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조선 후기 공예품의 칠보문(七寶紋) 연구

Title
조선 후기 공예품의 칠보문(七寶紋)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lbomun(七寶紋) of Craft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이다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조선 후기 공예품 장식문양 중 현실에서 사용된 물건의 조형을 본뜬 소재가 있다. 이를 조선 후기의 문헌에서는‘七寶’라고 칭했다. 칠보문은 조선 후기 공예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었기에 오늘날 여러 문양사 서적에서 길상 문양의 하나로 소개되었다. 기존의 서술에 따르면 칠보문은 일곱 가지 종류의 문양으로 구성되었거나, 전혀 다른 소재이지만 명칭이 동일하다는 이유로 전륜성왕의 칠보와 관련되어 있다고 인식되었다. 칠보문을 둘러싼 인식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려지지 않은 채 하나의 통설로 굳어져 회자되고 있다. 이처럼 칠보문이 문양사와 공예 연구에서 널리 언급되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유물이나 기록을 통한 실증적인 검토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필자는 조선 후기 공예품에 나타난 칠보문의 연원·범주·의미 그리고 수용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실에서 사용된 여러 가지 물건을 본따 만든 문양이 칠보문을 구성한다. 문양은 개념에 따라 또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렸지만, 궁극적으로 귀중하고 보배로운 물건을 따서 만들었다는 점에서 ‘寶紋’이라 총칭할 수 있다. 조선 후기 공예품에 나타난 칠보문의 연원은 중국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먼저 중국에서의 보문 개념과 시대에 따른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보문은 중국 唐代 처음으로 사용이 관찰된 이래 송·원·명·청을 거치며 거듭 발전해왔다. 비단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과 무로마치시대 이후 일본 등 동아시아 전반에서 보문의 사용이 전개되면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개념어가 등장했다. 보문에서 파생된 용어는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눠볼 수 있다. 하나는 ‘八吉祥’, ‘暗八仙’과 같이 보문을 활용한 도안의 명칭으로 중국에서 명청대 이후 성립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보문의 총칭으로 국가별로 다른 용어를 사용했는데 청대에는 ‘八寶’와 ‘雜寶’, 일본에서는 ‘宝尽くし[타카라즈쿠시]’라는 용어가 확인된다. 중국에서의 보문의 전개 과정과 특징은 송·원대와 명·청대로 구분해서 정리하였다. 당대 보문의 초보적 사용이 시작된 이래, 송대에는 재물과 보화의 의미를 지닌 서각·금정·은정·산호 등의 물건을 본뜬 문양이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변상도나 장식고분 등과 같은 회화적 장면을 보충하는 요소로 시작하여 비단·칠기·도자 등 공예 장식으로 도입되었다. 원대에는 송의 흐름이 유지되는 한편, 황실의 티벳 불교 신봉으로 불교 여덟 공양물의 형태를 본뜬 문양이 유입되었다. 종교적 물건에서 비롯된 보문은 특정한 조합을 갖기보다는 송대부터 전해온 보문과 어우러져 배치되는데, 이 시기의 유통된 것은 모두 종교적인 장면 내에서 표현되고 있었기 때문에 함께 사용되는 것이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명대에는 원대까지 큰 구별 없이 사용된 보문 일괄이 팔보와 팔길상 도안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여기에 명말 출판문화의 발달과 그에 따른 삽도의 성행에 힙입어 호리병·파초선과 같은 도교 신선의 지물, 책·여의·부채 등 문인의 청완품, 비파·거문고 등의 악기나 고대 청동기 등 다종다양한 물건이 문양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갖은 종류의 물건 형태를 본뜬 보문을 특별한 구별 없이 사용한 경향은 명말에 일시적으로 확인될 뿐이지만, 조선 후기 공예품의 칠보문과 구성 및 조형의 측면에서 흡사하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대에는 새로운 종류의 보문이 등장하진 않았지만, 대신 종교적 또는 문학적 연원을 공유하는 여러 보문이 팔길상·암팔선·박고문 등의 도안을 형성했고 공예 장식으로 성행했다. 반면 명말에 시작된 다종다양한 보문을 특별한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경향은 찾아보기 어렵고, 대신 종속문양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이어서 중국 미술에서 처음 시작된 보문이 어떻게 조선 후기 공예 장식으로 사용되고 ‘칠보’라는 명칭으로 불릴 수 있었는지 칠보문의 수용배경을 추적하였다. 칠보문은 조선 후기 공예 전반에서 활발히 사용되었지만, 이미 고려와 조선 전·중기의 미술에서도 활용되고 있었던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조선 전·중기 명과 관계를 통해 칠보문 사용의 교두보가 마련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전기의 경우 명과 조공관계로 유입된 비단과 조각 등의 공예품을 통해 팔보와 팔길상의 보문 조형을 학습하면서 칠보문 사용의 토대를 만들어 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연산군대 기록에서 칠보라는 내용이 확인되며, 유물 가운데서는 청화백자 전접시 뒷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칠보문 장식이 주목된다. 한편 양란 이후 명과 경제적, 문화적으로 가까워지고 명의 물화와 유행이 즉각적으로 조선에 유입되면서 조선 중기의 칠보문은 구성과 세부 표현에서 변화를 맞이했다. 특히 명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복식수에서 변화된 칠보문의 양상이 확인되었다. 먼저 전기에는 보이지 않던 호리병이나 경과 같은 요소가 등장했고 보문의 형태 묘사도 회화적이기보다는 직선화된 경향이 간취되며 구슬이나 띠장식이 추가되었다. 띠장식과 같은 새로운 요소는 16~17세기 제작된 청화백자 명기에서도 나타나 조선 중기 변화된 칠보문 요소가 공예 전반에 적용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조선의 칠보문은 전기와 중기에는 종류와 표현 방식상 차이를 보였지만, 중기의 양상이 후기에 지속된다는 점에서 중기를 기점으로 칠보문 조형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양란 이후 칠보문의 변화는 명말 보문의 종류가 증가하고 공예 장식으로 활용되던 점이 조선과 명의 교류를 통해 유입되고 수용된 결과물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문은 명대 이후 동아시아 전반에서 사용되었기에 조선 후기 칠보문의 모든 경향이 명에서 비롯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며, 청과 일본 역시 보문이 장식된 공예품을 생산했고 그것이 다시 조선 후기 칠보문 사용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겠다. 조선 후기 칠보문 공예품의 양상은 금속제·목제·도자제 공예품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칠보문의 구체적인 범주와 시문유형 그리고 성격을 추정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칠보문의 전체 구성 요소와 범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재질의 공예품에서 확인된 보문을 취합하는 귀납적 방법을 선택했으며, 그 결과 적어도 35종의 보문이 칠보문을 구성했음을 확인했다. 한편 칠보문 범주에 속한 요소들이 모든 재질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통해 여러 종류의 보문이 칠보문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파악되지만 사용 빈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양을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조이·입사·조각·나전·청화·투각 기법별로 칠보문 범주에 속한 보문 사용 빈도를 검토하였고, 한 가지 재질에만 등장하는 것부터 모든 재질에 등장하는 것까지 총 다섯 집단으로 나눠 칠보문의 층차가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칠보문의 기본 단위는 중심 소재가 되는 보문을 중심으로 띠장식과 구슬로 이뤄지며, 이때 보문은 물건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띠장식이나 구슬은 보문을 부각시키는 요소로써 필수적으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혔다. 다음으로 문양을 구성하는 35종 이상의 보문이 이합집산하는 특성에 초점을 맞춰 칠보문의 시문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눠보았다. Ⅰ유형은 칠보문이 띠형으로 배치되어 文樣帶를 이루며 기면 내에서 테두리나 폭이 좁은 공간을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Ⅱ유형은 칠보문 범주에 속한 보문이 독립적으로 유통되는 경우로, 단독으로 기면을 장식하거나 다른 장식문양과 결합한다. Ⅲ유형은 칠보문 범주에 속한 여러 보문이 일괄 등장하며 기면 전체에 비정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시문유형을 통해 칠보문의 쓰임을 검토하면서 문양 운용상 몇 가지 특성을 추출하였다. 먼저 칠보문의 하위 요소들은 결집하여 일군을 이루며 등장하기도 하지만,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칠보문의 요소들이 응집성을 가지면서도 개별적인 독자성을 지녔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종속문양이나 중심문양에 국한되지 않고 두루 사용되고 있는 점을 통해 어떤 상황이든 적용될 수 있는 유연함과 수용성을 가진 문양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칠보문의 성격과 그에 따른 쓰임을 고찰하였다. 칠보문을 구성하는 보문은 현실에서 재화, 보물의 가치를 지녔거나 종교적 신성함, 문인의 아취 등을 표상했던 것들이다. 사회적 맥락 속에서 부여된 물건의 의미는 나아가 칠보문의 의미와도 연결되며, 귀중하고 가치 있는 것들의 집적이라는 측면에서 칠보문을 곧 길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길상성을 내포한 칠보문은 왕실의 가례, 진찬 등 연향뿐만 진전, 궁원 등 제향 공간에서 사용되었다. 칠보문이 제향에까지 사용될 수 있던 배경에는 길례 속제가 이뤄지는 진전과 궁원은 망자를 살아있는 것처럼 모시는 곳으로, 일상과 연향의 조형이 사용되었던 조형 원리가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조선 후기 공예품의 칠보문에 주목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중국 송~청대 보문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전개과정이 파악되었다는 점과 그동안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검토가 부족했던 칠보문의 구성, 의미 그리고 유입과정 등을 유물과 기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re is a material modeled after the shapes of objects in real life among the decorative patter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was called 'Chilbo'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Since Chilbomun was widely used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currently, it has been introduced as one of the auspicious symbols in various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existing description, it was perceived that Chilbomun was related to Chakravarti's seven miracle treasures, since it is composed of seven types of patterns or it is a completely different material but the name is the same. It is not known when and where this perception of Chilbomun began, but it has already become a common theory. Chilbomun is widely mentioned in the study of pattern history and craftwork, but ironically, the empirical review through relics or records has not been made.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origin·category·meaning·acceptance of Chilbomun, the craftwork in the late Joseon crafts through this thesis. First of all, it examined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Bomun(寶紋), composing Chilbomun. Bomin is a generic term for molded patterns of the objects used in real life, and it has developed through the period of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y since the beginning in the Tang in Chinese art, and it was also used after the Joseon Dynasty and the Muromachi of Japan. The name of Bomun differs depending on times and regions, but, in th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the 'Chilbo' was a generic term for the entire Bomun. In Bo-moon, which first appeared in Chinese art, it can be verified the increase of its types and expansion of spendatur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rudimentary use in the period of Tang, the patterns modeled after the objects such as rhinoceros horn, gold ingot, silver ingot, and coral, which have the meaning of wealth and treasure were distributed thank to the social aspect of the Song Dynasty, which had been affirming the rich lifestyle. These were begun as supplementing elements for pictorial scenes such as Byunsangdo(變相圖) and Decorated tombs, but gradually expanded to handcrafts decorations and introduced into the decorations of silk, lacquerwork, and ceramic. The trend of Song Dynasty was maintained in the Yuan, while the patterns modeled after the forms of the eight offerings in Buddhism were introduced by the royal belief in Tibetan Buddhism. The Bomun originated from religious objects was placed mixed with the one, which had been handed down since the Song Dynasty rather than having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it was considered that it was possible to be used together because all Bomun distributed in this period was expressed in the religious scenes. In the Ming Dynasty, the Bomun batch, which was used without much distinction until the Yuan, was clearly distinguished by Babao(gold ingot, silver ingot, coin, fangsheng(方勝), rhinoceros horn, ivory, precious pearl, coral) and Bajixiang(parasol, golden fish pair, white conch, wheel, vase, lotus flower, banner, eternity knot). Furthermore, as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culture and the consequential prevalence of illustration in the late of Ming, various kinds things such as the objects of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like gourd-shaped bottle and palm leaf fan, things of literati like books, ruyi(如意), and fan, and musical instrument and ancient bronze objects were begun to be used. The tendency to use patterns modeled after various types of objects without any particular distinction is only identified temporarily in the end of the Ming, but it is especially worth noting because it is similar in terms of composition and modeling to Chilbomun of craft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ew kind of Bomun was not appeared in the period of Qing, but Bomun designs such as Bajixiang(八吉祥), Anbashan(暗八仙), and Bakgomun(博古紋), which were based on religion or literature, were prevalent. On the other hand, the tendency to use various types of Bomun without any particular distinction of the end of the Ming is usually seen in the depend patterns. The use of Bomun, which began in China, is also seen in the arts of the Goryeo and the early and mid-Joseon period, and it became the motive for the active use of Chilbomun as a craft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Goryeo period, Bomun was used in the background of scenes featuring Buddha and Bodhiattva or Seosu,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trend of Chinese art in the same period. The period of early and mid-Joseon were when the foothold of recognition and acceptance on Chilbomun was established and it can take special notes of the two points. First, it was to learn Chilbomun in the tributary relation with the Ming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can be verified the acceptance of Chilbomun in the early Joseon through the cases of accepting Bomun from the imperial gifts and producing a shape of Babao and Bajixiang to give them to the Emperor. Second, after Imjin War and Byungja War, a new trend of Bomun was introduced in a situation where the goods of Ming Dynasty was directly introduced and felt the culture of Ming was psychologically close. During this period, the rapid influx of Bomun at the end of the Ming was used in the crafts of the Joseon, and it is assumed to have formed a continuous trend with the late Chilbomun. And then, it examined the metal, wood, and ceramic craftwork of the late Joseon in order to verify the specific aspects of the Chilbomun crafts. It allowed to estimate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category, type, and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Chilbomun. An inductive method of collecting identified object patterns from three materials of craftwork was selected to estimate the category of Chilbomun. As the result, it was verified that at least 35 knds of Bomin composed Chilbomun. Meanwhile, through the fact that elements in the Chilbomun category do not appear in all materials, it showed that several types of Bomun are identified as one concept of Chilbomun, but there is differences on the frequency of use. To understand the patterns more tridimensionally, it examined the frequency of use of objects patterns in the Chilbomun category by techniques of joyi, ipsa, sculp, mother-of-pearl work, blue and white, and open work, and it was 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of Chilbomun in five groups from the one appearing on only one material to on all materials. And, it divided the types of Chilbomun, a collection of more than 35 kinds of Bomun, into three categories, focusing on its characteristic of the changes in the alignment by the sub-factors. Type I is an example of Chilbomun forming a pattern, used to decorate the edging or narrow space in the surface. Type II is an example of the independent distribution of Bomunm in the Chilbomun category, which either decorates the surface alone or combines with other decorative patterns. Type III is an example of appearing Bomun in batches in the Chilbomun category, which is placed in an unstructured throughout the surface. Finally, it considered the meaning of Chilbomun and its use. The objects composing Chilbomun are the things that have wealth and treasure values or represent religious sanctity, and literati's tastefulness in a real life. The meaning of an object granted in a social context can be connected to the meaning of Chilbomun, and, in terms of accumulation of valuable and precious things, it can understood Chilbomun to be auspicious symbols. Chilbomun implying auspicious meaning was used in royal banquet such as garye(嘉禮) and jinchan(進饌) of the royal family, and ritual spaces such as jinjeon(眞殿) and gungwon(宮園). In the background that Chilbomun could be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in ritual, there is a principle in which the molding of daily life and royal banquet was used, as jinjeon and gungwon, where gillye(吉禮) sokje(俗祭) was taken place, are places for the dead enshrined as living people Chilbomun, which was used as a craft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pattern composed of more than 35 Bomun at least. During the early and mid-Joseon Dynasty, it was introduced to Joseon in the exchanges with the Ming and was actively used in royal crafts as well as among ordinary people, and in particular, it was used as a decoration for various craftwork of all material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espite the growing complexity of craft decora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ttern showed a wide range of capacities to be used in harmony with various decorative materials, and as the name and composition of Chilbomu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the same period, it can be summarized as the patterns us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ociety of Jose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racked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origin, composition, meaning, and introduction process of Chilbomun, which has lacked empirical review.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