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7 Download: 0

박영란 작곡 해금과 25현 가야금을 위한 <기억 속의 기억> 분석 연구

Title
박영란 작곡 해금과 25현 가야금을 위한 <기억 속의 기억>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or Haegeum and 25-string Gayageum composed by Park, Yong-Nan
Authors
김윤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박영란 작곡 해금과 25현 가야금을 위한 <기억 속의 기억>을 분석한 것이다. 작품에서 작곡가의 의도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곡의 주제가 어떤 식으로 묘사되었는지 알기 위해 곡의 구조를 나누고 선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작품에 사용된 다양한 연주 기법이 어떤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 속의 기억>은 ‘기억의 생성 과정’을 묘사하고 있으며 곡의 흐름에 따라 , , , , , Coda-의 6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작곡가는 구체적인 기억을 나타내는 단락 를 먼저 작곡한 후,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을 그리며 단락 에서 음정을 추출하여 전반부와 후반부를 작곡하였다. 해금은 주선율로서, 기억을 나타내는 선율을 연주하며 곡의 스토리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가야금은 주로 해금 선율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되었다. 둘째, 각 단락을 살펴본 결과, 단락 는 a, a’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별한 조성을 찾을 수 없고 대부분 비화성음으로 진행된다. 해금과 가야금이 효과음적인 사용으로 곡의 분위기를 암시하고, 해금이 기억의 조각을 나타내는 모티프 선율을 제시한다. 단락 는 b, b’, b”로 이루어져 있다. 단락 에서 제시된 모티프 선율이 재구성되어 나타나는 과정을 통해 기억이 서로 꼬리를 물고 떠오르는 모습을 묘사한다. 해금이 모티프 선율을 연주하고 가야금이 반주를 하는데, 반주에 Fm의 조성이 나타나 안정감을 준다. 단락 는 c, d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율적인 부분보다 음향적인 표현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다. 해금 선율에서 최저 음역대에서 최고 음역대로의 이동이 나타나며 해금과 가야금의 화음이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음역대와 화음의 변화는 음악의 짜임새를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음색과 음향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작곡가는 이러한 음색과 음향의 대비로 불확실하고 혼란스러운 기억을 묘사하였다. 단락 는 e, f, g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기억’을 묘사하는 악곡의 주제 선율이며 전·후반부 모티프 선율의 원천이라고 볼 수 있다. 5/4와 6/4박으로 박자가 변형된 왈츠풍의 음악이며 확실한 조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곡의 코드진행은 B♭m -Fm - C7 -Fm순으로 반복된다. 단락 는 곡의 클라이맥스 부분이며, 구체적인 기억을 떠올린 후의 감정의 소회를 묘사한다. 가야금은 일정한 박자를 제시해 타악기의 역할을 하며, 해금은 최저음에서 최고음까지 끊임없이 상승 진행하여 악곡 전체의 긴장감을 야기한다. Coda-는 단락의 소재를 사용됨으로써 수미상관의 구조를 이루는데, 해금은 아주 느린 선율로 모티프 선율을 제시한 뒤 최고음을 사용해 사라지듯 음악이 마무리된다. 셋째, 곡의 진행에서 음향의 변화와 효과음적인 요소가 음정과 선율만큼이나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요소의 표현을 위해 다양한 특수 주법 및 연주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해금에서 추성과 퇴성, 글리산도, 중음주법, 트레몰로, 이중음 트레몰로, 이중음 트레몰로 글리산도가 사용되었고, 가야금에서 주발사용, ‘nail tremolo’, 글리산도, ‘with string bow’, 글리산도 트레몰로, 나무판을 두드리는 기법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기억 속의 기억>은 선율적인 부분과 악기의 효과음적인 사용이 조화를 이루며 곡의 주제를 적절히 묘사하는 현대음악이다. 모티프 선율의 반복으로 스토리 진행에 일관성을 주고, 그와 대비된 다양한 짜임새의 변화로 의외성을 주어 악곡에 대한 집중력을 이끌어낸다. 악기의 사용에 있어서 다양한 연주 기법을 시도하고, 새로운 창작 주법을 통해 악기의 음향적인 사용을 극대화하는 한편, 전통음악적인 요소를 적절히 사용해 곡의 분위기와 잘 조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음악적인 요소와 현대음악의 조화, 새로운 음향을 추구하는 악기의 사용이 국악기를 이용한 작곡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해 보게 한다. 본 논문의 분석 내용이 국악기를 이용한 현대음악을 작곡하는 작곡가들과 이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is thesis analyzes ‘Memory of memories’ for haegeum and 25-string gayageum, composed by Park Yong-nan. The structure and melody of the music are analyzed in this paper to show how the composer’s intentions are presented and how the theme of the music is described. Also, the paper went through various techniques used in the music and for what reason they were used. Below are the conclusions. First, ‘Memory of memories’ describes the process of a memory being formed and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like A, B, C, D, E, Coda-A following the music flow. Composer first composed part D, which presents specific memory and moved on to the fist and latter half of the music extracting keys from part D. Haegeum was the main melody, playing out the story with melody that presents the memory and gayageum was mostly the sub melody. Fast and repetitive figure, that describes the stream of time, are placed in front of each part’s ending and takes a part of the story. Second, examining the melody of each part, A is composed of a and a’, and mostly has nonharmonic tones instead of specific keys. Haegeum and gayageum are efficiently used to imply the mood of the music, Haegum gives the motif melody, which implies the parts of the memory. The motif melody shown at A is reconstituted at B and new small parts are derived at this part, describing the memories running on a continual loop. Fm D♭7 code is partly shown in gayageum’s accompaniment and gives stability. C puts more importance on the sound rather than melody. The haegeum melody has shift from the lowest and the highest and the harmony of haegeum and gayageum is played in various ways. These shifts in treble and chords include structural change in music and difference between tone and the sound. The contrast of the tone and the sound describe uncertain and confused memory. D is constituted of e,f and g. It is the core melody of the piece ‘concrete memory.’ It also is the source of the melody motif from previous first and latter half. It is waltz style and consists of deformed rhythm of 5/4 and 6/4. The music composition is very clear. The composition repeats from B♭m, Fm, C7 and Fm. E is the climax and describes the impressions after recalling a specific memory. Gayageum shows constant rhythm and plays role of percussion instrument, whereas haegeum is played from the lowest key to the highest, giving the highest tension to the part. In Coda-A, part A is repeated again and makes a continuous structure. Haegeum is played slowly and presents ring melody and fades with the highest note. Then the music ends. Third, the change of sound and elements of sounds like sound effects take large part in the music as much as the melody and the notes. For this, haegeum is played with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glissando, double stops, tremolo, double-tone tremolo, double-tone tremolo glissando and gayageum with techniques bowls, nail tremolo, plucking strings glissando, string bow, glissando, tapping wooden part. is modern music that describes the theme with harmony of melody and the sound of instruments. The repetitive motif melodies give consistency of the music and adds concentration on the music by unexpected flow of the music using changes in various structures. The instruments are played with many techniques and instruments’ acoustic effects are maximized by using creative playing styles. Also, traditional music elements are used appropriately to harmonize the mood and traditional music elements. The harmony of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modern music, making creative sounds with the instruments show the possibility of new composition with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The paper aims to give help for composers of modern music with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nd musicians playing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