneous solitude and state it in a formative way through this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seeks to consider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solitude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study how gardens affect self-forming. The researcher also want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manifestation of the topic by looking at the sculptural nature of garden through various works. As a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for the expression of works, the researcher not only studied examples of works expressed in embroidery and painting, but also looked at works with examples of spatial composition of overlapping methods. Furthermor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were analyzed through colors. The drawing was the first step of the production. Above indicating the overlay of memory and emotion, the first layer was painted to visualize the shape of the memory, and later the emotion was depicted through embroidery. A penetrating material was chosen to actualize the accumulation of memory, which gave an overlapping effect as well. This was because overlapping technique was suitable to embody the complex psychology of mixed emotions. Based on this, a total of six works were produced, and by overlapping embroidery and painting with penetrating materials, the researcher wanted to create an artistic production by giving space between them. From this process of production, the statement of ‘Looking back and understanding the emotions from spontaneous solitude could form one’s mind positively’ was confirmed. Also, articulating this in an artistic way, a better communication and harmony with others could be done by going through the growth in solitu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