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숨」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숨」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oreographed Dance Work ⌜Sum⌟ : focusing on the Breathing Method by MUTDANCE
Authors
조혜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with the study on the choreographed dance work ⌜SUM⌟, based on the experience of breathing method by . is a dance association which has its origin in , the dance association founded by Kim Young-Hee. This study studied the MUTDANCE breathing method that appears in the choreographed work ⌜SUM⌟. That is, it investigated what energy MUTDANCE breathing method creates within the dancers’ bodies, and how that energy influences the dancing space. This study studied the overall process of the dance work ⌜SUM⌟, from practice to performance, through practice based research. The procedure involved planning the study, followed by researching the MUTDANCE breathing method, designing the work, choreographing and practicing, performing the work, and finally analyzing it. In order to study MUTDANCE breathing method, which is the theme of the work selected by the choreographer, in depth, the significance of Kim Young-Hee in art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MUTDANCE, and the breathing method by MUTDANCE were first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literature review involved examining and citing the comments of critics. Through this research, MUTDANCE breathing method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types: 1) the breathing that makes one use the lowest and highest points of the body, 2) the breathing for stabilizing the lower body, 3) the breathing that is condensed and has its speed controlled, and 4) the extensibility of breathing. That is to say, MUTDANCE breathing method is a unique one that exhibits these four characteristics combined. After choreographing ⌜SUM⌟ based on these breathing metho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supplementary to each other, enabling the movements to be performed with stability. Nonetheless, what is exhibited is beyond stability but unconventionality, and with this unconventionality as the basis for creativity, the inner energy could be expressed in a more unconventional and creative way. The exchange of energy between the dancers was experienced, as by MUTDANCE breathing method, the energy of each went beyond one’s body and expanded to space. In addition, through this breathing method, the breathing energy between the dancers interacting and coming together as one was experienced at the performing space, too. Thus, while dancing with MUTDANCE breathing method, the dancers could concentrate their bodies, minds, and spirits and on that space, feeling deep empathy. This study seeks to be of help in providing a basis for the dancers, including the researcher, to effectively deliver the implicit message in their future works using MUTDANCE breathing method, such that the deep spiritual interaction occurs between the choreographers and the audienc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ids the participating dancers, including the researcher, establish a more developed world of art through MUTDANCE breathing method. ;본 논문은 무용창작작품 「숨」을 <무트댄스>의 호흡법 체험을 기반으로 연구한 것이다. <무트댄스>는 故김영희가 창단한 무용 단체 <김영희무트댄스>를 모태로 하는 무용 단체이다. 본 연구는 창작작품 「숨」에서 나타나는 무트댄스 호흡법을 연구하는 것으로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무용수들의 신체에서 어떤 에너지가 만들어지고, 그 에너지가 춤을 추는 공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기기반연구법을 통해 무용작품「숨」의 연습 및 공연의 전 과정에서의 체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설계 → 무트댄스 호흡법 연구 → 작품구상 → 안무 및 연습 → 작품공연 → 작품분석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본 안무자가 설정한 작품의 주제인 무트댄스의 호흡법을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김영희의 예술사적 의미나 무트댄스의 특징, 무트댄스의 호흡법을 연구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저서, 평론가들의 평을 살펴보고 인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무트댄스 호흡법을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신체의 최고와 최저를 사용하게 하는 호흡, 둘째, 하체안정을 위한 호흡, 셋째, 호흡을 응축하여 완급을 조절하는 호흡, 넷째, 호흡의 연장성이다. 즉 무트댄스 호흡법은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이 통합되어서 드러나는 독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법들을 바탕으로 창작작품「숨」을 창작하여 체험한 결과, 이 호흡법들은 서로 상호 보완되어 동작을 안정감 있게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정감을 넘어 파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 파격성이 바로 창의성의 기반이 되어 내면의 에너지를 보다 파격적이고 창의적으로 표출할 수 있었다.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무용수의 에너지가 무용수의 몸을 뛰어넘어 공간으로 확장되어 무용수들 간의 에너지 교류가 일어남을 체험하였다. 또한, 공연 공간에서도 이 호흡법으로 무용수들 간의 호흡 에너지가 상호작용하며 하나로 모이는 체험도 하였다. 이로써 출연무용수들은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춤을 추는 순간 몸과 마음, 영혼이 그 공간에 집중하여 깊은 공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 포함 무용수들이 앞으로 작품활동을 할 때 관객들에게 무트댄스 호흡법으로 내면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안무가와 관객 간에 깊은 내적 교류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연구자를 포함한 참여 무용수들이 무트댄스 호흡법을 통해 한 단계 발전한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