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장애인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공법적 연구

Title
장애인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공법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Relief of the Rights of the Disabled
Authors
황희옥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승원
Abstract
장애인 차별은 인간 사회 역사에 오랫동안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으며, 차별은 그 자체로 우리 헌법에서 모든 인간이 평등함을 선언한 것과 배치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장애인이 사회구성원으로서 마땅히 누려야 할 시민권적 권리와 사회참여로의 기회를 문제의식 없이 박탈한다. 장애의 관점이 사회적이고 인권적인 접근으로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정책 또한 장애인의 동등한 사회참여를 통한 사회로의 통합을 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장애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장애인에 대한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사회구조의 타파부터 시작한다. 기존의 장애인관련법은 선언적인 차별금지에 불과해 그 실효성이 없었고, 일반적인 차별 영역과 다른 장애인 차별의 특수성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국가인권위원회와 사법부의 장애차별 구제가 차별행위 자체의 개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차별의 금지와 차별구제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사회에 내재한 차별적인 구조를 철폐하고 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 보장을 달성하기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과 그 시행, 장애차별시정기구와 차별에 대한 권리구제 제도 신설은 장애인의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장애인의 적극적인 인권보장과 차별시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장애인차별금지법은 본 법제의 기초이자 근거인 새로운 사회적 장애 관점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차별행위 개념의 문제점이 명확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장애차별적인 사회의 환경을 시정하기 위한 편의의 제공이 제한적이고 위임입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장애차별기구인 국가인권위의 권리구제 실효성의 문제점, 이중차별의 문제점이 있으나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점, 장애인정책에 있어 관련법제와의 구조적 관계가 체계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처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권리구제 규정의 법적보장구조가 철저하지 않아 권리구제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권리구제의 실효성 문제와 관련하여, 장애인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차별구제 진정을 제기하여도 국가인권위원회의 차별판단에 있어 그 인용범위가 넓지 않아 실질적인 차별시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와 시정권고권의 구속력이 없어 차별시정의 실현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법무부 장관의 시정명령 사례가 2건에 그치며, 시정명령 요건의 엄격성으로 그 활용이 어렵다는 점이 있다. 그리고 장애인차별구제에 관한 법원의 판례 또한 충분하지 않은데, 이 점은 장애인의 권리구제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의무가 명시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차별시정과 권리구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장애인의 인권 실현을 저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법원은 장애인 차별시정을 위한 적극적 조치를 두고 있으나 실제 이를 활용한 사례는 충분치 못하며, 법원의 관할에 대한 판례의 입장이 일치되고 있지 않아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장애인의 권리구제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의무가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차별시정과 권리구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장애인의 인권 실현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장애유형과 그에 따른 차별유형 및 장애인이 원하는 시정조치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장애인이 권리구제 제도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행정적이고 사법적인 지원과 현재 사문화된 적극적 구제조치제도의 활성화와 집단소송제도의 도입 등을 검토해야 한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은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사회문화적인 제도를 타파하는데 있다. 그러나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지 약 10년이 흐른 지금에도 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구제를 위한 법제적 개선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서 논의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장애인차별구제에 관하여 공법적인 관점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을 검토하고, 현 법제의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차별금지 법제의 문제점 파악과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 특히 사회구성원의 한 주체로서 장애인의 실질적인 인권이 실현될 수 있도록 권리구제절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만이 아닌 모든 차별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제로서 이에 대한 대안과 책임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적 관점에서 장애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문제로 인식되므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사회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더 이상 장애인을 ‘시혜적 복지정책’의 보호대상이 아닌 ‘권리적 복지정책’의 대상으로 변화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복지정책과 장애인정책의 변화에 맞춰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규범적 접근 틀을 넓히기 위해 헌법, 행정법, 사회복지법 등의 다각적 측면에서의 고려를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이론적인 기초가 되는 장애와 차별의 개념을 살피고, 장애인차별금지의 법적인 기초를 헌법, 행정법, 사회보장법에서 도출하여 장애인의 평등과 차별로 인한 권리 구제가 실질적인 권리로서 실현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권에 대한 탄력적 해석을 통해 장애인의 권리성을 강화하고, 사회복지국가원리의 구현을 위하여 장애인차별과 권리구제에 있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에 관해 논의를 시도하였다. 장애인차별금지법과 기타 장애인차별금지 관련 법령의 현황 또한 살펴보아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장애인기본권 보장에 있어 기본법의 지위를 갖는 중요한 법임을 재확인하고, 장애인차별금지법제의 문제점인 장애개념의 문제점, 정당한 편의제공의 범위의 문제점, 장애차별시정기구의 문제점, 장애인차별관련 법체계의 문제점, 이중차별의 문제점, 차별금지예방정책의 문제점을 탐색한다. 또한 장애인 권리구제의 현황과 권리구제절차의 문제점을 기관별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Disability-based discrimination has long been rooted in human social history and discrimination not only contradicts the declaration of equality by itself in our Constitution but also deprives the disabled of civil right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ety without a critical mind. As the view of disability develops into social and human rights, the disability policy is also changing for the purpose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a equal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e basic solution for the disability problem starts from breaking a suppressing and discriminating social structure against the disabled. Prior disability-related law was not effective as it was nothing more than a declaratory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and did not fully reflect the distinctiven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different from general discrimination area and the rescue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from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the judicial branch often does not lead to enhancement of discrimination itself which constantly raised the necessity of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and a remedy for discrimination. By these needs, Korea legislated a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o achieve a practical guarantee of rights of the disabled and abolished a discriminative structure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In this situation, the enactment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nd its enforcement, disability discrimination correction orga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for the remedy of rights against discrimination were expected to become a big stepping stone to realize the right of the disabled. It was expected that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ould actively contribute to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and a discrimination remedy. However,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does not fully mention a new social disability point of view which is the foundation and the basis of this law, has the problem of not clarifying the problem of notion of discrimination act, is restricted in providing convenience to remedy the disability-based discriminatory social environment and depend on delegated legislation, has the problem of effectiveness of remedy of rights of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a Disability Discrimination Organization, does not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dual-discrimination, and has the problem of not having a systematical relationship with related legislation in disability policy. Likewise, the question is being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remedy of rights as a legal security structure of regulation of remedy of right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s not perfect. In terms of the problem of effectiveness of remedy of rights in particular, even though the disabled raise the petition of discrimination relief o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practical discrimination remedy is not easily solved as a quote range is not wide enough in discriminatory judgment from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has a limitation of realizing discriminative remedy as it does not have a binding agreement of corrective recommendation. Also, there were only two cases of corrective orders from the minister of justice and it is hard to utilize as the strictness of corrective order of requirement. Furthermore, precedent of court about the remedy for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is not enough, and practical discrimination remedy and the remedy of rights are not realized even though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nation and a local government of remedy of rights are defined, which means it hinders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The court is actively taking an action for the disability-based discrimination remedy, although, the real case utilizing this is not enough, causing a chaos of discording with the position of precedent in court’s jurisdiction. Although the responsibility and the duty of a nation and a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the remedy of rights for the disabled is specified, practical discrimination remedy and the remedy of rights are not achiev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alize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in real life. For this, a nation and a local government should figure out the types of 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and remedy measures that the disabled want, do executive and legislative support to facilitate the access of remedy of rights for the disabled, actively activate a relief system that has been invalidated and review adopting collective lawsuit. ‘Complete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realization of equality for the disabled’ that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ultimately pursues is to abolish the sociocultural system that disrupts social integration. However, about a decade after enforcing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legislative improvement for the practical remedy of rights for the disabled is still inadequate even now. Thu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the view of public law regarding remedy for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based on the critical issues discussed before, understand the problem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rough analyzing current law,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i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of remedy of rights procedure to realize the practical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especially as for the main members of society. All the discriminative issues not only for the disabled are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world-wide society, which requires alternatives and responsibilities for these. From a social point of view, the disabled is considered as a social problem not a personal problem, and the effort for improving social problems that hinder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and the demand for changing the notion of the disabled as the subject of ‘righteous welfare policy’ not a ‘selective welfare policy’ is increasing. Therefore, we wanted to do overall and systematic study through considering multilateral aspects of the constitution, administrative and social welfare law to enlarge the normative approach tool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policy of social welfare and for the disabled. This study searched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enforced the rightness of the disabled through a flexible interpreta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society and social welfare to realize the equality of the disabled and the remedy of rights of discrimination as practical rights by deducting from the constitution, administrative, social security law as the basic law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ried to discuss the responsibility of a nation and a local government in disability-based discrimination and remedy of rights to realize the social welfare state principl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nd other laws related to this were studied, reassuring that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s the important principle law in ensuring the basic rights of the disabled. The problem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the legitimate range of providing a convenience, a disability discrimination correction organization, a legal system of disability-based discrimination, a dual discrimination, and an anti-discrimination policy was searched. Not only that,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remedy of rights for the disabled and the problem of that procedure were searched by agency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according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