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조선 후기 백자 복숭아형[桃形] 연적 연구

Title
조선 후기 백자 복숭아형[桃形] 연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hite Porcelain Peach-shaped Water-dropp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김소연

윤효정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애호의 대상이었던 백자 복숭아형 연적의 제작 배경과 성격을 규명하여 공예사적 의미와 제작 양상을 파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를 소비하고 애호한 문화층의 미감과 취향을 규명하여 복숭아연적이 제작된 특정 시기의 시각·물질문화의 단면을 파악하는데 두 번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먼저 이 논문은 백자 복숭아형 연적의 제작배경으로 조선 후기 사회에 만연해 있던 신선 사상에 집중하였다. 신선 사상은 고대 중국에 연원을 두고 발전해 왔으며 도교와 노·장 사상을 통해 시대를 거치며 녹아들어 복숭아가 문화적 산물이 되는데 밑바탕이 되었다. 복숭아를 예술의 전면에 끌어내어 이미지와 물질로 만들어낸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서왕모 신앙의 확산이다. 서왕모 신앙은 고대부터 지속되어 왔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전쟁을 겪고 피폐해진 조선의 민심을 위로하는 기복적 성격을 내세워 다시금 활성화된다. 서왕모는 불사약인 반도를 가진 선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선으로 그려지며 다양한 장르의 문학과 무용·미술에서 제재로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출판 기술의 발달로 신선과 서왕모를 다룬 소설류의 서적이 유통되고 화폭에 담은 각종 회화가 제작된다. 서왕모는 이러한 확산을 통해 종교와 신앙을 넘어 조선 후기 문화에 큰 추세로 작용한다. 또한, 신선 사상은 문화가 되어 왕실과 사대부의 삶에 변화를 일으켰다. 선비들은 자기 수양에 양생법을 활용하였으며 신선의 기물을 소비하고 절경을 찾아 유람을 다니며 도원을 그리워하였다. 복숭아연적의 복숭아는 서왕모가 관할하는 반도원에서 열매 맺는 신령하고 상서로운 기운을 지닌 선과이다. 복숭아가 반도의 이미지로 변화하는 과정은 회화에서 자세히 관찰되며 감로도의 재단에 올린 복숭아에서 특정한 묘사가 나타나고 점차 도식화 되어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특정한 이미지의 복숭아는 조선 후기 가장 사랑받은 도상 중 하나인 반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선도류의 회화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며 요지연도에서는 아름다운 여선 서왕모의 지물로 함께 그려진다. 반도 도상에 대한 선호는 십장생이 아닌 복숭아나무를 십장생도에 등장시키며 복숭아나무가 주제로 나선 해반도도의 탄생을 부추긴다. 회화에 묘사된 반도의 모습은 뾰족한 정수리를 더욱 튀어나오게 묘사한 후 붉게 채색하고 반점을 그려 무르익은 과실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같은 특징이 도자·직물·자수와 나전칠기의 문양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어 보편적인 반도의 이미지로 인식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별히 청화백자에 시문된 복숭아 문양은 평면적인 도안에 문인화적 필치를 추가하여 자기에서만 확인되는 독특한 표현이 나타난다. 나아가 반도를 상형한 기물에는 복숭아연적의 직접적인 조형적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궁중 정재 헌선도의 무구가 있다. 의궤의 기록과 도설을 바탕으로 무구의 모습을 유추해보면 나무로 깎아 만들어 칠한 복숭아를 금속으로 제작된 복숭아 잎과 나뭇가지가 받치고 있는 형태로 복숭아연적의 기본적인 조형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의 복숭아형 기명에는 왕실에서 신하들에게 하사한 선도배와 주기로 사용한 서배가 있으며 다수의 목제 표주박이 다양한 복숭아형을 띤다. 나아가 일상생활 곳곳에서 복숭아의 길상적인 기운을 받을 수 있도록 노리개·단추·반지와 각종 목가구의 유제 고리 등에서도 복숭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 수집을 통해 취합한 백자 복숭아형 연적은 총 159점으로 반도 이미지를 반영한 몸체 형태를 기준으로 5가지 유형으로 양식 분류를 시도하고 유형별 특징을 정리해보았다. I 유형과 II 유형은 연봉형 연적으로 몸체에 복숭아 조형이 표현되지 않았으며 몸체 위쪽 가운데가 뾰족한 모양으로 솟은 형태를 띠고 있다. 이 중 I 유형은 복숭아연적의 전통적인 입체로 판단되는 조선 초·중기 연봉 형태의 연적과 가장 닮아있으며 청진동 2~3지구와 8지구의 17세기 층위에서 발굴된 연적이 여기에 포함되어 기형과 제작시기 확인이 가능하다. II 유형은 I 유형에 비해 지름보다 높이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이고 크기가 5.0㎝ 미만으로 작으며 당시 일반 기명에 보편적으로 시문되었던 청화문양이 나타난다. III 유형은 복숭아형으로 물레 성형을 비롯해 속파기 기법과 도범으로 성형되었으며 굽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양각 장식은 없고 문양이 주요 장식으로 초화문류와 국화문, 엽문이 대부분이다. IV 유형은 복숭아연적 몸체의 반도 조형이 정교하게 성형된 유형으로 반도의 특징을 묘사한 양각 나뭇가지 굽과 잎 장식이 나타난다. V 유형과 장식 요소를 공유하지만 양각·시문·채색·번조를 포함한 제작 전반에서 우수한 완성도를 보인다. 순백자로 제작된 상품의 복숭아연적 모두가 이 유형에 속하고 청화 안료만 채색된 비율도 높으며 상대적으로 복합 안료의 사용은 낮다. V 유형은 모든 유형 중 가장 수가 많으며 복숭아연적 몸체가 반도 조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나 양각 나뭇가지 굽과 잎 등 장식 표현이 단순해진다. 이 중 과반이 넘는 수는 복숭아 상형 몸체와 나뭇가지 굽과 수구, 기물의 양 옆에 1장씩 양각 장식된 나뭇잎을 갖춘 형식을 유지한다. 순백자로 제작된 예는 없으며 채색 안료를 복합적으로 조합해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다음으로 앞서 정리한 배경 자료들과 분류를 토대로 복숭아연적의 제작 양상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전체 복숭아연적 중 복숭아 조형 몸체와 양각 나뭇가지 굽, 잎 장식 구성으로 반도의 묘사를 갖춘 IV·V 유형이 79.9%에 해당되어 선호되던 반도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복숭아형 몸체의 형태는 물레 성형이 83.0%이며 도범과 속파기 기법도 각각 13.8%와 3.2%로 확인되어 제작기술의 다양화를 보여준다. 채색 안료 사용 양상은 동화·청화 복합채색 비율이 가장 높아 37.8%이며 같은 시기 제작된 채색 백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복숭아연적에서 가장 높은 비율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화·철화 안료가 조합된 경우가 없는 것이 특이점으로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다채 장식 백자의 공통된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정수리, 나뭇가지 형태의 굽, 화점문에 동화 또는 철화를 선호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동화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철화를 채색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각 나뭇잎 장식 채색은 채색된 116점 중 112점이 청화 안료 채색으로 96.6%에 속한다. 조형적 형식화의 요건은 복숭아 모양의 동체와 양쪽에 각 한 장씩 양각 조각된 잎, 나뭇가지 모양 굽과 수구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연적은 반도의 조형으로 표현된 IV·V 유형 127점 중 87점으로 68.5%의 비율을 보여 일정한 형식이 반도형 복숭아연적 제작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형태의 형식화는 앞서 언급한 채색의 형식화와 함께 특정한 반도의 모습을 완성하는데 기여하며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상형 반도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복숭아연적이 묘사하고자 한 반도는 푸른 잎과 함께 붉은 나뭇가지에 맺혀 무르익어 붉게 물든 정수리와 서기가 가득한 화점이 나타난 탐스러운 열매로 회화의 반도 도상과도 일치하는 것이 확인된다. 나아가 IV 유형에서 보이는 높은 완성도는 형식화 조건을 갖추면서도 표현 방법에서 V 유형과 질적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사실적인 복숭아를 구현한 정도와 비례하다고 판단된다. 순백자로 만들어진 상품의 연적이 이 유형에 모두 포함되어 채색자기의 유행 속에서도 최상급 기물에서 순백의 색감을 선호하는 취향이 존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형식화 연적보다 청화 단일 안료 사용이 많고 화점문 시문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 것에서도 확인된다. 반면 양각 장식에서 정세한 표현을 실현하면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데 나뭇잎과 굽의 양각 표현이 획일화 되지 않고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복숭아의 식생에서 관찰된 나뭇잎이 바람에 날리는 모습이나 나뭇가지에 달린 복숭아를 굽으로 묘사한 것은 복숭아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노력에서 기반된 것이며 수준 높은 자기 조각 기술이 뒷받침되어 이를 구현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숭아연적은 조선 후기 생활 모든 곳에 장식되었던 반도를 상형화하여 사실적으로 제작한 유일한 물건이다. 반도는 길상과 장수의 상징이며 이를 영속시킬 수 있는 서왕모의 힘을 응축한 선과로 이를 소유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복숭아연적으로 드러났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바람은 복숭아연적의 소장과 애장에서 그치지 않고 연적을 화폭에 그려 감상하는 방향으로 방법을 변화시킨다. 진채로 그려진 책거리 병풍 속 즐비한 물건들은 조선 후기 수집 열풍을 부른 중국의 진귀한 완상품이다. 이러한 성격의 도상 가운데 조선의 복숭아연적이 등장하는 것은 평면의 이미지가 제공하는 연적의 가치가 함께 그려진 완상품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숭아연적은 기능을 넘어 내포한 장수의 의미에 가치를 두었으며 나아가 이미지로 재생산되어 감상할 만큼 아름다운 문방기물로 인식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숭아연적과 복숭아연적 이미지의 치환 양상은 조선 후기 풍요로웠던 시각·물질문화 속에서 가공된 물질을 다시 이미지화 시키는 특이한 문화 소비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로 판단된다. 그리고 완물 자기로서 가장 명확한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도자사적 의의 또한 깊다고 하겠다. 백자 복숭아형 연적의 등장은 자기 제작이 사회의 분위기와 이를 소비하는 수용층의 취향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이며 성과인 셈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of the white porcelain water-dropper in the shape of pea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also aims to record the visual and material culture of the period by examining the aesthetics of the water-dropper and tastes of the social class who culturally consumed them. First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ideology of immortal神仙, prevalent in the late Joseon society, when the production of ‘peach water-dropper’ began. Immortal ideology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had been developed together with Taoism as well as the ideology of Laozi老子 and Zhuangzi莊子, underlying the peach as a cultural product. The most decisive moment in bringing the peach to the forefront of art and making them into images and materials is the spread of the Xiwangmu西王母 faith. The belief in Xiwangmu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revived to console the impoverished public of the Joseon period which was devastat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Invasion in 1636. Xiwangmu was depicted as the goddess of immortality in various genres of literature, dance, and art.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technology, novels and various paintings dealing with immortals and Xiwangmu were massively produced. Xiwangmu appears as a big trend in the cul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beyond religion and belief. Moreover, the ideology of immortal became a culture, changing the live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aristocrats. The scholars practiced the Daoist healing method for self discipline, used the immotal theme objects, and looked for the superb view in search of utopia. The process of changing peaches into the specific image of Xiwangmu’s peach is observed in detail and certain descriptions are gradually scheming in paintings such as Gamro甘露圖. The figure of Xiwangmu’s peach depicted in the painting features a more prominent representation of the pointed top of the head and flower-shaped dot pattern to express ripened fruit. It seems, the sam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the patterns of ceramics, textiles, embroidery, and lacquer-ware and thus recognized as a universal image of the peach. Furthermore, the props used for a royal court dance of Heonseondo獻仙桃 are believed to be a direct formative basis for the water-dropper. Based on the records and illustrations of the Uigwe儀軌, the props are composed of the carved and painted wooden peach, supported by metal branches and leaves that are identical to the basic form of peach water-dropper. As a result of reviewing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analyzing the production, peach water-dropper realistically reflected the image of Xiwangmu’s peach that preva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utilized various production techniques and decorative elements. The peach water-dropper shows the highest level of porcelain production technology by effectively representing the desired expression of Xiwangmu’s peach. As for the formation of the water-dropper, peach water jar, embossed leaves, and branch heels are considered essential, and the expression and degree of decoration of these elements appear to be proportional to the completeness of the entire object. These characteristics were formalized as the water-dropper became popular. The most common pattern of color pigments was the use of copper red and cobalt blue combination and the tendency to use iron instead of copper pigments was confirmed. The fact that painting all three pigments at once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peach water-dropper, as iron is only painted to the parts of the heel to help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tree branch. It seems that colouring pigments on specific parts of the water-dropper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as the duplicating the form of Xiwangmu’s peach. The peach-shaped water-dropper is the only object that was produced in realistic form of the Xiwangmu’s peach that had been decorated everywhere in late Joseon life. The peach is a symbol of good luck and longevity and there was the strong desire to possess it as a condensation of the power of the Western mother. The wishes did not stop at the collection and cherishment of peach water-dropper, but change the method in the way of appreciating the object on canvas. The collection of items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painting(Ch'aekkori冊架圖) portrayed were rare antiques of China that caused the collecting tren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appearance of the peach water-dropper, the only object of Joseon on the screen, means that the value of the water-dropper even as the image was considered no different from the objects drawn together. Therefore, the water-dropper values ​​the meaning of longevity, which was implied beyond the function, and further meant that it was reproduced as an image and recognized as a beautiful stationery item to be appreciated. The substitutional pattern between the water-dropper and the image of it is an examples of a unique form of cultural consumption that reproduces processed materials in the rich visual and material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water-dropper in the field of ceramic history, is also significant that it is the most obvious example as a ceramic to appreciate. The creation of the white porcelain water-dropper in the shape of peach is the achievement that symbolizes ceramic produc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changes of the taste of the consumer class as well as the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