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북한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변화

Title
북한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the discourse on nation-first principles in North Korea
Authors
김보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2000~2019년 북한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변화를 고찰하여 ‘우리 민족제일주의,’ ‘조선민족제일주의,’ ‘김정일애국주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자 하였다. 북한 사회에서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새로운 통치담론으로 등장한 것은 2019년 김정은이 신년사에서 거론한 이후의 일이다.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북한당국이 이 담론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 김정일애국주의, 민족제일주의를 함께 분석하였다. 김정일애국주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관련 선행연구 6편을 검토한 결과, 김정일 시기의 담론인 민족제일주의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규명하려는 시도를 찾을 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김정은이 그 아버지 김정일의 민족제일주의를 어떻게 계승하여 변용해 왔는지 담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내용분석을 선택하였다. 시기에 따른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내용과 김정일애국주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내용과 비교하는데 있어 내용분석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는 「로동신문」 논설과 『민족문화유산』 사설을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대상 자료를 담론이 제시하는 ‘목표’ 및 ‘목표를 실천해야 하는 주체’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목표는 사회주의발전과 통일로, 목표를 실천하는 주체는 북한 인민과 “남조선” 주민도 포함한 한민족 전체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2003년 당시 북한당국은 사회주의발전을 목표로 하고 실천 주체를 북한 인민으로 설정한 조선민족제일주의 담론을 강조하였다. 경제난 이후 경제발전에 집중하기 위하여 민족제일주의 담론을 활용하여 인민을 동원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2004년 북한당국은 한국 정부 및 진보세력과 연합하여 반미전선을 형성하려는 의도로 우리 민족제일주의를 내세웠다. 2004년 민족제일주의 담론은 통일을 목표로 한 우리 민족제일주의 담론과 사회주의발전을 목표로 한 조선민족제일주의 담론으로 분화하였다. 실천 주체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우리 민족제일주의는 한민족, 조선민족제일주의는 북한 인민으로 각각 나타났다. 2005~2011년은 2004년에 나타났던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분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나 「로동신문」 기사 빈도는 낮아졌다. 이 시기는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영향력이 약화한 시기였다. 남북관계가 경색 국면에 들어가면서 북한당국이 우리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2012~2018년 민족제일주의 담론의 영향력은 더욱 약화하였다. 급기야 통치담론에서 문화 담론으로 담론의 범주가 축소하는 양상까지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는 민족제일주의 담론이 약화하면서 김정은 시기 새롭게 출현한 김정일애국주의와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조선민족제일주의 담론의 기능을 계승하였다는 점을 담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김정일애국주의와 우리 국가제일주의 역시 조선민족제일주의 담론처럼 사회주의발전을 목표로 제시하며 실천 주체는 북한 인민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통일을 목표로 말했던 우리 민족제일주의 담론은 2012년 이후 민족제일주의 담론 내에서 등장하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 양상은 김정일 당시와 달라진 김정은 정권의 통일 인식과 대외환경 및 남북 관계의 영향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2019년 북한당국이 제시한 우리 국가제일주의는 민족제일주의 담론과 비교해 보면 담론의 명칭만 바뀌었다고 할 정도로 내용과 논리 구조가 흡사하였다. 우리 국가제일주의는 민족제일주의를 흡수한 담론인 것이다. 김정은 정권이 우리 국가제일주의 명칭을 사용한 배경에는 김정은의 대외적인 업적을 내세워 개인숭배를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본 논문은 해석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nation-first principles discourse between 2000 and 2019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nation-first principles,”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Kim Jong-il Patriotism,” and “Our state-first principl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anted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of our state-first principles. It was after Kim Jong-un mentioned it in his New Year's address in 2019 that our-state first principles emerged as a new ruling discourse in North Korean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our state-first principles, this study analyzed together Kim Jong-il patriotism and nation-first principles, whic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mentioned was related to this discourse. There have been studies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Kim Jong-il patriotism and our state-first principles, but no attempt has been made to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with nation-first principles, a discourse of Kim Jong-il's er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 this study looked at how Kim Jong-un has inherited and transformed his father Kim Jong-il's the dicourse on nation-first principles. Content analysis was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It was judg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 on nation-first principles and compare it with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 on Kim Jong-il patriotism and our state-first principles. For the data subject to analysis, “Rodong Sinmun” and “National Cultural Heritage”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he data subject to analysi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aims’ and ‘agents who should implement the aims’ presented by the discourse. The aims of the nation-first principles discourse were socialist development and unification, and the agents who carried out the goal were classified as the ‘North Korean people’ and ‘Korean people’ including the North Korean people and South Korea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Between 2000 and 2003,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e discourse on the principles of Joseon nation-first, which aims to develop socialism and sets the agent of practice as the North Korean people. After the economic crisis, it seems to have used the nation-first discourse to mobilize the people to focus on economic development. In 2004,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united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rogressive forces to promote our nation-first principles as an attempt to form an anti-American front. In 2004, the nation-first principles were divided into our nation-first principles aimed at unification and the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aimed at socialist development. Between 2005 and 2011, the differentiation of nation-first discourse was maintained, but the frequency of articles in the Rodong Sinmun decreased. This was a time when the influence of nation-first discourse weaken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eed for discourse on our nation-first principles has decreased as inter-Korean relations are in a tight situation. The influence of nation-first principles discourse from 2012 to 2019 was weakened further, and eventually, the category of discourse was reduced from the discussion of governance to the discussion of cultu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at Kim Jong-il's patriotism and our state- first principles, which emerged during the Kim Jong-un era, inherited the functions of the discourse on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Kim Jong-il patriotism and our state-first principles were also suggesting socialist development as a goal, just like the discourse on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and the agent of practice was set as the North Korean people. The discourse on our nation-first principles, which was aimed at unification, has not been confirmed since 2012 within the discourse on nation-first. Such changes are seen as a result of the Kim Jong-un regime's different perception of unification and the influence of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Korean relations. The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 of our state-first principles propos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 2019 were similar to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Our state-first principles is a discourse that absorbed Joseon nation-first principles.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Kim Jong-un regime's use of the name of our state-first principles is aimed at strengthening individual worship by using Kim Jong-un's achiev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