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부부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부부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 of Female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on Marital Decision Making
Authors
김현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female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on marital decision making. The resources that female marriage migrants gain through employment can impact the marital relationship. However, prior research on marriage migrants focused less on the interaction between family and work, and discussion on the division of decision making and power has not been mad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gender negoti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is study aims to look at marital power through the martial decision making and focuses on how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status affects the negotiation patterns within the famil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have different effects based on different areas of decision making? Second, in what way does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affect who has more decision making power? Third, how does the pattern of negotiation on decision making change?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quantitative analysis,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used to estimate the impact of female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on decision making regarding child disciplining and education, purchase of expensive household goods, and support of female marriage migrants’ parents and sought to figure out the probability change of belonging in husband-dominant, co-determined, or wife-dominant group. To adjust for selection bias for employment status,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done. By using the matched sampl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employment. In terms of child disciplining and education, employment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being in the husband-dominant group. In terms of purchase of expensive household goods and support of female marriage migrants’ parents, employment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being in the wife-dominant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loyment has a different effect based on different areas of decision making. For qualitative analysis, a total of 9 interviewees were analyzed after an in-depth interview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 of decision making. To female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worked as an empowerment mechanism as it was helpful for career building,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being recognized and understood by family members. As a result, female marriage migrants were more active in engaging in negotiation on marital decision making. However, this empowering effect of employment did not mean that marriage migrants were to have more decision making power in all areas. In terms of decision making on children, marriage migrants still had to prove themselves in order to make decisions on children’s education. Although employment provided opportunities for women to get more information and get recognized by family members, they had to be examined in order to show their competence. However, providing nurture and parenting was still considered to be women’s job in both the husband and the female marriage migrant’s mindset. In terms of economic rights, employment allowed greater independence on purchase and more co-decisions. However, when it came to decision on the possession of wealth, such as buying a house, women were at very different places. Some were recognized as equally participating while others were completely ignored. In terms of providing support for one’s own family, female marriage migrants were strongly motivated to provide support. With the economic stability gained through employment, women were able to provide support even more and made their own decisions regarding it. Whilst the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female decision making power,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hampered the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he married couple. The factors are discrimination or protection of the spouses and the intervention of the in-laws. This research shows that while female marriage migrants’ employment can act as a positive resource, norms that regulate women and foreigners also impact decision making power.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both the personal resource and the social and family norms that affect multinational family’s decision making.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female marriage migrants who were often not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부부의 의사결정권 분배와 협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을 통해 얻는 자원은 부부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결혼이민자에 대한 담론은 노동과 가정의 상호작용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노동이 부부 권력, 부부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 바가 없어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동적인 의사결정권의 분배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다문화가족과 젠더 협상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위해 이 연구는 부부의 의사결정권을 통해 부부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자녀, 구매, 가족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권 분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려 한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부부의 의사결정 사안 별 상이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부부의 의사결정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후 배우자와의 의사결정권 협상은 어떤 양상을 띠는가?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분석에서는 2018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이 자녀 훈육 및 교육, 고가의 가정용품 구매,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님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권에서 남편주도형, 공동결정형, 아내주도형에 속할 확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취업에 대한 선택편향을 보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를 활용하여 결합표본을 만들었다. 그 후 결합표본으로 다항 로지스틱회귀를 실시하여 취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녀 훈육 및 양육에 대한 의사결정권에 대해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공동결정형과 아내주도형보다 남편주도형에 속할 확률을 증가시켰다. 고가의 가정용품 구매에 대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남편주도형보다 공동결정형에 속할 확률을 증가시켰고, 공동결정형보다 아내주도형에 속할 확률을 증가시켰다.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님 지원에 대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남편주도형보다는 공동결정형에 속할 확률을 증가시켰고, 공동결정형보다는 아내주도형에 속할 확률을 증가시켰다. 취업은 구매와 자신의 부모님 지원에 관련된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아내의 의사결정 권한을 향상한다. 하지만 취업은 자녀 교육에 대해서 남편의 의사결정 권한을 향상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은 의사결정 사안별로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질적 분석에서는 9명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여 취업이 의사결정권 분배와 협상의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혼이주여성에게 취업은 경력 구축, 본인의 자아 정체감 수립, 자녀와 배우자에게서 인정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동하였으며 이에 따라 취업 후 의사결정권 분배에 대한 협상을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취업이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아니다. 취업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은 더 많은 정보를 얻고, 가족에게 인정받을 수 있었지만, 이는 능력 평가의 일부였으며 자녀 교육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인정받아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자녀양육은 거의 전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일로 치부되었다. 이는 배우자와 결혼이주여성의 태도와 성 관념에 기반한 성 불평등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권에 관련되어서는 결혼이주여성이 독립적으로 구매 결정을 내리고, 신용 상품에 대한 공동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집과 같은 자산 구매에서는 공동 결정을 할 수 있었던 참여자와 여전히 결정에서 소외된 참여자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 가족에 대한 지원에 대한 동기는 강했으며 취업으로 경제적 안정감을 획득한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가족을 지원했다. 의사결정권 분배와 협상을 방해하는 요인은 시부모의 개입, 배우자의 차별 혹은 보호, 결혼이주여성의 성 역할 인식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취업이 구매력과 친정 가족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 분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이주여성의 역량에 대한 평가, 가족의 인식, 배우자와 본인의 성 규범이 의사결정권 협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렇기에 이 연구는 취업이 부부의 의사결정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동시에 가족 구조와 사회문화적 배경도 의사결정권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의사결정에 자원과 규범의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 연구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결혼이주여성을 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