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종단적 분석

Title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종단적 분석
Other Titles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duration of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ing during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Authors
곽효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학령전 아동은 말・언어발달 중에 부모에게 많은 영향을 받고, 대화적 상호작용 상황에서 시간적 요인(temporal factors)은 상호보완적이므로 부모 의사소통 행동에 따라 아동은 시간 압박(time pressure)을 느낄 수 있다. 압박을 느낀 아동은 대화차례 발화 시간 증가, 대화차례 쉼 시간 감소와 같은 의사소통 전략들을 발달시키게 되고, 이는 아동이 발화를 계획하고 산출하는 용량(capacity)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를 넘어 말더듬이 나타나게 하거나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Conture 1990; Savelkoul et al., 2007). 그러나 학령전 아동과 부모 상호작용(이하 아동·부모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시간적 요인이 아동의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선행연구는 대화차례 쉼 시간과 학령전 아동의 비유창성 간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안정현 외, 2009; 이수복, 심현섭, 2016; Bernstein Ratner, 1992; Guitar & Marchinkoski, 2001), 대화 상대자의 대화차례 쉼 시간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부모교육, 상호작용 치료를 통해 부모의 대화차례 쉼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아동·부모 대화적 상호작용 상황을 반영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Kelly와 Conture(1992)가 자연스러운 대화적 상호작용 상황에서 아동과 부모의 대화차례 쉼 시간과 아동의 비유창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아동과 부모의 대화차례 쉼 시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지 않았다. 아동·부모 상호작용의 역동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대화적 상호작용 상황에서 두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쌍방향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학령전 아동은 성장하는 중이고, 날마다, 상황마다, 중재 전후에 따라 말더듬은 다양하게 변하므로 아동의 말더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또한 달라질 수 있다(이수복 외, 2019; Smith & Kelly, 1997; Manning,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아동과 부모, 일반아동과 부모가 일상에서 대화하면서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아동의 비정상적 비유창성(abnormal disfluency, 이하 AD)과 아동과 부모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 및 대화차례 쉼 시간을 종단적으로 측정하여 집단 및 시점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아동의 AD 빈도, 아동의 시간적 요인, 부모의 시간적 요인 간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말더듬아동과 부모(이하 말더듬아동·부모) 7쌍(dyad)과 일반아동과 부모(이하 일반아동·부모) 7쌍이었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이 되도록 하기 위해 부모에게 ‘평소와 같이 아동과 대화하고 놀아주세요.’라는 최소한의 지시만 주고, 아동이 평소에 가지고 노는 장난감을 활용하여 상호작용 놀이를 6개월 간격으로 세 차례 진행하게 하였다. 그리고 각 시점마다 나타난 아동의 AD 빈도, 아동과 부모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아동의 AD 빈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6개월 시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시와 12개월 시점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시점에 따른 아동의 AD 빈도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아동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시점에 따른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말더듬아동 부모 집단과 일반아동 부모 집단 간 부모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시점에 따른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6개월 시점에 말더듬아동·부모 집단에서 아동의 대화차례 쉼 시간과 부모의 대화차례 쉼 시간 간 정적 상관관계를, 아동의 AD 빈도와 대화차례 쉼 시간 간, 아동의 AD 빈도와 부모의 대화차례 쉼 시간 간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아동·부모 집단에서는 아동의 AD 빈도와 부모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 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평가 시, 12개월 시점에는 아동과 부모의 시간적 요인 간, 아동의 AD 빈도와 시간적 요인 간, 아동의 AD 빈도와 부모의 시간적 요인 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아동의 AD 빈도와 시간적 요인, 부모의 시간적 요인을 집단이 아닌 개별로 살펴보았을 때, 집단의 경향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말더듬아동·부모 집단과 일반아동·부모 집단의 시간적 요인이 차이가 없고, 일반아동도 AD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의 말더듬과 말더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이수복 외, 2019; Smith & Kelly, 1997; Manning, 2010), 말더듬 평가 및 중재 시 아동과 부모의 개별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령전 아동의 경우, 유창한 말을 산출하기 위한 능력뿐만 아니라 다른 능력들도 동시적으로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고, 주변의 환경 또한 계속 변해가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아동의 내적 용량과 외적 요구 사이의 관계가 역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이혜란, 2001; Kelly & Conture, 1992). 이러한 종단적 분석을 통해 말더듬아동 간접치료 시, 말더듬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시간적 요인이 차이가 없고, 아동과 부모가 일상에서 대화하면서 상호작용할 때 시간적 요인이 말더듬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말더듬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접치료뿐만 아니라 직접치료를 병행하는 등 적절한 중재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reschool children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 in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They also may feel time pressure from temporal behavior of parent, because temporal characteristic of the conversation can be either reciprocal or compensatory. The pressure may develop strategies such as increasing duration of utterance, decreasing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This may result in the onset and development of stuttering because of excess of a child’s capacity. But, it is not clear how temporal factors affect children’s disfluency in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s. Prior studies focused on the duration of turn-switching. They investigated abnormal disfluency(AD) or temporal factors by the change of duration turn-switching in researcher or parent through manipulation or intervention(Ahn et al., 2009; Lee & Sim, 2016; Berstein Ratner, 1992; Guitar & Marchinkoski, 2001) or only temporal factors in parents in natural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s(Kelly & Conture, 1992). It is necessary that measuring temporal factors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in natural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s and identifying bidirectional effect for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dynamics of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s. In addition, preschool children are growing and stuttering varies from day to day, situation to situation, an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o factors affecting their stuttering may vary(Lee, et al., 2019; Smith & Kelly, 1997; Manning, 2010).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 of children, duration of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in natural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s. Seven children who stutter(CWS) and their parents dyads and Seven children who not stutter(CWNS) and their parents dya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the interaction play three times every 6 months through toys that children usually play after providing minimal instruction for natural interactions. In addition, it is examined AD of children, duration of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at different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t 6 months, the differences between CWS group and CWNS group in the AD were significant and were not significant at assessment and 12 months.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WS group and CWNS group in the duration of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Also,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at different points.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WS parents group and CWNS parents group in the duration of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Also,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utterance and turn-switching pause at different points. Lastly, at 6 month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urn-switching pause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AD and turn-switching pause of children, between AD of children and turn-switching pause of parents in CWS and their parents group.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 of children and duration of utterance of parents in CWNS and their parents group. At assessment and 12 month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temporal factors of children and parents, between AD of children and temporal factors, between AD of children and temporal factors of parents in both groups. When looking at the AD, temporal factors of children and temporal factors of parents individually, they showed a different trend from th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no difference in the temporal factors of between CWS and their parents group and CWNS and their parents group and AD may appear in CWNS. Moreover, it showed AD of children and factors affecting it may vary at different points in time(Lee, et al., 2019; Smith & Kelly, 1997; Manning, 2010), and the importance of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parents in stutter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the case of preschool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needs and internal capacity can change dynamically over time, because other abilities are growing rapidly at the same time, as well as the ability to produce fluent speech,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tinues to change(Lee, 2001; Kelly & Conture, 1992). The results may provide clinical information on no difference in the temporal factors of between CWS parents and CWNS parents and how temporal factors can contribute to stuttering in children and parents interaction. This study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how to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W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