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계성원 작곡 <오돌또기 주제에 의한 환상곡> 분석 연구

Title
계성원 작곡 <오돌또기 주제에 의한 환상곡>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research, composed by Seongwon Kye
Authors
박신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This dissertation studied for 25 strings gayageum which Seongwon Kye composed in the motive of ‘Odolddogi’. With the priority given to theme melody and variation melody that appears in using melody of folk song‘Odolddogi’and‘Ieodosana’as motive, it was analyzed 5 verses: Intro, A, B, C, Coda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Paragraph Intro consists of total 57 measures, and 4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 Ⓑ, Ⓑ’. The fantastic atomosphere of ‘Jeju Island’, which composer Seongwon Kye wants to represent, was created with the tremolo technique in the main melody, the arpeggio technique in the accopaniment melody, and the ocean drum of percussion that creates the sound of waves. The main melody, based on chorus melody of Jeju folk song Odolddogi, star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gayageum and expanded to the third and fourth gayageum. Paragraph A consists of total 44 measures, and 4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 Ⓐ’, Ⓑ. In the percussion of paragraph A, there is a water-jar rhythm performance used in Jeju folk songs, and this rhythm and accompaniment melody are in progress. The main melodies of Paragraph A consisted of two independent main melodies based on the chorus melodies of Jeju folk songs and . In addition, the form of giving and receiving that can be seen in folk songs appeared in main melodies. In this part, the last note that ends the main melody was played with the tremolo technique, and the note was continued and connected to the next main melody. Paragraph B consists of total 44 measures, and 4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 Ⓐ’, Ⓑ, Ⓒ. It was appeared Jajinmori rhythm in Paragraph B and the main melody of Paragraph A is varied. Main melodies with the motive of the chorus of the two Jeju folk songs and were conducted in a counterpoint. Main melodies appeared in all parts except gayageum 7. Paragraph C consists of total 38 measures, and 4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 connection, Ⓐ’. In paragraph C, Heulrim rhythm used in shamanism music was played in a water jar. As the sound effect, the traditional gayageum technique was used to create a pleasant mood. Paragraph Coda consists of total 38 measures and this part is the ending specially added to this song. Main melodies with the motive of the chorus melodies of the two Jeju folk songs and appeared as the motive, and the progress of the melody was emphasized as a unison. The tremolo technique in the main melody and the repetition of the specific rhythm in the accompaniment melody became a crescendo and ended strongly. In this song, the main melody and accompaniment melody appeared in the 8 parts, and there are the form of folk songs and polyphonic music in the main melody. The‘fantastic Jeju Island’that composer Seongwon Kye wanted to express was effectively directed through gayageum's arpeggio, tremolo technique, and percussion's ocean drum and water jar performanc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wo Jeju folk songs can be made into one new work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I hope that composers and performers will increase their interest in Jeju folk songs, which have not been actively created, and various works based on Jeju folk songs will be actively composed and performed.;본 논문은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를 모티브로 계성원이 작곡한 25현 가야금 8중주곡 <오돌또기 주제에 의한 환상곡>을 분석한 것이다. 이 곡에서는 총 8대의 가야금과 제주도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오션드럼 그리고 물허벅의 타악기가 등장한다.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의 선율을 모티브로 한 계성원 작곡의 <오돌또기 주제에 의한 환상곡>을 주선율과 반주선율 중심으로 Intro, A, B, C, Coda의 총 5단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Intro단락은 총 57마디이며 도입부, Ⓐ, Ⓑ, Ⓑ’의 총 4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Intro단락을 살펴보면 주선율에 나타나는 트레몰로 주법과 반주선율에 나타나는 아르페지오 주법, 그리고 파도 소리를 연출하는 퍼커션의 오션드럼으로 작곡가 계성원이 나타내고자 하는 ‘제주도’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제주민요 <오돌또기>의 후렴 선율을 모티브로 한 주선율은 제1, 2가야금에서 시작하여 제3, 4가야금까지 확장된다. 둘 째, A단락은 총 44마디이며 도입부, Ⓐ, Ⓐ’, Ⓑ의 총 4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A단락의 퍼커션에는 제주민요에 쓰이는 물허벅 리듬 연주가 나오는데, 이 리듬과 반주선율은 동일한 리듬 진행을 보인다. A단락의 주선율 진행은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 두 민요의 후렴 선율을 모티브로 하는 두 개의 독립적인 주선율이 대위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주선율에는 민요에서 볼 수 있는 메기고 받는 형식이 나타나는데, 이 부분에서 주선율이 끝나는 마지막 음을 트레몰로 주법으로 연주하여 음을 지속시켜 다음 주선율로 연결한다. 셋 째, B단락은 총 44마디이며 Ⓐ, Ⓐ’, Ⓑ, Ⓒ의 총 4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B단락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박자가 변화하고 A단락의 주선율이 변주되어 나타난다.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 두 민요의 후렴 선율을 모티브로 한 주선율이 대위적으로 진행되고, 제7가야금을 제외한 모든 파트를 오가며 주선율의 이동이 나타난다. 반주선율에는 헤미올라 리듬이 나타난다. C단락은 총 38마디로 도입부, Ⓐ, 연결구, Ⓐ’의 총 4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C단락에서는 굿음악에서 사용되는 흘림장단이 물허벅으로 연주되고, 효과음으로 제시음보다 한 줄 아래의 현을 눌러내는 가야금의 전통 연주법이 사용되어 악보에 제시된‘흥겹고 재미있게’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마지막 Coda는 총 11마디로 이 곡에서 특별히 추가된 종결부이다. Coda에서도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 두 민요의 후렴 선율을 모티브로 한 주선율이 대위적으로 등장하며, Unison으로 선율 진행이 강조된다. 주선율에서 나타나는 트레몰로 주법, 그리고 반주선율에서 나타나는 특정 리듬의 반복 진행은 크레셴도 되어 강하게 종지한다. 계성원 작곡의 <오돌또기 주제에 의한 환상곡>은 제주민요 <오돌또기>와 <이어도사나>의 후렴 선율을 모티브로 한 주선율이 대위적으로 나타나는 창작곡이다. 본 곡은 총 8파트의 25현 가야금에서 주선율과 반주선율이 나타나는데, 주선율에는 민요에서 볼 수 있는 메기고 받는 형식과 서로 독립적인 선율 진행의 다성음악(polyphony) 형식이 나타난다. 연주법으로는 트레몰로 주법과 한 줄 아래의 현을 눌러내는 전통 주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반주선율에는 아르페지오 주법이 사용되고 퍼커션과 Unison의 리듬 진행이 자주 나타난다. 곡 설명에서 작곡가 계성원이 표현하고자 한 ‘환상적인 제주도’를 가야금의 아르페지오, 트레몰로 주법과 퍼커션의 오션드럼과 물허벅 연주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출하였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두 개의 제주민요가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하나의 새로운 작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작곡가와 연주자들에게 아직 활발히 창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주민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제주민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활발하게 작곡되고 연주되길 바라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