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김소진 소설의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Title
김소진 소설의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Grotesque Aesthetics of So Jin Kim’s Body of Fictional Literature : with a Focus on the Thoughts of the Body Developed by Mikhail Bakhtin
Authors
이경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김소진 작품의 서사적 동력을 ‘몸으로 규정하고, ‘잉여’로 전락된 비공식의 ‘몸’들을 탐구함으로써 김소진 소설의 미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미학은 일반 미학이 아닌 바흐친의 사유를 원용한 “윤리에 대한 성찰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위의 차원으로 옮겨놓는 활동 전체”를 가리킨다. 이는 김소진의 세계 감각을 통해 현대의 분열에 대응할 수 있는 문학적 가능성을 타진하겠다는 의도가 함의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규명한 그로테스크 미학은 근대 이분법적 사유에 기반한 사회 구도의 모순을 극복할 대안을 문학을 통해 발견할 지평을 넓혔을 뿐 아니라, 문학의 사회적 기능을 논할 확장된 준거틀을 제공하였다. 20세기 후반 이래 펼쳐지고 있는 탈근대의 세계 상황은 주체의 바깥으로 배척되었던 타자의 가치와 지위에 대한 전면적인 반성을 이루어냈다. 나-주체의 출발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 토대가 바로 타자임이 지적된 까닭이다. 타자에 대한 이런 사유가 등장한 배경에는 주체 중심 사유가 완강한 근대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근대 이분법적 합리주의에 기반하여 ‘타자’를 억압한 문제의식은 김소진의 작품 전체를 관통한다. 본 연구가 분석틀로 삼은 바흐친의 그로테스크 몸이 미학으로 연결되는 사유의 전개 과정 또한 원시적 생명력과 타자에 대해 예리하게 탐구한다는 의미에서 문학의 본질에 깊게 닿아있다. 하지만 바흐친 사유 초기부터 당대 학문의 표준적 논리를 벗어난 특이한 대상으로 설정된 ‘민중’으로 인해 바흐친의 연구는 기성의 제도화된 학제적 틀로는 포괄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것은 바흐친 문화론의 핵심인 민중이 비공식적 부분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설령 그가 구사하는 개념과 논리가 통상적인 아카데미의 규준에 놓여 있었다 해도, 그의 사유는 이 모든 것들을 뒤섞고 재배치하여 다른 방식으로 전용함으로 새로운 질문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틀로 바흐친의 사유를 원용하였다는 것은 김소진 문학 또한 기존의 사유 방식을 달리하여 새롭게 읽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유 방식은 근대의 사유에서 왜 몸이 배제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김소진의 저항 방식은 어떠했고 극복을 위해 제시한 대안은 무엇인지를 탐구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몸’을 사유로 하여 그로테스크 미학을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는 것은, 기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어 오고 있는 김소진 문학의 도식화된 사유 방식을 탈피하여, 김소진 작품 속 ‘몸’들의 탈-헤게모니 작업을 파악하였다는 의미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김소진 작품 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근대성으로 인한 문제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실천 양상을 규명하였고, 타자의 주체 회복에서 진일보한 수행적 실천이라는 특징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김소진의 문학적 성과는 이데올로기와 삶의 분열을 문제 삼아 윤리성을 밝히며 미학적 이해와 연관 지은 바흐친의 학문적 성과와 동궤에 위치하는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장의 A절에서는 ‘몸’들이 담지하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를 통해 이질적인 것들은 억압하고 배제하는 근대 이분법 사유의 한계와 모순을 고발했으며 B절에서는 문제적 현실을 극복해 나가는 ‘몸’들의 실천 양상들을 통해 김소진이 추구한 미학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탈-헤게모니’를 위해 ‘거세’로 ‘탈-젠더’를 시도한 ‘처용의 몸’을 변절과 연결하여 헤게모니의 모순을 밝히며 젠더 자체가 제도화된 억압임을 도출했다. 지식인들의 변절을 근대의 몸에 비추어 이데올로기의 허구를 비판하고, ‘소수자 되기’로 지적 행보를 돌린 지식인들의 고뇌를 통해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는 미학의 양상을 반규범의 몸과 비판의 그로테스크로 논의했다. Ⅲ장에서는 정치와 경제로부터 밀려난 잉여적 존재들인 ‘밥풀때기 몸’의 일상을 통한 실존 조건으로서의 인간 소외를 민중과 개별화된 인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밥풀때기’의 이데올로기는 사건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에 설명하며 도덕법을 문제 삼았고, 함께 살아가는 일상에서 함께 변해가는 관계를 통한 공동체의 미학을 통해 탈경계의 몸과 관계의 그로테스크로 논의했다. Ⅳ장에서는 ‘뺑덕어멈의 몸’이 담지하고 있는 여성의 억압과 ‘자궁의 힘’으로 상징되는 ‘격하’와 ‘저속화’의 원리를 통해 여성 인물들이 능동적으로 이루어가는 유토피아의 세계를 불멸의 몸과 생성의 그로테스크로 논의했다. 작가의 비판정신과 현장의 생생함이 드러나는 질펀한 토속어를 구사하는 여성 인물에 주목하여 욕설이나 비속어와 같은 토속어가 상징계의 전복을 상징하는 것임을 확인했다. 카니발을 비롯한 민속 문화가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때 여성의 몸이 구현해 나가는 자유와 평등의 유토피아를 확인함으로 ‘자궁의 힘’으로 상징되는 격하의 전복을 통한 생성을 논의한 것이다. 김소진이 문제 삼은 분열의 본질이 이데올로기라는 면에서 분열을 문제시한 장이 Ⅱ장의 논의라면, 그러한 분열로 인한 잉여의 실재를 다룬 장이 Ⅲ장의 논의이고, 그것을 비판하고 변해서 이루어 나간 유토피아의 세계를 보여준 것이 Ⅳ장이므로 비판에서 출발한 극복방법과 극복의 결과로 이루어간 이상향까지 규명하는 단계적 발전이 지식인, 민중, 여성의 층위이다. 즉, 각 장은 서로 중복되면서도 앞의 층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면에서 순차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인, 민중, 여성의 억압을 모두 문제 삼으면서 각각의 억압을 어떻게 극복해나가는지 ‘처용의 몸’, ‘밥풀때기의 몸’, ‘뺑덕어멈의 몸’으로 상징되는 세 층위의 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몸’들이 부정적 현실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열과 시대 비판을 동시에 문제 삼은 것이고, 그 인물들로 상징되는 몸들의 저항 방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면서 극복해나가는 양상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부정과 긍정을 동시에 살폈다는 의미이다. 이는 비판에서 그치는 일차원적인 시도가 아닌 구체적 사건과 능동적 참여를 중심으로 현실을 극복하는 방식을 주목한다는 측면에서 김소진 문학의 세계 감각을 규명하는 일과 연결된 것이다. 본 연구가 도출(導出)한 바에 의하면 아버지이면서 어머니이고 육손이기도 한 김소진 민중의 핵심에는 ‘몸’이 자리하고 있으 며, 그 ‘몸’들을 서사적 동력으로 삼아 분열을 극복하고자 했던 의지가 김소진의 작업이었다. ‘탈-헤게모니’ 작업을 ‘탈-젠더’에 주목하여 ‘헤게모니’에 의해 억압되었던 ‘여성’을 통해 유토피아를 구현하고자 했던 그의 작가 의지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회의에서 비롯된 이성과 몸의 이분법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말미암은 몸의 종속적 위치를 재규정하고자 하는 의지였던 것이다. 즉, 서구 이성 중심의 사고로 말미암아 언제나 이성보다 뒤떨어지게 인식되어온 ‘몸’의 인식구성을 변화시키고자 한 의지의 표명이 김소진의 작품 세계다. 김소진이 문제 삼았던 당대 이데올로기와 삶의 분열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서구적인 의미에서 합리성의 확장이나 근대의 기획은 이념의 선명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현실의 구체성을 보지 못하게 했던 1980년대의 역기능을 낳는다는 비판은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효하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한국 문학의 시대 감각을 점검함과 아울러 한국 문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한 시도였다. 현대 사회는 권력의 작용이 비가시적이고 은밀하므로 현대인들이 방향감각을 잃기가 쉽다. 하지만 조율할 수 없는 무기력감으로 인한 혼돈을 겪을수록 현재의 본질을 포착하여 삶과 세계를 성찰할 수 있는 거울로서의 문학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출해낸 김소진 소설의 그로테스크 미학은 한국 문학의 사회적 기능을 논함에 있어서 김소진 소설이 중요한 근거가 될 가능성을 타진한 것이며,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현실을 바라보는 한국 문학의 이분법적 잣대에 의한 미학적 태도를 벗어나 작품의 본질에 주목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바흐친을 분석의 틀로 삼았던 기존의 연구에서 ‘몸’에 대한 사유는 대부분이 ‘그로테스크 이미지’에만 몰두했다. 그로 인해 바흐친의 전·후기 사유를 총체적으로 담지하는 그로테스크 몸에 대한 사유를 분석틀로 삼은 기존의 연구 자료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가 미하일 바흐친의 ‘몸’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논의한 김소진 소설의 그로테스크 미학은 한국 문학을 폭넓게 살펴볼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그로테스크 미학 일변도(一邊倒)의 연구 풍토에서 벗어나 윤리학과 미학을 한 차원에서 제시하여 문학의 사회적 기능을 도출해내는 준거틀을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aesthetics of Kim So-jin's novels by describing the scientific power of Kim's works as "bodies" and exploring unofficial "bodies" that have been turned into "surpluses." The aesthetics of Kim’s that this research attempts to unearth refers not to general aesthetics but the entirety of the act that transmits the reflection of the ethics, which incites the reasonings of Mikhail Bakhtin, to the level of active, conative action. This is intended to target the literary possibilities of responding to modern divisions through Kim So-jin's sense of the world. Thus, the grotesque aesthetics that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as not only broadened the horizons for discover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the current structures of society, which are merely based upon dichotomous reasonings of the modern era, through literature, but has also provided an expanded frame of reference for discussing the social functions of literature. The world in the postmodern era, which has unfolded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a full reflection on the values and status of the ‘others’ who were ostracized from the outside of the subject. This is why it is pointed out that the fundamental foundation that enabled the departure of the na-juche was the other. The context that has spawned this type of reasoning that concerns the recognition of the “others” is the dominance of juche-centric modern reasoning. Based on such modern dichotomous rationalism, the problem with suppressing "the others" permeates throughout the works of Kim’s. The grotesque body of Bakhtin’ s that this study uses as an analytical tool is adjacent to the essence of literature in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asoning, which is connected with the study of aesthetics, is also a deeper, more careful. look into the primitive power of life and the “other”. However, Bakhtin’s pursuit in this reasoning experienced challenges for reasons that included not fitting into the academic framework fixed by tradition created by ‘the public’. ‘The public’ are recognized as peculiar beings that have had no place since the earlier years of Bakhtin’s development of reasoning to contemporary times within the boundaries of standardized academic logic. The challenge that it encountered is attributed to the reference of the ‘public’—the core to Bakhtin’s theory of culture—as unrecognized components. Had the concepts and reasonings he articulated fit into the parameters of general academia, his reasonings thoroughly reorganized everything, changing the direction to different means, therefore, contributing in ways that constitute new questions. For this reason, inciting Bakhtin’s method of thought into the framework analysis of Kim’s literature infers that Kim’s works of literature was read by using different methods of thought that fall outside of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academia. This method of thought also implies the determination to further analyze why the body was exempt from modern thought, the methods Kim used to reject such principles of reasoning, and how she succeeded in overcoming these challenges. In addition, making grotesque aesthetics the subject matter of this research through speculating the ‘body’ signifies the escape from schematized method of thought and that the post-hegemony of the ‘bodies’ in Kim’s literature has been understood. All in all, Kim takes issue with ideology and the segmentation of life, unveiling her ethical stance, making it possible to argue that she is so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s. This proves just how little of a difference there is between Kim’s literary accomplishment and the academic accomplishment of Bakhtin, which uncovers the ethics of human behavior and correlates that to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s, as well. In each chapter, the A segment discloses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ensued by binary speculation through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bodies. The B segment touches upon the actuality of the aesthetics that Kim pursued through the appearances of the body overcoming its challenges. In Chapter II, the 'body of ‘cheo yong', which attempts the accomplishment of 'post-gender' through 'castration' for the sake of 'post-hegemony', is analyzed as a body that symbolizes the aversion and anguish of intellectuals and analyzes gender itself as a part of institutionalized oppression. This is done to criticize the misrepresentation of ideological thought. Also, the aspect of aesthetics that cracks the ideology through the lives of the intellectuals who have turned their intellectual steps toward ‘becoming a minority’ is discussed as an anti-norm body and grotesque criticism. Chapter III examines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dividing such into the public and individualized figures, as a condition of existence through the daily life of the surplus beings pushed away and replaced by politics and economy. The conflict of the marginalized class was criticized by paying attention to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Also, it elaborates on how the ideology of the ‘bap pul tte gi’ is formed through incidents. This study discusses the grotesque of the body and the relationships beyond fixed boundar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daily life of transform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that changes together while participating in what is in this context referred to as incidents. In Chapter IV, the world of utopia in which female characters are actively established through the principles of 'intensification' and 'deceleration', symbolized by the 'power of the womb', and women oppression, symbolized as ‘the body of bbaeng deok’, is discussed as a grotesque of immortality and cre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emale figure who vividly articulates the vulgar local language of the public, it is, hence, confirmed that the local language, including profanity, symbolized the overthrow of the symbolic world. The argument that the second chapter makes is that the essence of the segmentation that Kim criticizes is problematic with respect to its ideology. The following chapter touches upon the reality of the surplus that is created due to the segmentation discussed in the prior chapter. The fourth chapter showcases the utopian world that is created through transformation. In the respects that each chapter not only overlaps one another but also can capture the layer(s) discussed in the prior chapter(s), the chapters can be argued to be sequential. In sum, this research considers the suppressions of the intellectual, public, and woman problematic. It also looks into how each layer, represented through the bodies of ‘cheo yong, ‘bap pul tte gi’, and “bbaeng deok eo meom”, overcomes its own unique experience with oppression. In the respect that these bodies reflect the darker sides of reality, the research takes a critical stance against the timeframe in which the bodies of literature take place and regards the segmentation derived from such as issues. Also, it implies that it looked both at the negatives and positives in that it revealed the methods of resistance of the bodies symbolized by the characters in detail and identified the aspect of overcoming it. This is not a one-dimensional attempt that ceases to be mere criticism but is rather focused on specific ev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to overcome reality. In this respect, it is tightly related to the clarification of Kim’s outlook on the world reflected in her literary works. According to what this research has extracted, what exists at the very core of Kim’s conception of the ‘public’, which includes fathers, mothers, and people with polydactyly, is the body.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lso Kim's will to overcome the division with that body. Her determination to implement a utopia through 'women' suppressed by 'hegemony' by focusing on 'post-hegemony' work derives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body originated from a meeting on ideology. It can be seen that it was the will to reconstruct the subordinate position of the 'body'. In other words, it is the world of Kim's work that has gone on to change the cognitive composition of the “body”, which has always been perceived as inferior to reason, due to the Western reason-centered thinking. The ideologies and disparities between human behavior and thought, both of which are at the forefront of Kim’s criticism, remain unsolved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n addition, the criticism that the expansion of rationality in the Western sense or the planning of modernity produced the dysfunctions of the 1980s, which were limited in that they merely emphasized the accuracy of ideology and prevented members of society from seeing the sphere of reality, remains valid today. This study is, therefore, an attempt to check the critical takes on society in Korean literatur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Korean literature should be oriented towards. Since the 1990s, works that reproduce reality in literary history have rarely been reproduced, as the functions of authority in contemporary society is not as noticeable. However, as individuals continue to lose their sense of direction and experience chaos through by falling deeper into a condition of helplessness that prevents them from retaining a sense of control over themselves, literature as a mirror that captures the essence and prospects of the present and can reflect on their lives and worlds is essential. Therefore, the grotesque aesthetics that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from the literary works of Kim’s yields useful in that it proves that Kim’s works are an important basis of evidence in making conversation about the societal functions of Korean literature. Also, the works of Kim’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provided a frame of reference that can be used to focus on the essence of things outside of the boundaries of dichotomous standards, which are frequently detected in Korean literature when looking at the realities of realism and modernism. Therefore, since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have used the grotesque body, which wholly supports Mikhail Bakhtin’s postwar reasonings, primarily using Bakhtin’s reasoning of body to discuss the grotesque aesthetics found in Kim’s works is a significant milestone in looking back at Korean literature through a much broader lens. Therefore, the grotesque aesthetics of Kim So-jin's literature, which this study extracts, have not been limited by the status quos of the research of grotesque aesthetics, which has been the wholehearted devotion to just one side, wholehearted devotion to just one side of the research climate of grotesque aesthetics and is arguabl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once again, the frame of reference to extract the societal functions of literature because the grotesque body of Bakhtin’s contains both the studies of aesthetics and eth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