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1950년대 소설의 여성표상 전유와 몸 연구

Title
1950년대 소설의 여성표상 전유와 몸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Appropriation of Women-representation and the Discourse on Body in 1950's Novels : Focused on Jeong Yeonhee, Han Malsook, and Kang Shinjae
Authors
표유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and reveal that women's novels written in the mid and late 1950s have been considered subversive speeches on national reconstruction discourse which can be discovered by reading them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the time and taking notice of the way in which women's bodies are implemented. In the 1950s, the discourse suppressed women's actual lives and desires with negative representations such as “Female college student”, “Aprés-girl” and “Yang-Gongju”. Women's literature has also been marginalized in the circles of male-centered literacy. Nevertheless, the continued writing regarding women is considered a manifestation of unbridled desire. In particular, Jeong Yeonhee, Han Malsook and Kang Shinjae are regarded as the writers who have captured the voices of resistance against new familyism, chastity theory and romantic love discourse in literature through the way of appropriating women-representation and the re-shaping of the oppressed women's bodies. The discourse on the female body, which can be acknowledged as physical feminism, calls for the re-shaping of the gender-differentiated female body, as it is reflected in the issue in which women, bodies, and senses have been arranged and reproduced as negatives against masculinity, spirit and rational reason. In the 1950s, nationalism and patriarchal modernization also have led to the exclusion politics by negatively reproducing women's bodies. Thus the re-shape of bodies can overthrown them. The re-meaningfulness of women's representations reflects the meaning of rediscovering distorted desires. And it is the basis of reshaping women's bodies. The study aims to capture the significance of dissolving the discourse of the 1950s by revealing how the women's representations have been featured in the novels of Jeong Yeonhee, Han Malsook, and Kang Shinjae, and how to discover and self-reliance women's bodies. Jeong Yeonhee's novel pursues a distinct way of women's lives through a female subject that violates the new familyism of the 1950s, which forces sacrificial mothers as a driving force for the recovery of post-war order. "Female college student” distorts a woman's intellect to immature sexuality that can be corrupted. "Female college student”, who refuses to the situation that women cannot help but receive typed femininity and transfers undecided to voluntary non-deterministic femininity, pursues a life where she can feel alive. This quest leads not to a sacrificial mother but to the vitality of a fearful primitive mother. Taking advantage of the instability of post-war society, the primitive mother violates paternal-centered familyism, highlighting the subversive motherhood that reveals her desire which is full of vitality as an origin. Han Malsook's novel pursues a female subject in sensuality that denies the chastity theory excluding it from modernization. While Aprés-girl's snobbish sexuality, which implements sex to achieve snobbery, associates female desires with attrition, Han Malsook subversions Aprés-girl's sexuality to sensual epistemology and transfers Aprés-girl to an anti-modern subject. Likewise, Han Malsook narrates the process in which women who belong to the family become outgoing and reflective subjects by re-recognizing and affirming the body, love, and desire by the body's senses. The reflective female subject neutralizes the normative influence exerted on the body with insensitivity, seeking on her lives subjectively. Kang Shinjae's novel features Yang-Gongju and femme fatale women who break up the romantic love that link love to marriage for the modern nation. The romantic love of the 1950s, combined with nationalism, puts sexuality in perspective and excludes love and marriage beyond ethnic unity. Yang-Gongju is the character who reflects a contaminated sexuality related to foreign men that associates the way in which they do not lead to marriage, and threatens nationalism and romantic love. Nonetheless,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een recreated as a two-pronged existence required for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elf-reliance. Such ambivalence of paganism is passed down in Kang Sinjae's novel as a disturbance that re-meaning modernity, crossing the boundaries of ethnicity, gender, and normality. The femme fatale female characters in Kang Shinjae's novel reflect the performing bodies that mimic the sexuality of male subjects. Beyond breaking romantic love by separating love from marriage and sexualizing love, femme fatale female figures secure independent livingand create a new order over dissolved norms. The task of interpreting women's novels in the 1950s as the manifestation of subversive desires is part of an attempt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desire that has been suppressed and ruled out by national ideology deeply embraced in South Korea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It is also an attempt to restore the body of a woman, and to elevate the writing of female writers, who have been disparaged as a private domain, to a counter-talk in the level of history and literacy. The falsehood and contradiction of South Korea's nationalism and the ideology of building a modern state in women's novels also reflect clear continuity with the contradictions and misogyny of the present Korean society and confirm its internal instability. In conclusion, the continued writing of female writers, resisting forced silence, can be manifestly seen as an evidence of the dynamism of the times when excluded desires had clearly existed.;본 연구는 1950년대 중·후반 여성소설을 당대 담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독해하고 여성 몸이 구현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당대 여성소설이 민족국가 재건 담론에 대한 전복적인 발화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1950년대 담론장은 ‘여대생’, ‘아프레걸’, ‘양공주’와 같은 부정적 표상으로 여성의 실제적 삶과 욕망을 억압하고 타자화했다. 여성문학 또한 남성 중심적인 문단에서 ‘여류’라는 규정과 함께 평가절하되고 소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된 여성들의 글쓰기는 억압되지 않는 욕망의 발화이며, 특히 정연희, 한말숙, 강신재는 여성표상의 전유와 억압된 여성 몸의 재형상화를 통해 신(新)가족주의, 정조론, 낭만적 사랑 담론에 대한 저항과 비판의 목소리를 문학에 담아낸 작가들이다. 육체 페미니즘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몸에 대한 담론들은 여성, 몸, 감각, 감성이 남성성, 정신, 합리적 이성에 반하는 부정성으로 배치되고 재현되어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성차화된 여성 몸을 재의미화하고 재형상화할 것을 주장한다. 1950년대 민족주의와 가부장적 근대화론은 여성의 몸을 부정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배제의 정치를 수행해왔다는 점에서 육체 페미니즘이 비판하는 서구 형이상학의 팔루스로고스 중심주의와 마찬가지로 여성 몸의 재형상화를 통해 전복될 수 있다. 또한 1950년대에 생산·유포된 여성표상에는 무너진 질서 위로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시대적 역동성 속에 발현되었던 여성의 욕망과 근대성을 향한 다양한 욕구들이 타락한 섹슈얼리티로 왜곡된 채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여성표상의 재의미화는 왜곡되고 은폐된 여성의 욕망을 재발견하는 의미를 가지며, 여성의 몸을 재형상화하는 작업의 근간이 된다. 본고는 대표적인 여성표상인 ‘여대생’, ‘아프레걸’, ‘양공주’가 정연희, 한말숙, 강신재의 소설 속에서 어떻게 전유되고 있는지, 그리고 여성의 몸을 어떻게 가시화하고, 발견하여 회복하고, 주체화하는지 그 양상을 밝힘으로써 1950년대의 담론에 저항하는 힘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정연희의 소설은 전후 질서 회복의 동력으로 희생적 모성을 강요하는 1950년대의 신가족주의를 위반하는 여성주체를 통해 다른 방식의 여성의 삶을 모색한다. 여성의 지성을 타락할 수도 있는 미성숙한 섹슈얼리티로 환원하고 왜곡하는 여대생 표상은 희생적 타자의 자리만이 여성의 미래로 제시되는 현실을 드러낸다. 타자화된 여성성을 수취하기를 거부하고 미결정성을 자발적인 비(非)결정적 여성성으로 전유하는 여대생은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는 삶을 모색한다. 이러한 모색은 희생적 모성이 아닌 공포스럽고 매혹적인 원초적 어머니의 넘치는 생명력과 욕망으로 이어진다. 전후사회의 불안정성을 틈타 출현한 원초적 어머니는 기원으로서의 생명력으로 넘치는 욕망을 드러내는 전복적인 모성을 부각하며 부계중심의 가족주의를 거부하고 위반한다. 한말숙의 소설은 여성성과 욕망을 근대화될 수 없는 비정상성, 비합리성으로 부정하는 정조론으로부터 탈주하는 여성주체를 감각성에서 찾고 있다. 성을 도구화하여 속물적 욕망을 성취하는 아프레걸의 속물적 섹슈얼리티는 여성 욕망과 타락을 연결하지만, 한말숙은 아프레걸의 섹슈얼리티를 속물성으로 오인된 감각적 인식론으로 전복하고 아프레걸을 반(反)근대적 주체로 전유한다. 마찬가지로 한말숙은 몸의 감각성으로부터 가정에 귀속된 여성들이 정조론에 의해 불감증을 강요당한 타자에서 몸과 사랑, 그리고 욕망을 재인식하고 긍정해나가는 성찰적 주체가 되는 과정을 서사화한다. 성찰적인 여성주체는 몸에 행해지는 규범적 영향력을 자발적인 불감증으로 무력화하고 자신의 몸과 감각, 욕망,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긍정한다. 강신재의 소설에 등장하는 양공주와 팜므파탈적 여성들은, 사랑과 연애를 결혼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통제함으로써 근대국가의 기틀이 되는 가정을 안정적으로 가부장적 질서로 포섭하는 낭만적 사랑을 해체한다. 1950년대의 낭만적 사랑은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섹슈얼리티를 관념화하고 성별분업을 주장하고 민족적 단일성을 벗어나는 사랑과 결혼을 배제한다. 양공주는 외국남성과 관계하고 결혼으로 이어지지 않는 오염된 섹슈얼리티로 민족주의와 낭만적 사랑을 위협하면서도 국가의 안보와 민족적 주체화를 위해 요구되는 양가적 존재로 재현되었다. 그러한 양공주의 양가성은 강신재 소설에서 민족, 젠더, 정상성의 경계를 넘나들며 근대성을 재의미화하는 교란성으로 전유된다. 강신재 소설의 팜므파탈적 여성 인물들은 남성주체의 섹슈얼리티를 모방하는 수행적 몸이다. 연애와 결혼을 분리하고 연애를 성애화함으로써 낭만적 사랑을 해체하는 것을 넘어 자족성을 추구하는 팜므파탈적 여성 인물들은 독립적인 생활과 확장적 영향력을 확보해나가며 해체된 규범 위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한다. 1950년대 여성소설을 전복적인 욕망의 발화로 해석하는 작업은 근대국가를 수립해나가면서 남한의 민족국가 이데올로기와 현대한국문학이 억압하고 배제해온 욕망의 실체를 사회·문화적 담론을 근거로 확인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이다. 뿐만 아니라 가부장적인 근대화 속에서 부재 상태에 놓인 여성의 몸을 복원하고, 사적 영역으로 폄하되어온 여성작가들의 글쓰기를 시대적이고 문학사적인 차원에서의 하나의 대항담론으로 끌어올리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여성소설에 드러나는 남한의 민족주의와 근대국가 건설 이데올로기의 허위와 모순은 현 한국사회의 모순과 여성혐오와도 분명한 연속성을 가지며 그 내적 불안정성을 확인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강요된 침묵에 저항하며 계속된 여성작가들의 글쓰기는 배제되고 은폐된 욕망들이 분명히 존재했던 시대적 역동성의 증거가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