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2 Download: 0

‘피플(people)’ 개념을 통해 본 영국 팝아트의 사회의식 연구

Title
‘피플(people)’ 개념을 통해 본 영국 팝아트의 사회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Awareness of the British Pop Art through the Concept of “People”
Authors
강은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ocial awareness represented by the British pop art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British pop art is rooted in the word “popular” and the concept of “people” implied within, thereby identifying what characteristics the “people” concept is comprised of, and if there is any issue in its scope and the way it has been applied. The reason why the members of the Independent Group(IG) that gave birth to the British pop art frequently mentioned such words as “popular” or “pop” in their lectures and writing in the early 50s was because they kept in mind “people”–a multitude of those that equitably coexisted as the subjects of producing and relishing the new art in their pursuit. According to Lawrence Alloway, “people” in the British pop art refer to many of those standing on “The Long Front of Culture” to be confronted when the pyramid-type culture structure of the past converts into a horizontal one.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the “mass”, a unified and unorthodox group, as they can recognize and reveal their individual taste and desire. Give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the U.K. after the 19th century, the “people”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labor class which spearheaded the Industrial Revolution, announced the People’s Charter and stood at the center of the history. The perspective of Britons seeking to fathom the labor class based on the “people” concept enabled cultural theorists of the U.K. to focus on the possibilities of the popular culture, and make a positive interpretation on them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hile triggering many British contemporary art trends to seek for “art for a majority of people.” For instance, the flow of the British contemporary art maintained a popular art trend throughout the century ranging from: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led by William Morris who declared “the art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activities of the Glasgow Four that led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art for local residents; the Omega Workshops that produced craftworks as daily necessities through co-production; the Vorticism that expanded the scope of artwork distribution through the printing technique; and artists of the Unit One that never hesitated to take part in the design art applied to many people. Such tradition drove the British pop artists to proactively respond to the mass culture with expectations that the mass consumeristic society would guarantee a democratic and universal life.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British pop art which pursued the art which could be enjoyed by anybody in the equitable cultural structure based on the “people” concept was properly revealed by the activities of holding exhibitions which played pivotal roles to lead the developments of the artistic trend. Exhibitions set no hierarchical distinction among images by breaking down the cross-genre hierarchy amid the broadening of artistic fields of participating artists, and suggesting a majority of exhibits in copies of photographs. Also, exhibitions adopted democratic ways of display of not tolerating any hierarchy among exhibits, while exuding aesthetic attitudes based on the “people” concept by exploring banal themes in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the contemporary world. Many of the artists that led the exhibitions were from the labor class, which somewhat contributed to their daring to challenge the societal hierarchy. Yet, since most of them were white people, they did not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colored races in the contemporary world. That their dominant gender of male led to an exclusive stance towards women could be pinpointed as a limitation for the “people” concept to embrace hierarchy-free diversity. As such,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existence of Frank Bowling, a colored artist, and Pauline Boty and Jann Haworth as female artists by broadening the horizons beyond the domain of white male artists, while identifying that they could complete and expand the “people” concept pursued by the British pop art by clearly position them as members of the British pop art. Furthermor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portrayal of the contemporary world reveals the standardization in the modern consumerist society, and male and white-orient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people” concept is to be analyzed in the class, gender and racial aspects by analyzing works of the British pop art. For instance, British pop artworks disclosed the fact that the standardized life and homogenic tastes induced by mass production and the consumeristic system could mislead the “people” as a group of character-less beings, behind which there are objectified and commercialized women and the black that are otherized without being described as subjects, thereby testifying the gender-based and racial limitations embedded in the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in the context of equality. In conclusion, British pop art, through the concept of “people” embodied in the term “popular”, developed the idea of art enjoyed by the many with ideals of horizontal cultural structure and revealed the economic, gender, and political unequal structures inherent in modern consumer society in its works, more clearly presenting their social consciousness about the whole contemporary society. ;본 연구는 영국 팝아트의 미학적 태도가 팝아트(Pop Art) 용어의 근간인 ‘파퓰러(popular)’라는 용어와 이에 내포된 ‘피플(people)’ 개념에 근거한 것임에 주목하여, ‘피플’ 개념이 영국 현대미술사 속에서 어떻게 발전되어 영국 팝아트에 이르렀으며, 그 개념이 작품 속에서 어떠한 성격으로 다루어졌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영국 팝아트가 보여준 사회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국 팝아트를 태동시킨 인디펜던트 그룹의 일원들이 1950년대 초 여러 강연과 글을 통해 ‘파퓰러’ 또는 ‘팝’이라는 단어를 자주 언급한 것은, 그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미술의 생산과 향유의 주체로 ‘파퓰러’의 근간인 ‘피플’, 즉 평등하게 공존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영국 팝아트의 ‘피플’ 개념은 앨러웨이의 주장에 따르면 과거의 피라미드형 문화구조가 수평적 구조로 전환되었을 때 마주하게 될 ‘문화의 긴 전선’ 위에 서게 되는 다수의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각자의 취향과 욕망을 인지하고 드러낼 수 있는 사람들로서 획일화되고 무개성적인 집단인 ‘매스(mass)’와 명백하게 구분되며, 특히 19세기 이후 영국의 사회·정치적 맥락에 비추어 보았을 때 산업혁명을 직접 이끌고 인민헌장을 주창하며 역사의 중심에 위치해 온 노동계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노동계급을 ‘피플’ 개념의 중심으로 파악하는 영국인들의 관점은 20세기 전반 영국의 문화 이론가들이 대중문화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바탕이 되었으며, 영국 현대미술의 여러 동향들이 ‘다수를 위한 미술’을 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피플에 의한, 피플을 위한 예술’을 주창한 윌리엄 모리스의 예술 수공예 운동으로부터 지역민을 위한 실용미술을 이끈 글래스고 4인회의 활동, 공동 생산을 통해 생활 공예품을 제작한 오메가 공방, 인쇄 기술을 통해 작품 보급의 영역을 확대한 소용돌이파, 그리고 많은 이들에게 활용되는 디자인 예술에 기꺼이 동참한 유닛 원의 미술가들에 이르기까지 한 세기를 관통하며 대중적 예술관을 유지해온 영국 현대미술의 흐름이 하나의 통시적 연계를 이룬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영국 팝아트 작가들이 전후 대량소비사회의 체제 속에서 민주적이고 보편적인 삶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대중문화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데 실질적인 동력이 되었다. ‘피플’ 개념에 근거하여 평등한 문화구조 속에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예술을 추구한 영국 팝아트의 미학적 태도는 이 미술동향의 전개과정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전시활동에서 잘 드러났다. 전시는 참여 작가들의 전공분야를 다양하게 넓혀 장르 간의 위계를 허물고, 전시물의 대다수를 복제된 사진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미지 간의 상하구분을 두지 않았으며, 전시물 사이에 위계를 허용하지 않으려는 민주적인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채택하고, 동시대 사회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주제를 탐색함으로써 ‘피플’ 개념에 근거한 미학적 태도를 드러냈다. 이러한 가운데 전시를 주도한 작가의 다수가 노동계급 출신이었다는 점은 사회 계층적 측면에서 그들이 위계에 대한 남다른 도전의식을 발휘하는데 일조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백인이었던 탓에 동시대 유색인의 존재에는 특별히 주목하지 못했으며, 남성 일색의 젠더 성향 역시 종종 여성에 대한 배타적인 입장으로 나타났다. 영국 팝아트의 주류 작가군에서 나타나는 백인남성 중심의 성향은, 어떠한 위계도 없이 모든 다양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피플’ 개념에는 부합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백인남성 작가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주변으로 시각을 넓혀 유색인 작가인 프랭크 보울링, 그리고 여성작가인 폴린 보티와 잔 하워스의 존재를 밝히고 이들을 영국 팝아트의 일원으로 분명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이들이 영국 팝아트가 추구한 ‘피플’ 개념을 완성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존재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고는 ‘피플’ 개념이 계층, 젠더, 인종의 맥락에서 다각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영국 팝아트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보여준 동시대 사회에 대한 묘사에서 현대 소비사회의 표준화, 남성중심, 백인중심의 구조적 특성이 드러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요컨대, 영국 팝아트 작품들은 대량 생산과 소비 체계가 가져온 평준화된 삶과 동질화된 취향이 ‘피플’을 무개성한 존재들의 집합체로 호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한편, 그 이면에 섹슈얼리티라는 주제 아래 객체화되고 상품화된 여성과 주체로 묘사되지 못하는 타자화된 흑인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동시대 소비사회가 젠더적, 인종적 맥락에서 충분히 확장된 ‘피플’ 개념을 공유하지 못하였음을 작품을 통해 증언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국 팝아트는 ‘파퓰러’ 용어 안에 내포된 ‘피플’ 개념을 통해 수평적 문화구조에 대한 이상을 가지고 다수가 함께 누리는 예술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키며 실천적인 미술로 나아갈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현대 소비사회에 내재된 경제적, 젠더적, 정치적으로 불평등한 구조를 작품 속에 드러냄으로써 동시대 사회 전반에 대한 그들의 사회의식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