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4 Download: 0

한국어와 베트남 남부 방언의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와 베트남 남부 방언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rast Korean and Southern Vietnamese dialect, focusing on consonant system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consonant
Authors
Phan, Nguyen Ngoc Truc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체계와 자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한국어의 경우는 표준말인 서울말을, 베트남어의 경우는 표준발음 중의 하나인 남부 방언을 대표하는 호치민 시의 말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두 언어를 대조하면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간과되거나 자세하게 논의되지 않은 음운론적 특징을 제시하고 동시에 아직 설명되지 못하거나 잘못 설명된 문제들을 파악해서 지적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과 관련된 음운론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양 언어의 음운론적 유형을 기존의 유형과 어떻게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지, 새로운 특징을 유형화해서 보다 정확한 음운론적 유형을 세우는 방향도 같이 고민해 보고자 한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어와 다른 언어와의 대조 연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국어분야에서도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와의 대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 중에서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음운론적 등 다양한 대조 연구가 있는데 음운론적 대조 연구에 있어서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제대로 반영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많이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한국어교육의 영향으로 국어분야에서 이루어진 대다수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들도 한국어교육의 대조 연구의 특색을 띄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어떠한 음운론적 특성을 가지는지, 다른 언어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를 베트남어와 대조하는 연구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를 포함해서 국어분야에서 이루어진 대조 연구가 없지 않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어떤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고 양 언어 음운체계의 성격이 같은지 다른지 파악하기에만 한정된다. 본 연구는 이와 달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보다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해 WALS에서 제공되는 언어 유형의 자료와 음운론적 유형론, 특히 세기언어(stress-timed language)와 음절언어(syllable-timed language), 음절리듬 언어(syllable rhythm language)와 단어리듬 언어(word rhythm language)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고 세계 언어에 있어서 각언어에 어떠한 음운론적 유형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과 방법, 선행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아볼 수 있고 기존 대조 연구와의 차이점 및 본 연구의 주안점을 제시할 것이다. II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체계를 살펴볼 것인데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 살펴볼 내용은 각 언어에 존재하는 자음이 무엇인지, 자음들이 어떻게 다르게 발음되는지에 한정되지 않고 자음의 수량, 자음의 분류 기준, 자음의 발음과 발음과 관련된 요소들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수가 조금씩 다르지만 세계 언어의 분류 유형에 있어서는 같은 Average(평균)유형으로 분류된다. 또는, 한국어 폐쇄음과 마찰음에 유무성 대립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은 한국어에서 한 장애음이 경우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성격을 띌 수 있기 때문에 한 장애음에 유무성 대립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베트남어나 영어 와 같은 언어는 역시 다른 양상을 보인다. III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절구조와 음절과 관련된 제약들을 살펴볼 것이다. 음운론적 유형에 있어서 음절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음절구조와 음절연결이나 음소배열 등 음절과 관련된 제약들은 해당 언어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과도 긴밀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음절구조는 CVC형이기 때문에 세계 언어의 음절구조 유형에 있어서 ‘Moderately complex syllable’(CVC형)에 분류된다. 또는 양 언어는 모두 CVC형 음절구조를 가지므로 음절초와 음절말에 두 자음이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어에 어말 자음군이 존재하는데도 음절말 위치에서 한 자음만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흔히 자음군단순화라고 불린다. 음절배열 제약으로는 한국어에서 강한 자음이 약한 자음 앞에 올 수 없는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에서 강한 자음이 약한 자음 앞에 올 때 강한 자음은 약한 자음으로 동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비음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IV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이 내용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발생하는 음운 현상의 유형, 환경, 조건과 규칙성의 문제를 알아내고자 한다. 음운 현상의 유형에 있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어떠한 유형의 현상이 발생하는지, 그 중에서 주요 발생하는 유형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음운환경이 발생하는 환경은 크게 음절내부의 환경과 음절경계의 환경으로 나누는데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현상들이 주요 어느 환경에서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음운 현상이 발생하는 조건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비음운론적 조건 위주로 살펴볼 것인데 비음운론적 조건을 또 다시 형태적, 의미적, 어휘적 조건과기타 조건으로 분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베트남어의 음운 현상은 비음운론적 조건을 요구하는 현상이 있지만 그 조건은 주로 의미적 조건이나 어휘적 조건에 한정된다. 한국어의 음운 현상은 형태적 조건과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체계, 음절구조 및 자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드러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언어의 음운론적 유형의 특성과 그동안 간과된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성도 밝힐 수 있다. 더불어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같이 음절언어로 보는 입장이 있는데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음절언어의 특징을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음절과 음절 간의 연결이 밀접하고 공명도 등급을 조정하기 위해 자음 동화 현상이 잘 일어나는데 이것은 음절언어의 특징과 매우 다르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특징 중에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음절언어나 음절리듬언어의 성격과 엇갈리는 경우도 있다. III장과 IV장에서 양 언어를 대조하면서 이러한 경우를 자세하게 알아볼 것이다.;So f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trasting or comparing Korean and Vietnamese. Most of those studies were done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purpose i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 and to come up with effective Korean teaching methods for Vietnamese students. There are also studies from a linguistic viewpoint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studies of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is one of them.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really highlighte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but only show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oneme or phonological phenomenon in the two languages. In order to give a more detailed and clear aspect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Vietnamese, we need an effective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ld one. The studies based on phonological typology is one of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 which have not been mention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in previous theses up to now.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in this thesis will be shown based on analysis data of World’s Alas of Language’s Structures(WALS) which is relevant to phonological system and Donegan&Stampe(1983), Auer(1993)’s language typological viewpoints about stress-timed language, syllable-timed language, syllable rhythm language and word rhythm language. This thesis does not rearrange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relevant to consonant system and phonological processes of consonant that occur in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 only. This thesis aim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so that we could think about a more effective way to classify the world’s languages based on thei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another word, this thesis is not going to describe what consonants and phonological processes do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 have in their phonological system, which consonant only exist in one language and so on but we are going to discuss the kinds of consonant, phonological process relevant to consonant, and also the elements which affect the consonants and phonological processes such as phonetic environment, position of the consonant in a syllable or in a sentence, the environment where phonological processes happen and some non-phonological determined information controlling such processes, etc. Up to now, there have been many methods to classify languages based on various aspects of linguistic features such as stress-timed language and syllable-timed language which were mentioned above. However, we cannot deny tha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that exist in these typological classifications. As a result, we need a more effective method to classify language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aise them more correctly and this thesis can become a resource for the projects of phonological typology in the future. Due to some limits, this thesis cannot cover all characteristics of consonant, vowel, semivowel and relevant phonological processes existing in Korean and Vietnamese. However, I belie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sonant and the problems of previous typological viewpoints mentioned in this thesis can not only provide a new aspect of phonological categories but inspire an idea about a new language’s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as well. Beside the information of Korean and Vietnamese’s consonant system, phonological processes of consonant, which is contrasted and discussed, this thesis will also be helpful in many fields such as studying about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 teaching Korean language to Vietnamese students and vice vers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