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싱가포르 학습자의 대중문화 소비 양상과 한국어 담화표지 사용 능력의 상관관계

Title
싱가포르 학습자의 대중문화 소비 양상과 한국어 담화표지 사용 능력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pop culture consumption and the Korean discourse marker usage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ingapore
Authors
오정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한류 열풍과 한국어 학습이 보이는 정적 상관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한류 중에서도 드라마, 영화, 쇼 프로그램처럼 담화 형식으로 제공되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이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대중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을 측정할 만한 방법으로 노출도와 선호도, 집중도의 세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비가 보다 큰 영향을 미칠 만한 영역으로 구어 담화에 주목했고 그 중에서도 구어 담화표지를 측정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통해 어떻게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는지를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20세기 후반 시작된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수용과 소비에 대한 연구,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를 한국어 교육에 도입한 시도에 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연구 총 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출도와 선호도, 집중도로 살펴 본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대중문화에 대한 노출도, 선호도, 집중도가 학습자의 담화표지 사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장에서는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정 도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양상에 대한 이론과 담화표지에 관한 이론,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에 대한 이론으로 문화적 근접성과 문화 간 감수성을 검토한 뒤, 그러한 이론이 외국어 교육과 습득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담화표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오늘날과 같은 정의로 사용하기 시작한 Schiffrin은 물론 담화표지라고 묶일 만한 단어와 표현에 처음으로 주목한 Longacre(1976)부터 고찰하였다. 이후 한국어학에서 담화표지에 주목하고 한국어 교육학이 이를 도입한 흐름을 훑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형 분류를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연구 전차, 실험 도구,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의 순서로 기술하였다. 대중문화 소비 양상과 담화표지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두 가지 실험 도구를 개발하여 확정하기 위해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 4인을 포커스그룹 인터뷰하였고, 3회에 걸쳐 30인의 모어 화자와 5명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중문화 소비 양상의 세 가지 하위 영역, 총 6개의 질문을 결정하였고, 담화표지 사용 능력은 20문항으로 구성된 다지선다형 DCT로 측정하기로 하였다. 개인정보 설문, 대중문화 소비 양상 측정 설문, 담화표지 사용 능력 테스트의 세 파트로 구성된 본 실험을 32명의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진행된 본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전반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비교적 장시간 노출되어 있었고, 한국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며, 한국 대중문화를 소비할 때 이를 한국어 학습에 활용하거나 학습한 한국어를 활용하려는 의지 역시 높았다. 담화표지 사용 능력 테스트 결과, 학습자들은 평균 점수 59.69점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는데 대중문화 소비 양상의 하위 영역 중 집중도 1(한국어 학습에 드라마, 영화, 쇼 프로그램을 활용하려는 의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살펴 본 연구 결과의 분석을 토대로 전체적인 연구를 종합하고 정리하면서 의의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표지 사용 능력과, 대중문화 소비 양상을 측정하고 둘 사이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 실제로 담화표지 사용 능력과 대중문화 소비를 한국어 학습에 활용하려는 집중도 사이에 양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점, 절대적인 노출 시간은 한국어 숙달도 혹은 성취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후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법과 교재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하다는 점 등에서 의의를 찾았다. 또한 실험도구를 보다 정밀화하고 실험 집단을 확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correlates with their Korean pop culture consumption by closely analyzing a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ingapore. This research raises two questions: how we can determine the consumption patterns in Korean cultural products such as TV dramas, variety shows, and films. And to what extent we can measure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To answer the raised questions, I will introduce three sub-areas that help meaure the extent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Then I will investigate a spoken discourse marker as a tool to measure proficiency that can be directly affected by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 such as TV dramas, variety shows, and films.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is split into three sections: studies on the acceptance and consumption of Korean pop culture contents, studies on attempts to apply Korean pop culture content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I will addres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aspects of Korean pop culture consumption by Singaporean learners of Korean in terms of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Second, do the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of popular culture affect Korean language learners' ability to use discourse markers? The second chapter engages with the theory of global popular culture export and consumption, such as cultural proximity and intercultural sensibility, and how we can adopt such approaches in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is chapter also delves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obert E. Longacre’s discourse markers (1976) and Shiffrin's study. Based on the Longacre and Shiffrin’s models, I will further identify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characteristics and then classify the type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the third chapter, I will describe this study’s core search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 research tools, participants,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draws chiefly from primary data, and the methodology applied was a questionnaire-based survey among Singap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 have conducted preliminary tes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our Singaporean Korean learners. Then 32 Singaporean Korean learners at one of the polytechnics in Singapor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both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accessed for the study.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urvey data reveals that Korean learners are exposed to Korean pop culture content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they maintain a high preference for Korea. And they are willing to used it to learn Korean or use the Korean language when they consume Korean pop culture. In the discourse marker usage ability test, the average score was 59.69 out of 100 points, and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centration 1 (willingness to use dramas, films, and show programs to learn Korean). Final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n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xperimental tool to measure the ability to use discourse markers and popular culture consumption patterns. It has examined the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t has also shown that absolute exposure time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learners’ Korean proficiency. Besides, a follow-up study with further refined experimental tools and expanded participants group is propo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