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려가요 <가시리> 교육 방안 연구

Title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려가요 <가시리>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Goryeo Song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 Focused on Chinese Korean Advanced Learners
Authors
XU, SHIHA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려가요 <가시리>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환경 속에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진행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어 그것을 활용하여 보다 더 새롭고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가시리>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필요가 있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고전시가를 학습함으로써 고전시가 작품 속에 있는 다양한 어휘, 표현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내용 및 의미 등 어학적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자의 정서와 이미지를 나름의 방식으로 해독하고 자신의 경험과 연결하여 자신을 되돌아볼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네 가지 기능을 통합적으로 훈련할 수 있고 문화콘텐츠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낯설고 어렵다고 느꼈던 한국 고전시가 작품과 친숙해지고 보다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를 <가시리>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에서의 기초 자료 및 이론을 검토한 뒤,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노래와 영화를 선정하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Ⅰ장에서 먼저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대상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선행연구 검토 부분에서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 한국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전문학교육 연구 그리고 <가시리>의 현대적 변용과 대중화 양상 연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Ⅱ장은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현행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가시리> 교육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문학교육 특히 고전시가 교육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선 문화콘텐츠의 정의 및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어서 고전시가 교육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 및 의의 그리고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한국어교육에서 고전시가 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를 살피고, 고전시가 교육의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고전시가에 속한 고려가요 <가시리>의 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우선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시리> 교육이 한국어교육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시리>뿐만 아니라 다른 고전문학 작품이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따라서 한국에서 편집된 한국어 교재 내 수록된 고전시가 양상, 중국에서 편집하고 출판된 한국어 교재 내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가시리>를 포함한 고전시가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서의 <가시리>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육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세 부분으로 진행하였다. 첫째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 등 기본 정보에 관한 설문 조사이다. 둘째는 한국 고전시가 학습의 필요성 및 학습 수요 조사이다. 이를 통하여 고급 단계인 중국인 학습자들이 고전시가의 학습 경험을 알아보고 그들이 고전시가 교육에 대한 학습 요구를 확인하였다. 셋째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학습 경험과 학습 수요에 관한 조사이다. 이를 통하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콘텐츠를 선호하는지, 또한 그를 통하여 <가시리>의 무엇을 학습하고 싶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 부분에서 기존의 <가시리>의 음원콘텐츠, 영상콘텐츠, 공연예술 콘텐츠를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자료 분석 및 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전에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가시리> 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외부 시설 조건을 고려하여 문화콘텐츠인 노래, 영화를 선정하여 <가시리> 교육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행 본 연구는 기존 한국어교육에서 없었던 고려가요 <가시리>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을 실제적으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하여 그 직접적인 효과 및 효율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다소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에서 세밀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고려가요 <가시리>의 새로운 교육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며, 이러한 본 논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가시리>를 비롯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에 관하여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ethod for teaching Goryeo song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for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not only satisfies the diverse learning needs of learner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Chinese Korean learners at an advanced level is gradually increasing, but also develops a new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Gashiri’ by utiliz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newly emerging in the modern societ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The use of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not only allows Chinese Korean learners to learn more interestingly abou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they felt unfamiliar and difficult, but also understand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work, and furthermore, the emotions and social aspects of the speaker. It can also help you figure ou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train the four skills of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for Chinese learners. Therefore, in this study, basic materials and the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using cultural contents in ‘Gashiri’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Gashiri’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Furthermore, by conducting a survey of actual Chinese learners, the specific learning needs were sufficiently grasped. Based on this, songs and movies were selected, and the educational plan for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for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was specifically presented. In Chapter Ⅰ,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procedure for the subsequent thesi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poet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of classical vocational education using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the study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and popularization of ‘Gashiri’ were examined.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premise for ‘Gashiri’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was considered. In the curren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ducation of ‘Gashiri’,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cultural content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refore, first of all,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ultural contents were examined, and then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using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were examined. Furthermor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goals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Goryeo song ‘Gashiri’, which belongs to the classical poetry, was also reviewed. In Chapter Ⅲ, we first analyzed basic data for ‘Gashiri’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Since ‘Gashiri’ education was hardly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overall aspect of the collection of classical vocational works was reviewed in order to confirm how not only ‘Gashiri’ but other classical vocational works are handl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refore, the aspects of classical poetry contained in Korean textbooks edited in Korea, and the aspects of classical vocational works in Korean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in China were examined. In addition, since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cluding ‘Gashiri’, was not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examined the aspects of the recording of ‘Gashiri’ in the high school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 reflecting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ourse. Next, a questionnaire survey for ‘Gashiri’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was conducted and proceeded in three parts. The first is a survey on basic information such as Korean learning experiences of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The second is the study of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learning classical Korean poetry. Through this, advanced Chinese learners not only confirmed the learning status of classical poetry, but also confirmed the learning needs and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third is a surve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demand for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what kind of cultural content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prefer, and what they want to learn in ‘Gashiri’ through it. In the next part, the sound source content, video content, and performing arts content of the existing ‘Gashiri’ were considered. In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Chapter Ⅲ, we tried to find a method for teaching-learning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Before presenting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e goals and directions of ‘Gashiri’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conduct the ‘Gashiri’ education by selecting songs and movies, which are cultural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facility conditions of education in actual class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a concrete teaching model was presented. In this study, educational plans were prepared in the preparation stage - introduction stage - guidance and learning stage - expansion stage - finishing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in Goryeo song ‘Gashiri’, which did not exist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ctively sought new media to develop an educational plan using cultural content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at the educational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not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so that the direct effect could not be derived, and the efficiency of appreciation of ‘Gashiri’ using cultural contents could not be directly verified. can do. However, in that it has explored a new educational plan for the Goryeo song ‘Gashiri’, which was not carried out in detai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would lik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histor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diverse and in-depth discuss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using cultural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