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경천사지 십층석탑(敬天寺址 十層石塔)의 양식과 성격

Title
경천사지 십층석탑(敬天寺址 十層石塔)의 양식과 성격
Other Titles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n-story Stone Pagoda from Gyeongcheonsa Temple Site
Authors
이가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미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을 ‘歷史’, ‘樣式’, ‘眞言’이라는 세 개의 주제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경천사탑의 성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경천사탑은 고려 忠穆王 4년(1348) 조성된 탑으로, 탑신부 1층에 建立年代와 탑의 發願者를 알 수 있는 造塔銘이 있다. 또한 독특한 구조적 특징과 목조건축을 구현한 조각, 그리고 화려한 부조상으로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佛塔 가운데 하나이다. 2005년 경천사탑이 복원 처리를 거친 이후 탑의 발원자와 양식적 특징에 관한 논의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이를 통해 자료적 접근으로나마 敬天寺의 존재가 드러났으며 銘文의 해석을 바탕으로 탑이 원 황실을 위해 건립된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동시대 조성된 보편적인 석탑과는 다른 독특한 조형성에 근거하여 異形石塔으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며 양식의 淵源을 추론하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경천사탑의 조성배경과 양식적 특징은 명확한 해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으며, 탑에 쓰여진 진언은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더욱 깊이 있는 접근을 요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는 경천사탑을 다각적인 주제와 개별적인 층위로 나누어 고찰하여 탑의 미술사적 특징과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경천사탑의 역사에서는 문헌 자료를 통해 과거의 경천사와 경천사탑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경천사가 원 황실의 원찰로, 경천사탑이 원 황실을 위해 조성된 것으로 豫斷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기록 마저 구전으로 성립되어 轉載을 거친 자료임을 확인하였고 오히려 경천사는 고려 왕실의 원당이었다. 또한 14세기 장기화된 몽골과의 전쟁으로 폐사되거나 기능이 중지된 경천사가 중수의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14세기 경제력이 있던 문사, 권세가, 원 황실 인물들이 사찰의 재건을 후원했던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강융과 고룡보가 탑의 조성을 후원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조성된 경천사탑의 흥미로운 기록 중 하나는 경천사탑과 유사한 형식으로 건립되었다고 전하는 殘影의 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甘露寺의 석탑, 衍慶寺의 석탑, 興王寺址 석탑의 유허,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의 존재를 통해 경천사탑 계열의 석탑이 다수 건립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예들이 바탕되어 조선 초기 원각사탑의 양식으로 이어지는 계기로 판단하였다. 근대의 역사는 일본으로 반출되었던 경천사탑이 반환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大正自十一年至十三年古蹟保存工事』, 「敬天寺塔取寄竪立에 관한 件」(문서번호:A060-004)를 분석하였다. 이 문서는 1917년부터 1925년까지 실시된 고적 보존 공사 자료 중 경천사탑의 환송 허가와 과정, 운반, 수리와 건립 그리고 이에 사용된 비용과 예산을 기록한 자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문서의 해석을 바탕으로 1907년 반출되었던 탑이 1917년부터 논의를 거쳐 국내로 환송된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탑의 수리와 복원, 건립을 위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계획을 살필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양식 부분에서는 경천사탑에 표현된 목조건축 구조와 다양한 부조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경천사탑은 난간석과 건축물의 축부를 표현한 탑신석, 건물의 지붕을 묘사한 옥개석을 올려 목조건축의 요소를 구현하였다. 또한 탑의 부조상은 탑신부의 불회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전반적인 구도와 구성이 변상도와 변상판화와 유사한 점을 확인하였다. 경천사탑의 양식과 비교·분석할 대상으로는 중국 宋代 시기에 주로 건립된 樓閣式 石塔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누각식 석탑은 경천사탑처럼 석재를 이용해 목조건축을 묘사하고 탑의 전면에 부조상을 장엄한 공통점을 가진다. 누각식 석탑과 경천사탑의 비교 결과 난간석, 탑신부, 옥개석에서 유사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목조 건축물의 의장을 섬세하게 구현한 친연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부조상은 불회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상과 제재가 일치하였으며 양감이 강조된 표현, 불존상들의 자세와 형식 등 조각적 특징도 유사하였다. 세 번째로, 경천사탑의 진언에서는 탑에 쓰여있는 梵字를 알아보기 위해 字形의 분석부터 내용의 해석을 거쳐 진언의 의미와 기능을 아울러 파악해 보았다. 경천사탑에 쓰여진 범자의 서체는 란차체였으며 범자를 로마자로 표기하여 일부 해석되는 단어들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수능엄경』의 주체가 되는 단어인‘如來佛頂’이라는 단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천사탑의 진언이 『수능엄경』7권에 수록된 楞嚴呪와 유사한 계통이거나 수정, 변형된 진언을 새겼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수능엄경』과 능엄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首楞嚴三昧를 가지고 呪力을 행한다면 모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당대 신변과 관련된 보호와 과보의 소멸을 목적으로 크게 신앙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경천사탑의 발원자인 姜融과 高龍鳳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가능하였다. 친원세력인 그들이 원 황실을 위해 탑을 조성했다는 기존 연구의 해석과는 달리 강융과 고룡보는 탑이 조성되었을 1348년에는 정치적으로 불리한 처지였으며 신변의 위협을 겪었던 상황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능엄주의 呪力을 통해 상황을 개선하고 선업의 염원을 이루고자 진언을 새겼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일반적으로 불교미술품의 범자는 문양의 한 종류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경천사탑을 비롯하여 석탑에 범자를 새긴 양상은 진언을 나열하여 새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석탑 외에 고려시대 조성된 다라니석당, 범자다라니탑도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예들이 근간이 되어 경천사탑에 진언이 새겨졌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한편 탑에 각자된 진언의 기능으로 먼저 탑과 다라니의 상호적인 수행법인 요잡과 다라니 염송을 살펴보았다. 이는 경전에서도 언급된 것으로 요잡을 돌면서 다라니를 염송하는 것을 통해 공덕을 쌓을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두 번째는 경천사탑과 진언이 물질다라니(material dhāraṇī)로 기능했다는 시각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진언을 실제 의례에 사용하지 않아도 서사된 진언 자체로 다라니의 기능과 효엄을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경천사탑을 다각적으로 조망하고 탑의 역사와 양식, 그리고 쓰여진 진언을 고찰하여 경천사탑의 성격과 미술사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본 논문은 경천사탑의 形質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명하고 다양한 논의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story stone pagoda from Gyeongcheonsa temple site 敬天寺址. The Gyeongcheonsa pagoda is built in the 4th year (1348) of King Chungmok of Goryeo Dynasty. It has an inscription on the first floor of the pagoda, in which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its originators can be confirmed. The pagoda represents the Goryeo Dynasty with its unique structural features, carvings embodying wooden architecture, and reliefs. This paper examined the Gyeongcheonsa pagoda by dividing it into multiple them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of the Gyeongcheonsa pagoda: 'History 歷史', 'Style 樣式', and 'Mantra 眞言', and attempted to proceed with a discussion on the Gyeongcheonsa pagoda,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history part, I tried to understand the past Gyeongcheon temple and the Gyeongcheonsa pagoda through literature data. Previously, the Gyeongcheonsa pagoda was predicted as it was built for the yuan royal family. Rather, Gyeongcheonsa originally served as the Goryeo royal family’s monastery, but it was judged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its function was stopped due to the war with Mongolia. So it was thought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construction of the Gyeongcheonsa pagoda occurred around the same time. In addition,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14th century in which scholars and noblemen who had economic power suppor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originators of the pagoda, Kang Yung 姜融 and Goryongbo 高龍普, also supported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One of the interesting records of the Gyeongcheonsa pagoda is a number of literature records that are said that several pagodas have been built in a similar style to the pagoda. For example, the stone pagoda of Gamnosa 甘露寺, the stone pagoda of Yeongyeongsa 衍慶寺, the remains of the stone pagoda of Heungwangsa temple site 興王寺址, and the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圓覺寺址 were examined. It was judged that these examples would lea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pagoda of the Wongaksa temple sit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modern history was analyzed based on the document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Museum 朝鮮總督府博物館, the Document Number A060-004,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Gyeongcheonsa pagoda which was taken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document is a record of the repatriation permission and transportation, establishment, repair of the Gyeongcheonsa pagoda and expenses and budgets used for it, among the data from 1917 to 1925.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major document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process that the pagoda was returned to Korea after discussion and erected afterwards. Second, in the style part of the Gyeongcheonsa pagoda, the most characteristic point was that it expressed the structure of wooden architecture on the pagoda and the entire facade was decorated with a splendid relief. The Gyeongcheonsa pagoda has a wooden structure as it is embodied in the pagoda by raising the railing stone, the pagoda-bodies representing the frame of the building, and the roof stone depicting the roof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reliefs of the Gyeongcheonsa pagoda were examined mainly on the Buddhist assemblies 佛會圖 of the pagod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composition was similar to the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The object to b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tyle of the Gyeongcheonsa pagoda is the tower-style stone pagoda 樓閣式 石塔, which was mainly erected during the Song Dynasty of China. The tower-style stone pagoda in China is built by depicting wooden architecture using stone, like the Gyeongcheonsa pagoda, and has reliefs. In fact, the comparison between the tower-style stone pagoda and Gyeongcheonsa pagoda showed similar structur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of wooden buildings was delicately implemented. Also, the reliefs were also matched with the iconography and topic. Third, the mantra of the Gyeongcheonsa pagoda has not been studied in the past, and for the analysis of the Sanskrit scripts 梵字 written on the pagoda. The Sanskrit scripts written on the Gyeongcheonsa pagoda was Rañjanā style. This style was popular in the contemporary era, which was found in bell as well as artifacts such as pottery and dhāraṇī manuscripts in Buddhist Statues. When the Sanskrit scripts of the Gyeongcheonsa pagoda were translated, the content of the mantra was venerating Buddha. In particular, the word ‘tathāgataṣṇīsaṃ ’, which is the main word of the The Śūraṅgama Sūtra, was estimated and it was assumed that the mantra was similar to Śūraṅgama Mantra texts 楞嚴呪 that was modified and transformed. The Śūraṅgama Sūtra was a very popular sūtra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mantra was also popular. These contained the content that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if you exercise the power of prayer 呪力 with śūraṃ-gama 首楞嚴三昧, you can overcome all situations. Based on these facts, a new interpretation of Kang yung and Goryongbo was also possible. Contrary to the interpretation that they built the pagoda for the Yuan royal family, they were found to be in a politically disadvantaged position in 1348 when the Gyeongcheonsa pagoda was built, and that they were threatened by their own circumstances.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y built the pagoda and carved Śūraṅgama Mantra texts on the pagoda with their wish for the current situation to improve. Finally, I looked at the cases of carved mantra and dhāraṇī, focusing on stone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Gyeongcheonsa pagoda.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mmon to see the Sanskrit scripts carved on the pagoda as part of the pattern. However, looking at the aspect of the engraving of the Sanskrit scripts, it can be seen that the Sanskrit scripts are arranged as if they were written mantras, like the Gyeongcheonsa pagoda. Furthermore, I deduced what function each mantra on the pagoda would have. First, the mutual function between pagoda and dhāraṇī was the act of praising dhāraṇī. This is a part mentioned in the scriptures, and it is recommended to chant dhāraṇī while acting of Circumambulation 繞匝, and many merit can be accumulated through this process. Second, even if the mantra was not used in actual rituals, the visualized mantra itself would have the function and efficacy of dhāraṇī.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assumed that the Gyeongcheonsa pagoda and its mantra functioned as material dhāraṇī. Through the above studie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history and style of the Gyeongcheonsa pagoda, as well as the mantra written on the pagoda by investigating the pagoda from various angles, to specifically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 pagoda in art history. This paper will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cally illuminates the traits of Gyeongcheonsa pagoda and enables various discus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