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64 Download: 0

한국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형성과 등재 연구

Title
한국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형성과 등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Listedness of Acronyms and Blends in Korean
Authors
권경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신어의 두음절어(acronym)와 혼성어(blend)의 형성과 등재를 표현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 둘의 차이를 연구하는 데 있다. 외연적으로 비슷해 보이거나 구분하기 어려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외연을 형성의 측면에서 명확하게 구분 지어 경계를 나누고자 하였으며, 등재의 측면에서 어떠한 등재 단위가 어휘부에 저장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을 확인하고 한국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형성’,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등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탐구하여 본 연구의 논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두음절어와 혼성어 목록을 밝히고 논의의 구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논의의 바탕을 이루는 주요 이론적 배경들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임시어’는 형성된 순간부터의 단어임을 의미하며 ‘신어’는 이를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임시어에서 공인화를 거쳐 정착된 단어는 ‘규범어’로 보았다. 본고는 기존의 ‘해석론적 관점’과 대비되는 ‘표현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형성과 등재 차원을 모두 다루었는데, ‘의미 형성’ 이후 ‘형태 형성’이 이루어진다는 표현론적 관점에 따라 단어 형성 원리 및 어휘부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두음절어와 혼성어를 형성의 측면에서 각각의 개념 및 범위, 유형, 형성 동기 등을 논의하였다. 이에 앞서 두음절어와 혼성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한 용어로 ‘파편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파편소 앞 혹은 뒤에 붙어 해당 단어에서만 단발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파편’이라고 정의하였다. 우선 두음절어는 용어 설정에서부터 혼용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본고에서는 두음절어의 범위를 명시하고 영어의 ‘acronym’에 대응하는 대역어로서 두음절어를 제시하였다. 혼성어는 결합하는 두 단어 중 최소 하나의 단어에서 절단이 일어난 후 결합되는 단어를 일컫는데, 혼성어의 인접 범위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자립성 등의 기준을 세워 기술하였다. 두음절어의 유형은 크게 통합형과 계열형으로 나눌 수 있고, 총 음절수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는데, 신어 두음절어에서 5자 이상의 단어는 나타나지 않는 점이 본고에서는 주목할 특징으로 보았다. 또한 두음절어의 총 음절수와 파편소의 음절수의 상관관계를 수식을 통해 도출해 냄으로써 총 음절수가 제약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혼성어는 기존의 논의들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통합형으로만 존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기존의 논의들에서 다루어진 혼성어의 음절수 제약은 점차 지켜지지 않는 경향이 포착된다. ‘혼밥’, ‘치밥’과 같은 단어는 그 내부 구조의 특성으로 인하여 두음절어인지 혼성어인지 구분하기 모호한데, 이를 의미의 합성성과 정합성을 통해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상황과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형성 동기는 연결망 이론을 통해 규명을 시도하였다. 각 연결망은 파편소라는 중앙집권적 통제 요소와 파편이라는 다양한 위성을 구성하며 연결망은 단일 연결망이기보다는 연쇄적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연결망군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긴밀하게 구축된 연결망의 경우 혼성어의 음절수 제약이 위반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파편의 의미적 특성을 강화하여 형태적 모호함을 피하기 위함임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두음절어와 혼성어를 등재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임시어는 개인어휘부와 사회어휘부에 각각 등재되어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개인어휘부에서 임시어는 그 특성으로 인하여 의미나 형태적으로 불명확성이 발생할 수 있다. 불명확성을 해소한 임시어는 개인어휘부에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된 단어가 사회어휘부로 넘어가면 사회어휘부에서의 정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 빈도’, ‘파편소의 생산성과 확장성’과 같은 기준들이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의의를 제시하였으며 남은 문제를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listedness of acronyms and blends in Korean neologies ​​from the onomasiological approach, and to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paper tried to set the boundaries by clearly dividing the extensions of acronyms and blends that look similar or difficult to distinguish in terms of formation,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which units of listedness can be stored in the lexicon in terms of listedness. Chapter 1 confi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s existing research through two parts, ‘the formation of acronyms and blends' and ‘listedness of acronyms and blends', which are intended to discuss in this study. Through thi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were explor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discussion. In addition, lists of acronyms and blends to be studied in this paper are introduced, and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discussion are presented. Chapter 2 describes the main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form the basis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Nonce word' means that it is a word from the moment it was formed, and 'neology' was regarded as a broad concept encompassing the nonce word. In addition, the word that was settl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in the nonce word was regarded as ‘normative word'. This paper deals with both the formation and listedness dimensions of acronyms and blends based on the ‘onomasiological approach',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existing ‘semasiological approach'. Through the onomasiological approach, ‘form formation' occurs after 'meaning formation'. According to this discussion, word formation and the lexicon was examined. Chapter 3 reveals the concept and scope, types, and motives of formation of acronyms and blends in terms of formation,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Prior to this, this paper reviews the elements that repeatedly appear in acronyms and blends, and suggests ‘splinter’ as a term for this. In addition, the element that appears only once in the word in front of or behind the splinter is defined as ‘fragment'. First, acronyms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from the term setting. In this paper, the range of acronyms is specified, and acronyms are suggested as a target word corresponding to ‘acronym' in English. Blend refers to a word that is combined after clipping at least one of the two words that are combined. The adjacent ranges of blends are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described by establishing standards such as independence. Types of acronym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type, and also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yllable numbers, but it was considered a notable feature in this study that words with more than 5 syllable numbers do not appear in the new acronyms. In addition, by deduc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yllable numbers in acronyms and splinters through a formula, it i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restriction on the total syllable numbers. Unlike the previous existing discussions, blends are considered to exist only in a syntagmatic type in this paper.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restrictions on the syllable number of blends dealt with in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gradually not observed. Words such as ‘honbap(혼밥)' and ‘chibap(치밥)' are ambiguous to distinguish whether they are acronyms or blen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ternal structure. It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through the synthesis and coherence of meaning, and they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Finally, the motives of formation of acronyms and blends are tried to investigate through a network theory. Each network consists of a centralized control element called slpinter and various satellites called fragments, and this network can build a complex network group consisting of chains rather than a single netwo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losely established connection network, the phenomenon of violating the syllable numbers of blends occurs, which is to reinforc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fragments to avoid form ambiguity. Chapter 4 confirms acronyms and blends in terms of listedness. Nonce words are listed in the individual and social lexicon respectively, and then go through the process of settlement. Nonce words in the individual lexicon may have ambiguities in meaning or instabilities in form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Nonce words with these can be stored in the individual lexicon. When the stored words are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criteria such as ‘frequency of use’ and ‘productivity and scalability of splinter’ are set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ettlement in the social lexicon.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presents its significance, and discusses the remaining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