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가야금산조 다스름 연구

Title
가야금산조 다스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seureum of Gayageum Sanjo
Authors
김민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야금산조 중 다스름이 있는 12개의 유파를 대상으로 다스름의 악조를 살펴보고, 다스름과 본 산조와의 연관성을 살핌으로써 가야금산조 다스름의 성격과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악조(樂調)를 우조, 평조, 평우조, 계면조로 구분하고, 각 악조의 구성음과 종지음, 음형, 음 진행 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12개 유파의 산조 전 장단에서 다스름으로 활용된 선율을 찾아, 활용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다스름에 나타난 악조, 다스름에 활용된 장단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첫째, 다스름에 가장 많이 사용된 악조는 우조이며, 12유파에서 사용되었다. 평조는 3유파에서 사용되었고, 평우조와 계면조는 각각 1 유파에서만 사용되었다. 다스름의 우조는 d, e, g, a, c'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청은 a음이지만 단락의 종지는 평조청인 g음으로 종지한다. 평조는 d, e, g, a, c'(b)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지음은 g음이다. 평우조는 d, e, g, ∧a, b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지음은 g음이다. 계면조는 d, f, g, ∧a, c' 5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지음은 g음이다. 즉, 다스름에 사용되는 청은 조와 무관하게 모두 기본청인 g음이다. 다스름의 우조에 사용된 대표적인 음형은 e'-d'-e'이고, 특징적인 음 진행은 a→c'→e'의 3도 연속 상행진행과 e'→c'→a의 3도 연속 하행진행, 그리고 g→a의 2도 상행진행이다. 평조의 특징인 음형은 d'-e'-d', a-c'-a이고, 평우조 다스름에서는 우조의 음형과 평조의 음형이 혼용되었다. 다스름의 우조 단락(평조청 종지형)과 평조, 평우조의 기본 종지형은 a-g 2도하행형과 d-g 4도상행형이며, 세 악조의 종지형이 동일한 이유는 모두 평조청으로 종지하기 때문이다. 우조는 구성음의 청(a)과 종지(g)가 다르게 사용되었다. 반면, 계면조의 기본 종지형은 (B♭)A-G 2도하행형과 D-G 4도상행형이며, 시김새가 여타의 조와 다르다. 우조, 평조, 평우조, 계면조의 종지형은 같은 음 구조를 갖고 있으나 세부적인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즉, 우조, 평조, 평우조의 평조청 종지에 쓰이는 a-g 형에서의 a음은 꺾지 않지만, 계면조의 종지에 쓰이는 (B♭)A-G 형에서의 A음은 반음 높은 B♭음에서 꺾는 점이 다르다. 또한 평조청 종지에 쓰이는 d-g 형에서의 d음은 굵은 농현을 하지 않지만, 계면조 종지에 쓰이는 D-G 형에서의 D음은 굵은 농현을 하는 점이 다르다. 둘째, 다스름에는 본 산조의 장단 선율을 활용한 다스름 단락과 본 산조에 없는 새로운 선율로 이루어진 단락이 있다. 본 산조의 장단 중 가장 많이 활용된 것은 진양조 장단이며, 12개 유파에서 활용되었다. 그 밖에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 장단의 선율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다스름 단락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2종 이상의 장단 선율을 활용한 경우도 있다. 선율 활용방법은 4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다스름의 선율을 확대할 때 음을 추가하는 방법, 본산조의 선율을 축소할 때 음을 생략하는 방법, 음의 시가를 확대하는 방법, 음의 시가를 축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스름이 형성되기 시작한 초기부터 사용되었다. 그 후 장식음을 본음으로 변형하는 방법, 주법 바꿈 등의 방법이 추가되었으며, 근래에는 선율을 농음으로 변화, 시김새를 선율로 변화, 싸랭 주법의 추가, 음형 확대 등의 다양한 활용 방법이 사용되었다. 새로운 선율을 추가하는 것은 단락의 시작과 종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계면조의 특징적인 음이 활용되는 양상도 나타났다. 산조의 본 선율을 활용할 때, 진양조와 중모리 같이 느린 장단 선율은 빠르게 연주하고, 중중모리와 자진모리 등 빠른 장단의 선율은 느리게 연주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odes, keys and original melody of Daseureum in the 12 Gayageum schools whose Sanjo have Daseureum,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aseureum and main Sanjo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Daseureum in a Gayageum Sanjo, and identify the inherent musical characteristics thereof. To this end,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four melodic modes – ujo, pyeongjo, pyeongujo and gyemyeonjo – and analyzes the component notes, final note, motifs, and note progressions of each mode. Melodies used as Daseureum were identified among the pre-Sanjo rhythms of the 12 schools, and how these were utilized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wo aspects: melodic modes apparent in Daseureum, and rhythms utilized in Daseureum. First, the most commonly used music for Daseureum is Ujo, which was used in 12 schools. Pyeongjo was used in 3 schools, and Pyeongujo and Gyemyeonjo were used only in 1 school each. The ujo of a Daseureum is comprised of five notes, d, e, g, a, and c', with the key being a. The pyeongjo is comprised of five notes, d, e, g, a, and c' (b), with the final note being g. The pyeongujo is comprised of five notes, d, e, g, ∧a, and b, with g being the final note. Gyemyeonjo is comprised of the five notes d, f, g, ∧a, and c', with the final note being g. The representative motif of the ujo in Daseureum is e'-d'-e' and characteristic note progressions are the continuous third degree upward progression a→c'→e', the continuous third degree downward progression e'→c'→a, and the second degree upward progression g→a. The characteristic motifs of pyeongjo are d'-e'-d' and a-c'-a. In pyeongujo Daseureum, motifs of both ujo and pyeongjo were used. The basic cadences of the ujo section (pyeongjo key cadence) of a Daseureum and of the pyeongjo and pyeongujo modes are a-g and d-g. As all three modes have a pyeongjo key cadence, the same cadence was used. In the ujo, a different key (a) and final note (g) were used among the component notes. Meanwhile, the basic cadences of gyemyeonjo are the (B♭)A-G and D-G cadences. Whereas the cadences of ujo, pyeongjo, pyeongujo, and gyemyeonjo have the same note structure, they differ in other detailed aspects. That is, whereas in the a-g cadence used in the pyeongjo key cadence of ujo, pyeongjo and pyeongujo, the a note is not bent, in the (B♭)A-G cadence used in the gyemyeonjo cadence, the A is bent at the B♭ note. Also, whereas a broad moving tone is not used on the d note in the d-g cadence used in a pyeongjo key cadence, in the D-G cadence used in a gyemyeonjo cadence, a broad moving tone is used on the D note. Second, Daseureum may include sections using the rhythmic melodies from the main Sanjo or other sections with new tunes not found in the main Sanjo. In some cases, variational melodies of two or more movements are used in one passage of Daseureum, which is the method u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formation of Daseureum. Over time, decorative notes sometimes were transformed into original sounds, and the playing techniques were altered. In recent years, various application methods were further applied, such as changing the melody to Nongeum (vibrato), modulating Sigimsae to melody, adding the Saraeng playing style, and expanding the sound form. Inserting new melodies were mainly foun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ction, and the Gyemyeonjo characteristic sounds were also utilized. When using the main melody of Sanjo, slow movements such as Jinyangjo and Jungmori are played quickly, and melodies of fast movements such as Jungjungmori and Jajinmori are played slow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