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시각적 자극의 정서가 (Emotional Valence)에 따른 청년층과 노년층의 대면이름대기 능력의 차이

Title
시각적 자극의 정서가 (Emotional Valence)에 따른 청년층과 노년층의 대면이름대기 능력의 차이
Other Titles
Age-related Differences in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ccording to Emotional Valence of Visual Stimulus
Authors
김신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s on the confrontation naming of healthy elders and young adults. The study had a total of 60 subjects (30 elders and 30 young adults). The group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ears of education (p>.05). As the stimulus of confrontation naming task, this research used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Lang, Bradley, & Cuthbert, 2005) photographs. IAPS photo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according to the emotional valence evaluation result of Korean standard (Park & ​Park, 2009). The selected photo stimuli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ir emotional valences (positive, negative, neutral) in the word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word length, visual complexity, naming agreement, and the phonological complexity. In the confrontation naming task, the researcher asked the subjects to say the name of the picture presented on a screen as fast and accurately as possible, and the entire experiment process was recorded through the E-Prime program and saved as individual files. This study performed a two-way mixed AN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elders and the young in accuracy and response time based on emotional valence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The study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between the groups in the confrontation naming task, indicating a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the elders than young adult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ccording to emotional valence. Next, the post-test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and the neutral and between the negative and the neutral,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Lastly,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motional va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showed that the naming accuracy of the eld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 in the negativ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between the elders and young adults in the confrontation naming task, because the elders had a longer response time than the young adult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according to emotional valence. The post-test performed according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in three emotional valences (positive, negative, neutral), and the response time increased in neutral < positive < negative. Finally,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motional va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attributed to the longer response time of the elders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in the post-hoc test resul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valence may interfere with word production, and that such interference may be greater for the elderly than for the young. The study results are meaningful as they provide basic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word production, which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searched in South Korea, and show that there may be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effects on emotional valence naming.;노년층의 경우, 노화에 따른 언어문제로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것이 노화에 따른 이름대기 손상이다. 노인들은 특정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해 내는 것을 어려워하며, 이러한 이름대기 어려움은 노인들을 당황스럽게 하는 기억장애로 보고되고 있다(Brown & McNeill, 1966; Lovelace & Twohig, 1990). 이름대기 처리과정은 주의집중, 지각, 기억력과 같은 인지능력과 어휘지식, 음운론 및 의미론적 과정과 같은 언어처리 과정이 모두 결합되어 표현되기 때문에 어떤 하위요소의 문제로든 이름대기의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Wolf & Segal, 1992). 정서(emotion)가 어휘처리와 이름대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충명, 2019; Blackett et al., 2017; Yap & Seow, 2014; Vinson, Ponari, & Vigliocco, 2014; Hinojosa et al., 2010; Kousta, Vinson, & Vigliocco, 2009). 특히 정서가 어휘인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들은, 정서자극에 편향된 주의가 어휘인출 과정을 방해하여 긴 이름대기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Blackett et al., 2017; Hinojosa et al., 2010). 이와 같이 정서가 어휘처리와 어휘산출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정서와 어휘산출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emotion)가 정상 노년층과 청년층의 대면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60명으로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선별검사를 통해 신경학적, 언어적 결함이 없는 정상 노년층 30명과 정상 청년층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간 교육년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본 연구에서는 대면이름대기 과제의 사진자극으로 국제정서사진체계인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이하 IAPS; Lang, Bradley, & Cuthbert, 2005)사진을 이용하였다. IAPS사진자극은 한국인 규준(박태진 & 박선희, 2009)의 정서가 평정 결과에 의해 긍정, 부정, 중립의 세 범주로 나뉘어졌다. 선정된 사진자극은 한국어의 단어빈도, 단어길이, 시각적 복잡성, 이름일치도, 그리고 조음 복잡성에서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도록 하였다.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실험자는 피험자에게 화면에 제시된 사진의 이름을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말하도록 요청하였으며 실험의 모든 과정은 E-Prime 프로그램을 통해 녹음되어 개별파일로 저장되었다.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에 따른 집단(노년, 청년) 간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집단 간 정반응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가에 따른 정반응률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긍정범주와 중립범주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부정범주와 중립범주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긍정범주와 부정범주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집단(노년, 청년)과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른 사후검정 결과 부정범주에서 노년층의 이름대기 정반응률이 청년층에 비해 낮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집단 간 반응시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긴 이름대기 반응시간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가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세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 모두에서 반응시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립<긍정<부정 범주의 순서로 길어진 반응시간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노년, 청년)과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른 사후검정 결과, 긍정범주와 부정범주에서 노년층의 반응시간이 청년층에 비해 길어진 것에 기인한 결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청년층과 노년층 모두 중립 정서범주에 비해 정서범주(긍정, 부정)에서 길어진 반응시간과 낮은 정반응률을 보여, 정서자극이 이름대기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가 어휘산출을 방해할 수 있음을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Blackett et al., 2017; Hinojosa et al., 2010). 이러한 결과는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의 편향으로 정서적 자극에 주의자원이 배분되고, 이에 따른 결과로 어휘인출 과정이 방해를 받아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Blackett et al., 2017; Hinojosa et al., 2010). 본 연구에서는 정서범주(긍정, 부정)에서 청년층에 비해 노년층이 더 낮은 정반응률과, 길어진 이름대기 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정서범주에서 더 길어진 이름대기 시간을 보인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며(Blackett et al., 2017), 노화로 인해 처리자원 및 주의력 감퇴를 보이는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정서자극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은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청년층에 비해 노년층이 정서정보 자극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Charles et al., 2003; Mather & Carstensen, 2005; Fox & Knight, 2005)에 따라 정서자극에 편향된 주의가 어휘인출을 방해함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Blackett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정서사진자극을 사용하여, 정서가 청년층과 노년층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연구에서 부족한 정서와 어휘산출 간 관련성에 대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정서가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