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전쟁 주제를 통해 본 독일 표현주의 미술(German Expressionism)의 사회의식

Title
전쟁 주제를 통해 본 독일 표현주의 미술(German Expressionism)의 사회의식
Other Titles
The social consciousness that German expressionism showed through the war theme
Authors
안소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전쟁 주제를 통해 본 독일 표현주의 미술(Expressionism)에 나타난 사회의식을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독일 표현주의 작가들은 보불전쟁 이후 통일된 제2제국 시기를 성장 배경으로 하며,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전후 극심한 사회적 격변과 불안을 경험한 세대였다. 이러한 연유에서 표현주의 작가들은 전쟁과 관련된 주제를 자주 다루었으며, 특히 제1차 세계대전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는 보불전쟁 이후부터 제1차 세계대전을 거쳐 바이마르 시기까지 활동한 독일 표현주의 미술가들의 작품에서 시기와 장소, 작가를 초월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전쟁 관련 모티프들을 발견하였다. 각 모티프 별로 하나의 사회의식이 관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풍경, 인물, 사물로 분류하였다. 각 주제별 전쟁과 관련된 일련의 모티프들을 통해 당시 독일 사회상에 대한 표현주의 작가들의 시각을 다각도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표현주의 작가들은 전쟁 발발부터 전쟁 종결 이후까지 황폐한 전쟁터의 모습을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하였고, 이를 통해 전쟁의 폭력성을 가감 없이 알렸으며 전쟁의 참혹함을 드러내었다. 전후(戰後) 도시에서는 사회적 질서가 붕괴되었고, 사회윤리가 훼손됨에 따라 약육강식과 이기주의가 극대화되었다. 그들은 전후 도시를 그린 작품을 통해 인간소외와 개인주의, 폭력성 등을 표출하였다. 또한 군인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주의 미술가들은 전후 심화된 독일의 군국주의를 비판하였고, 상이군인에 대한 독일 정부의 부당한 처우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매춘 여성 이미지를 통해서 경제적 약자인 동시에 전쟁의 피해자였던 매춘 여성에 대한 당시 독일 사회의 왜곡된 시각을 고발하면서 극심했던 경제난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전쟁으로 가족을 상실한 어머니 이미지를 통해서는 그들의 슬픔과 모성애를 드러냄으로 반전의지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전쟁으로 인해 해소될 것이라 기대했던 계층 간의 갈등은 심화되었는데, 이것을 당대 빈민층의 이미지에 투영함으로써 실감나게 드러냈다. 표현주의 미술가들은 참전 중 대량살상의 피해를 직접 목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 무기에 죽어가는 군인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이를 통해 무고한 민간인 대학살과 생명경시 실태도 함께 드러냈다. 참전 군인에게 경제적 보상을 대신하여 철십자 훈장을 수여함으로써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을 왜곡하며 미화하고자 했던 독일 정부의 정책과 태도를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군국주의 상징물을 통해 기존의 부강했던 제2제국 시기를 그리워하고, 새로운 국가체제의 건설을 염원하는 세태를 포착하여 파시즘의 도래와 이를 지지하는 독일 사회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표현주의 작가들이 전쟁 모티프를 통해 당대 독일 사회의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반전의식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제2제국시기부터 바이마르 공화국까지 긴 시대배경을 다루며, 다리파, 청기사파, 신객관성 등 다양한 표현주의 그룹들을 전쟁이라는 주제로 묶어 당대 독일 사회에 대한 의식을 다각도로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paper examined the social consciousness that German expressionism showed through the war theme. Most of the German expressionist artists were raised in the Second Reich after the Franco-Prussian War and were members of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extreme social upheaval and anxiety during World War I.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the artists frequently dealt with the war theme; they conducted various work activity especially regarding World War I. In the works of German expressionist artists conducted work activity after the Franco-Prussian War through the World War I to the Weimar period, this study found war-themed motifs that reiteratedly shown transcending time, place, and artist. This study then verified that one social consciousness penetrated each motif; it was classified into landscape, person, and object.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expressionist artists’ perspective on German social aspects at that time through a series of war-themed motifs in each subject. First, expressionist artists depicted the wasted battlefield in numerous methods from the outbreak and to even after the end of the war. Through the description, they let others know the violence of the war straight; revealed the calamity of war. In the cities where war swept, the social order was desolated and social morality was compromised; thus the law of jungle and egoism were predominant. Through works describing post-war cities, the artists expressed human alienation, individualism, and violence. Also, through soldier images, expressionists criticized Germany's militarism that intensified after the war; they pointed out the unfair treatment for the injured soldiers from the German government. By using prostitute images, they criticized severe economic hardship through accusing the German society’s distorted views towards prostitutes who were both economically challenged and victimized by the war. Through the image of a mother, who lost her family in the war, the expressionist artists expressed their anti-war spirit by revealing the mother’s sadness and her maternal love. Intensified conflicts between classes, which people expected the war to resolve; by projecting this onto the image of the poor at the time, the artists realistically presented them. Expressionist artists realistically described soldiers dying from war weapons grounding on their individual experience of witnessing mass slaughter in the war. Through this, they also revealed the realities of the massacres of innocent civilians and contempt of life. The policy and attitude of the German government to distort and glamorize the memories of World War I by awarding the Eisernes Kreuz (Iron Cross Medal) to veterans rather than providing economic rewards were also reproached. Lastly, through the symbol of militarism, the artists captured the longing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system and yearning for the powerful Second Reich. They then delivered a warning message to the advent of fascism and the German society supporting fascism. By conducting the abovementioned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expressionist artists revealed the problems of German society at that time through war themes and expressed anti-war spirit.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dealt with the background regarding a long period from the Second Reich to the Weimar Republic and assimilated various expressionist groups such as Die Brücke(The Bridge), Der Blaue Reiter(The Blue Rider), and Neue Sachlichkeit(New Objectivity) under the war theme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German society in a myriad of perspectives. In such examin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regarding art history 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