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대화적 주체의 정치성 연구

Title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대화적 주체의 정치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liticalness of the Conversational Subjects in Son Chang-seop's Novel
Authors
정윤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손창섭(1922~2010)은 김동리의 추천을 받아 단편 「공휴일」(1952)을 문예에 올리면서 등단한 작가이다. 문단에 등장하자마자 당대의 평론가들은 물론 대중 독자들의 인기를 한몸에 얻은 그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보여주었다. 한편 손창섭의 작품 세계에 대한 연구 또한 등단 직후부터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적층되어 왔으며, 작품의 내·외재적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시도함으로써 다채로운 독법을 제공하기도 했다. 다만 손창섭의 주체들이 지닌 정신적·육체적 불구성만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경우가 대다수이고, 신문 연재 소설에 대한 편견으로 말미암아 1950년대에 문예지를 통해 발표된 단편 소설들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사례가 많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결과적으로 손창섭의 주체들이 폐쇄적인 인간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을 통하여 손창섭의 소설을 다시 읽고자 한다. 즉 손창섭 소설 속 주체들이 대화적 주체의 세 가지 특징(복수성·논쟁성·비종결성)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고, 나아가 타자와의 대화적 관계를 지향하는 태도까지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1960년대에 신문이나 잡지를 통해 연재되었던 손창섭의 여러장편 소설은 1950년대에 발표된 단편 소설의 주제의식을 심화 및 확장시킨 측면이 있으므로, 해당 작품들에 대한 재평가도 함께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Ⅱ,Ⅲ, Ⅳ장은 각각 대화적 주체의 세 가지 특징인 복수성·논쟁성·비종결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그리고 각 장의 A절은 주체가 자기 자신과 나누는 대화를 중심으로, B절은 주체와 타자 사이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먼저 Ⅱ장에서는 대화적 주체의 자의식이 두 개 이상의 목소리로 분열된 복수성을 띠고 있음을 전제로 분석했다. 손창섭의 대화적 주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울려 퍼지는 목소리들끼리의 자기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스스로를 설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자신의 인격을 꾸준하게 갱신해나가는 적극성을 보인다. 더불어 주체의 분열된 목소리 중 최소한 하나의 목소리는 주체의 외부에 존재하는 타자로부터 빌려온 것이며, 대화적 주체는 언제나 타자와의 대화 중에있는 주체이다. 다만 주체는 타자의 관점을 경유하여 다시 자기 자신으로 돌아와야 할 의무가 있고, 이것이 주체와 타자의 관계가 갖는 비대칭성이다. Ⅲ장에서는 손창섭의 주체들이 놓인 박탈의 상황을 살펴보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개인성을 말살시키고자 하는 해당 상황에 대한 응답으로서 어떠한 논쟁적 발화를 수행하는지 분석했다. 특히 손창섭의 대화적 주체는 자기 자신의고유한 개성과 사상을 표출하는 행위로서의 말하기를 수행하면서, 자신을 억압하는 현실 사회의 박탈적 상황을 능동적으로 전유하고 있다. 또한 상호 인정이 성립된 타자와의 대화적 관계 안에서 대화적 주체는 정치적으로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으며 타자와의 차이 있는 연합을 기획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손창섭의 대화적 주체들이 비종결적인 말을 발화함으로써 주권 규범이 구획해둔 경계를 횡단하는 양상을 분석했다. 이러한 횡단의 정치성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으며, 주체는 원본 없는 모방을 반복하는 패러디의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체성을 계속해서 허물어낼 수 있다. 또한 대화적 주체의 대화주의적 말에는 지금 여기의 상황을 다른 것으로 바꾸어내려는 카니발적 역동성이 깃들어 있고, 이에 따라 대화가 그치지 않는 한 주체와 타자의 위치는 계속해서 재구성된다. 이와 같이 손창섭의 주체들은 복수주의적·논쟁적·비종결적 대화를 통해 항상 자기 자신 및 타자와의 대화적 관계를 맺고 있으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생성성을 갖고 있다. 이처럼 손창섭의 주체들이 지닌 대화주의적 면모에 주목하는 관점은 손창섭의 주체들을 조야한 냉소주의나 비생성적인 허무주의의 차원에서 파악했던 기존 논의들과 다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1950년대의 단편들에서는 주체의 우울과 불구성, 1960년대의 신문 연재 장편들에서는 작품의 상업성과 대중성을 주로 살폈던 기존 논의들의 한계를 부분적으로나마 극복하고자 했다.;Son Chang-seop (1922-2010) was a writer who published his short story "Holiday" (1952) in literature on the recommendation of Kim Dong-ri. As soon as he appeared in the literary world, he gained popularity not only among critics but also among popular readers, and he showed the most active work in the 1950s and 1960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s on the world of his works has been continuously accumulated right after his appearance until the 2010s, and they offered a variety of unique methods by tr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both inside and outside. However, most of them focus on the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Son Chang-sup’s subjects, and most of them focus only on short stories published in literary journals in the 1950s due to prejudice against newspaper serial novels. This research trend led to the conclusion that Son Chang-sub's subjects are showing a closed-minded human image. However, this research tries to reread Sohn Chang-seop's novel through Mikhail Bachchin's dialogism theory.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research is to clarify that the subject of Son Chang-sub's novel clearly show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dialogic subject (plurality, controversiality, and incompleteity), and that he even has an attitude toward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ddition, Son Chang-sup's novel, which was published in a series through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 1960s, has deepened and expanded the theme consciousness of short stories published in the 1950s, so it will be re-evaluated at the same time. Chapters II, III and IV were designed to explai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dialogue body: plurality, controversiality, and incompleteity. Section A of each chapter focused on the subject's self-dialogue, and Section B focused on the dialogue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First, Chapter II analyzed that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dialogic subjec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voices. Son Chang-sub's dialogic subject shows his willingness not only to explain himself but also to continually update his personality by carrying out his own dialogue, which echoes in different directions. In addition, at least one voice of the divided voice of the subject is borrowed from others outside the subject, and the dialogic subject is the subject that is always in dialogue with others. However, the subject has an obligation to return to itself through the viewpoint of others, which is the asymmetry of the subject's relationship with others. Chapter III investigated the situation of deprivation of Son Chang-sup's subjects and analyzed what kind of controversy they ignite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y are trying to destroy their individuality. In particular, Son Chang-seop's dialogic subject actively represses the deprivation of the real world by carrying out “speech” as an act that expresses his own personality and thoughts. In addition, dialogic subject can become politically free entities i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for whom mutual recogni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sometimes they plan toform an allianc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s. Finally, Chapter IV analyzes the situation in which Sohn Chang-seop's dialogic subject cross the boundaries of the norms of sovereignty by speaking non-final words. This kind of political transversalism is not only temporary, but the subject can continue to destroy his or her identity by using a parody strategy that repeats imitations without the original. In addition, the dialogic language of the dialogic subject has carnival dynamism that tries to change the situation to something else, and as long as the dialogue does not stop,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others will be reconstructed. As you can see, Son Chang-sub's subjects have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pluralistic, controversial, and non-final dialogue, and they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new meaning. Attention to the dialogueist side of Son Chang-seop's subjec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uggestion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on Son Chang-seop'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crude cynicism and simple nihilism.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ussions that mainly examined the depression and disorganization of subjects from short stories in the 1950s and the commerciality and popularity of works from newspaper serials in the 1960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