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이브 탕기(Yves Tanguy)의 작품에 나타난 초현실의 특성 연구

Title
이브 탕기(Yves Tanguy)의 작품에 나타난 초현실의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Surreal Presented in the Works of Yves Tanguy
Authors
차지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is based on a study to find out the objective of realization of the surreal in the works of Yves Tanguy (1900-1955) and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Tanguy, who conducted artwork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developed his original artistic perspective in the midst of the calamitous events: World War I and II. This shows the reason why the works of Tanguy show a rapid visual change as the confusion shown in the period; within it, his yearning for the world where all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in the reality are resolved was consistently revealed. In this vein, the artworks of Tanguy, which originated from a hope for a better world, could gain practical motivity through the surrealist movement, which presented specific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ithin the society at that time. Attempting to suggest a novel signpost for reality, Tanguy presented his beliefs throughout his life by the flow of the surrealist movement. Nevertheless, while he was well recognized and his identity as a surrealist has been highly appreciated, academic research on the works of Tanguy wa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ing to his surrealist counterparts. Therefore, this thesis considered Tanguy’s art as a process of realization of reality that Tanguy the surrealist pursued; it also attempted to examine how such an aspect appeared per the type of image from various perspectives. France in the 1920s, where Tanguy began to conduct his artworks, was suffering from severe human alienation caused by the harmful consequence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aftereffect of the war. The surrealists, including Tanguy, found the cause of the problem in the rationalist dominance order. To recover human rights, they explored the unconsciousness by exploring the unconsciousness. Tanguy discovered an artistic methodology "automatism" through jeu du cadavre exquis (exquisite corpse game) in this process; starting with the Celtic mythology series, he started to vigorously reveal the point where reality should consider as its ideal norm. He expressed a reality where individuality and collective values ​​are harmonized, a reality where overcomes the hierarchical aspect of religion, and a reality where deviated from the logic of language through hybrid, myth, and text images. This means that he intended to counter the notions and customs of society at that time that bind humans. This was because Tanguy considered that the collective values of a totalitarian society oppress individuals; areas where the Christian culture and traditional language perspective could not embrace distort reality and cause conflicts and problems. Then Tanguy realized that the driving force to reform reality lies in the energetic power of desire for life; he visualized the power as an organism form of image and an image with characteristics of mineral. Tanguy attempted to respond to the current and critical situation by actively seeking the circular structure of Eros and Thanatos amidst the menacing World War II. In the post-war period, his work reiteratedly chang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mineral features per the external situation that surrounds him. This is because Tanguy attempted to present an absolute point where all kinds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are resolved transcending the spatiotemporal limits through such the change processes mentioned above. In conclusion, Tanguy attempted to reach the true reality where human dignity can be restored through his artistic creativity in a period that denies the dignity of humans. However, due to the illogical expression method, his works sometimes were misunderstood as fantasy-pursuing art that neglects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expande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entire perio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current views rely on limited and abstracted works in a specific period of Tanguy.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anguy's artistic world while examining his relatively insignificant works as well.;본 논문은 이브 탕기(Yves Tanguy, 1900-1955)의 작품에 나타난 초현실의 구현 목표 및 그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한 연구이다. 20세기 초부터 활동한 탕기는 양차 세계 대전이라는 참혹했던 큰 사건의 한 가운데서 자신의 예술관을 발전시켰다. 그래서인지 탕기의 작품은 혼란한 시대적 상황만큼이나 급격한 시각적 변화를 보이면서도 그 안엔 현실의 모든 대립과 갈등이 해소되는 세상에 대한 열망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처럼 더 나은 현실을 향한 희망에서 출발한 탕기의 예술은 당대 사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한 초현실주의 운동을 통해 실천적인 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 현실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안하고자 했던 탕기는 초현실주의 운동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신념을 평생에 걸쳐 작품에 드러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자로서 탕기의 인지도와 정체성은 높게 평가 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다른 초현실주의 작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탕기의 예술을 초현실주의자로서 그가 추구했던 현실을 구현하는 과정으로 보고, 이러한 양상이 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났는지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했다. 탕기가 활동을 시작한 1920년대의 프랑스는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폐해와 전쟁의 여파로 심각한 인간 소외 현상을 겪고 있었다. 탕기를 위시한 초현실주의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의 원인을 당대 현실의 합리주의적 지배질서로부터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의식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권리를 회복하고자 했다. 탕기는 이러한 과정에서 우미한 시체 놀이를 통해 오토마티즘이라는 예술적인 방법론을 발견하고, 켈트 신화 연작을 시작으로 현실이 이상적 규범으로 삼아야할 지점을 본격적으로 드러냈다. 그는 혼성 이미지, 신화적 이미지, 문자 이미지를 통해 개인성과 집단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현실, 종교의 위계성을 극복한 현실, 언어의 논리로부터 벗어난 현실 등을 표현했다. 인간을 얽매는 당대 사회의 관념과 관습에 대항하고자 한 것이다. 전체주의 사회의 집단적 가치가 개인을 억압하고, 기독교 문화와 전통적인 언어관이 포용하지 못하는 영역이 현실을 왜곡하며 갈등과 문제를 야기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후 탕기는 삶을 향한 욕망의 약동하는 힘에 현실을 개혁할 수 있는 원동력이 있음을 깨닫고, 이를 생물 형태의 이미지와 광물적 특성의 이미지로 시각화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위협 속에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순환 구조를 적극적으로 모색함으로써 현실의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탕기의 작품은 종전 후에 그를 둘러싼 외부적 상황에 따라 광물적 특성의 이미지가 지닌 물질적 성격을 거듭 달리했다. 이와 같은 변화 과정을 통해 시공의 한계를 넘어 모든 종류의 대립과 갈등이 해소되는 절대적 지점을 표상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탕기는 인간의 존엄성이 부인되는 시대에 예술적인 창조력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진정한 현실에 도달하고자 노력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비논리적인 표현 방식으로 인해 현실을 외면하고 환상을 좇는 예술로 오해되기도 했다. 이에 본 논문은 탕기의 작품에 대한 기존의 견해가 대부분 특정 시기의 추상화된 작품에 한정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의 범위를 전(全) 시기로 확장하였다.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은 작품들까지도 살펴보면서 탕기의 예술 세계를 총체적으로 고찰하고자 시도했다는 데에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