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의 형상화 연구

Title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의 형상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haracter Psychology Appearing in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Formation Motive and Conflict
Authors
한정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혜란
Abstract
이 논문은 18세기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인물의 성격 형성 과정을 추론하고, 작품 속 인물과 갈등의 상호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완월회맹연> 인물들의 특성을 간과한 기존 논의들에 대한 보완적 차원에서 시도된 것이며, 인물 행위의 이면에 자리한 심리적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다는 반성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첫째,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인물들의 폭력적 행동 양상이 포착되고 있는데, 그러한 인물들의 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심리 기저에 놓인 문제점을 밝혀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완월회맹연>은 기존 국문 장편소설에서 보여주는 도식화된 유형 구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으며 인물들의 속성 또한 선악 개념으로는 명확히 나눠질 수 없는 지점들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한 인물이 지닌 내적 속성을 염두에 두는 가운데 그들의 행동 논리를 합리적으로 증명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완월회맹연>에는 인물의 심리적 정황이 섬세하게 확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사건 위주의 인물 관계만 파악하거나 위계적 질서에 따른 수직, 수평적 관계로만 인물을 분류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특히 <완월회맹연>의 인물들을 살펴보면 그들의 행동이 우연적이며 돌발적인 생애사와 관련돼 있고, 저마다의 개인적 내력을 지닌 인물들이 포진해있기에 이를 간과할 수 없었다. 그들에 대한 심리를 심도 있게 분석해야만 작품 속 그들이 벌이는 행동을 논리적으로 납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들이 타고난 개인적인 성향뿐 아니라 그들이 살면서 겪은 특정 경험이 곧 그 인물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완월회맹연> 인물들의 행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며 텍스트 속 갈등의 속성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긴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Ⅱ장에서는 인물 심리 분석에 필요한 예비적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인물 분석에 필요한 심리학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진단해보고, 구체적인 방법론의 마련을 위해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논문에서 다룰 주요 용어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작품의 주요 갈등구조를 제시한 후 조선후기의 특수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한 인물 유형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작품 속 인물들의 속성을 타진하여 ‘자아’와 ‘이념’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순응적 자아의 이념 추수형, 의지적 자아와 이념의 융합형, 충동적 자아와 이념의 대립형, 본능적 자아의 욕구 충족형 등의 네 가지로 나눠 주요 인물들을 배치하였다. ‘순응적 자아의 이념 추수형’은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규범을 중시하는 가운데 그러한 틀 안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적절히 규제하거나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의지적 자아와 이념의 융합형’은 평소에는 규범에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특정상황에 처하게 되면서 자신의 내면에 감춰져 있던 강인한 의지를 구체적인 행동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충동적 자아와 이념의 대립형’은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을 통해 당대 이데올로기에 다소 대항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행위를 충동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었다. ‘본능적 자아의 욕구 충족형’은 본능적 욕구를 채우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며 지켜야 할 도리와 이념은 무시한 채 오직 자신의 마음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네 유형의 인물들 가운데 심리적 경험에 노출된 인물을 중심으로 그 성격에 따른 갈등 양상을 분석했다. ‘한 인물이 내적으로 겪는 갈등’ 양상은 장성완, 주성염, 정인광의 세 인물을 중심으로 살폈다. 그 결과, 장성완은 윤리적 성향이 지나친 성격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효와 남편에 대한 열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심각한 내적 번민의 과정을 보여주었으며 그 귀결은 자신의 신체를 훼손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주성염은 출생의 비밀이 여러 번 뒤집히는 과정에서 얻은 심리적 충격을 지나치게 억제하려는 성격이 감지되었다. 그녀는 이러한 성격에 따라 가문정체성 갈등을 겪게 되었고 신체적 병증을 동반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정인광은 강직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효와 아내에 대한 애정 사이에서 심각한 내적 갈등을 겪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곧 아내에 대한 폭력성의 발현으로 귀결되었다. 다음으로 ‘인물 간의 관계 속에서 겪는 갈등’ 양상은 소교완, 장헌, 정인중, 여부인의 네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먼저 소교완은 폭력적 성격을 지닌 여성인물로 며느리 이자염과의 관계에서 고부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었다. 장헌은 사위 정인광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인데, 자신의 기회주의적 성격 때문에 사위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또 주위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정인중은 반윤리적 성격 때문에 형 정인성과 동생 정인웅 사이에서 끊임없는 형제갈등을 일으켜 작품 속 문제적 인물로 주목받았다. 끝으로 교한필의 처 여부인은 강박적 성격을 지닌 인물로, 후처 호부인과의 갈등 상황에서 다소 폭력적이고 반인륜적인 행태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해당 인물들의 성격에 따른 갈등의 제 양상을 당사자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Ⅲ장에 제시한 인물들이 보인 행동의 원인 규명은 Ⅳ장에서 그들의 성격 형성의 기저에 놓인 심리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보다 면밀하게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갈등 상황에 놓인 인물의 성격 형성의 동인이 되는 심리적 경험과 그에 따른 대응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각 인물이 겪은 트라우마와 콤플렉스,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심리적 경험’이란 용어로 통칭하여 포괄적으로 사용했다. 그러한 심리적 경험에 대한 방어기제의 마련은 해당 인물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음을 살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인물들은 저마다의 성장과정에서 트라우마나 콤플렉스, 다양한 심리적 문제 상황을 겪었다는 공통점이 포착되었다. 이러한 인물들의 심리적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들의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인물 내적 갈등의 심리적 동인’과 ‘인물 간 갈등의 심리적 동인’으로 나누어 그 과정을 추론하였다. 먼저 ‘인물 내적 갈등의 심리적 동인’을 살펴보면, 장성완은 당대 규범적 질서에서 일탈하는 몰지각한 부모를 둔 트라우마로 인해 성장하는 동안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았으며, 그 반작용의 일환으로 연부인에 대한 동일시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작동되면서 윤리과잉적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겠다. 주성염은 출생의 비밀이 여러 차례 번복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내적 갈등을 다스리기 위해 현실에서 비롯된 정신적 스트레스를 의식적으로 과도하게 지우려고 하나 이는 오히려 과잉억제적인 성격을 형성하게끔 하여 그녀의 내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정인광은 부도덕한 장인에 대한 혐오의 감정에 더해, 아내를 향한 애정에 대한 반동형성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무의식중에 발현되면서 그의 강폭한 성격의 형성 동인으로 작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물 간 갈등의 심리적 동인’을 살펴보면, 먼저 소교완이 폭력적 성격을 형성하게 된 근본적 동인은 억압과 자기애의 극단적 심리에서 찾을 수 있었다. 즉 그녀는 성장과정에서 착한 딸이 되어야만 한다는 심적 스트레스와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억압적 상황을 겪었으며, 이후 후처라는 지위에서 오는 불안감, 시댁 식구들로부터 받은 소외감, 같은 여성으로서 며느리에게 갖는 질투심 등의 복합적인 심리적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었는데,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본 결과, 이데올로기의 심리적 억압과 자기애의 극단적인 모습이 자기를 능가하는 아랫사람을 향한 폭력성으로 발현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장헌은 갓 태어난 직후 일찍 세상을 떠난 부모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모성애 결핍과 초자아 형성의 실패라는 정신적 외상을 겪게 되었고, 병적 동일시의 심리적 방어기제가 무의식중 발현되면서 기회주의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정인중은 뿌리 깊은 열등의식과 부친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아들 콤플렉스의 심리적 경험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결함을 안에서 발견하기보다는 외부로 돌리는 투사의 심리적 방어기제를 보였으며 이는 그로 하여금 반윤리적 성격을 배태하게끔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부인의 경우는 후처의 영입에 따른 본처 콤플렉스와 편애에 대한 질투심이 곧 그녀의 강박적 성격을 형성하게 된 동인으로 작용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 형상화 연구가 갖는 의미를 추출하고 그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 연구가 갖는 의미는 인물의 심리적 경험과 밀접한 내적동기의 파악을 통해 작품 속 인물들의 행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곧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다소 동떨어진 인물들의 행동 논리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작가의 인물 설정 전략이 행위의 일면만 두고 평가하기보다는 한 인물의 심리 기저에 놓인 마음 상태를 분석해낼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로, 선인과 악인, 남성과 여성을 불문하고 폭력 성향이 강한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억압을 드러내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세 이념이 와해되는 지점을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포착할 수 있었다. 셋째로, 인간의 본성에 중점을 둔 인물형을 긍정하는 작가의 시각을 통해 <완월회맹연>은 인간 내면에 대한 작가의 섬세하고도 예리한 통찰력이 구현되고 있는 작품임을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 소설사의 큰 흐름 속에서 <완월회맹연>이 갖는 의의를 짚어보았다. 18세기에 이르러서 국문 장편소설은 인간의 내면에 대한 접근을 심화한 작품군과 통속적 흥미 위주를 본위로 하는 작품들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완월회맹연>은 이 중 전자에 해당된다고 보았다. 아울러 소설사의 흐름상 18세기부터 시작된 중세 이념의 균열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인간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 단계에 이 <완월회맹연>이란 작품이 놓일 수 있었다. 곧 18세기에 이념성이 약화되는 경향과 맞물려 <완월회맹연>의 작가는 이념적 균열의 조짐을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조심스럽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er the process of personality formation in the 18th century Korean novel, "Wanwolhoemaengyeon", and to in‐depth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conflict in the work. This study was attempted in a complementary dimension to existing discussions that overlook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 and we started with the following problem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ng that we had failed to cope with the psychological problems behind the character behavior in depth. First, the violent behavior of characters that do not fit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work is being captured, and the point is that the problems underlying the psychology that influence the behavior of such characters should be revealed. Second, is somewhat deviated from the schematic type division shown in the existing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has points where the properties of characters cannot be clearly divided by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Thus, they must reasonably prove their behavioral logic while keeping in mind the inner properties of a character. Third, despite the delicate expansion of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context in , in the existing research,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oriented characters was grasped, or characters were classifi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so a reexamination was required.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characters of , their actions are related to accidental and unexpected life events, and since there are characters with their own personal history, it could not be overlooked. This is because, only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ir psychology, they can be logically convinced of their actions in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not only their innate personal disposition, but also the specific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during their live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This research is a way to logically explain the behavior of character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perly grasping the nature of the conflict in the text. In Chapter II, a preliminary review process required for character psych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sychological theory necessary for character analysis, and prepare a specific methodology, related theories were reviewed and the concepts of key terms to be coped with in the study were summarized.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the main conflict structure of the work, criteria for classifying character types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periodic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properti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focusing on the keywords ‘self’ and ‘ideology’, the main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the ideological harvest type of the adaptive self, the fusion type of the volitional self and the ideology, the confrontation type between the impulsive self and the ideology, and the satisfying type of needs of the instinctive self. ‘The ideological harvest type of the adaptive self’ emphasiz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norms, and in such a framework, it showed how to properly regulate or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 ‘fusion type of the volitional self and the ideology’ usually followed the norm, but when it was in a certain situation, it was revealing its strong will that was hidden inside itself in concrete behavior patterns. The ‘confrontation type between the impulsive self and the ideology’ showed a somewhat contradictory figure to the ideology of the day through behaviors contrary to the norm, and was impulsively leading one's actions. The ‘satisfying type of needs of the instinctive self’ had a strong tendency to satisfy instinctive needs, and showed that it did what it wanted, ignoring the principles and ideologies to be kept. In Chapter III, among the four types of characters presented earlier, the conflict aspect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haracter exposed to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e aspect of 'the conflict that one character experiences internally' was focused on the three characters including Jang Seong‐wan, Ju Seong‐yeom, and Jeong In‐gwang. As a result, Jang Seong‐wan showed a process of serious inner anguish between her filial piety toward her parents and her virtuous ideology toward her husband, due to her overly ethical nature. The result appeared in the direction of damaging her own body. The personality in Ju Seong‐yeom was perceived to be excessively trying to suppress the psychological shocks obtained in the process of overturning the secret of her birth several times. She suffered a family identity conflict according to this personality, resulting in her accompanying physical symptoms of diseases. Jeong In‐gwang suffered a serious internal conflict between his filial piety for his parents and his affection for his wife because of his upright and violent personality, and this conflict soon resulted in an outbreak of violence against his wife. Next, the aspect of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four characters such as So Gyo‐wan, Jang Heon, Jeong In‐jung, and Yeo Bu‐in. First, So Gyo‐wan is a female character with a violent personality, showing the seriousness of the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in‐law, Lee Ja‐yeom. Jang Heon is a character that causes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son‐in‐law Jeong In‐gwang, and because of her own opportunistic personality, she was not recognized by her son‐in‐law and was turned away from the people around her. Owing to his anti‐ethical nature, Jeong In‐jung caused constant sibling conflicts between his older brother, Jeong In‐seong and his younger brother Jeong In‐ung, drawing attention as a problematic character in the work. Lastly, Gyo Han‐pil's wife, Yeo Bu‐in, is a character with an obsessive personality, showing a rather violent and anti‐human behavior in the context of a conflict with the second wife, Ho‐bu‐in. As described above,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ersonality were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ersons concerned.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of the behaviors of the characters presented in Chapter III was conducted more closely in Chapter IV while analyz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underlying their personality formation. In Chapter IV,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is the motive for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in a conflict situation and the corresponding response process were analyzed in detail. For the convenience of discussion, the trauma, complexes, and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each character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term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used comprehensively. It could be seen that the provision of defense mechanisms against such psychological experiences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The characters covered in this study have in common that they suffered from trauma, complexes, and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ir own growth process. In terms of how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se characters formed their personality, the process was inferred by dividing into ‘psychological motive of internal character conflict’ and ‘psychological motive of intercharacter conflict’. Above all,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motive of character’s inner conflict’, Jang Seong‐wan was mentally shocked while growing up due to the trauma of having insensitive parents who deviated from the normative order of the day, and as part of the re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identification with Yeo Bu‐in was activat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over‐ethical personality. Ju Seong‐yeom experienced self‐identity confusion as the secrets of her birth were overturned several times. She tries to consciously and excessively erase the mental stress arising from her reality in order to manage her own inner conflict, but this, on the contrary, led to the formation of an overly restrained personality, resulting in intensifying her inner conflict. As for Jeong In‐gwang, in addition to his feelings of hatred toward his immoral father‐in‐law,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reaction against affection toward his wife was unconsciously manifested and acted as a motive for the formation of his intense and violent personality. Next,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motive of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first, the fundamental motive behind So Gyo‐wan's violent personality was found in the extreme psychology of repression and narcissism.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her growth, she suffered the emotional stress of having to become a good daughter and the oppressive situation of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she was later faced with complex psychological problems, including anxiety from her position as the second wife, the alienation she received from her in‐laws, and the jealousy she had with her daughter‐in‐law as the same woman. From a comprehensive review of all this, it could be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repression of her ideology and the extremes of narcissism were manifesting as violence towards her underlings, who surpassed herself. As Jang Heon separated from her parents, who passed away early shortly after her birth, it could be inferred that she suffered a traumatic trauma of a lack of maternal love and a failure to form a superego, and that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pathological identification emerged unconsciously and formed an opportunistic personality. Jeong In‐jung can be seen as a character with his deep‐rooted sense of inferiority 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complex of a son, who was not recognized by his father. It could be confirmed he showed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a fighter who turned his own flaws outward rather than discovering them inside, and that this functioned to make him act to embody an anti‐ethical personality. Finally, in the case of Yeo Bu‐in, it could be deduced that the wedded wife complex and the jealousy of favoritism following the recruitment of the second wife acted as the motive behind her to form her obsessive personality. In Chapter V, the meaning of the study of characters’ psychological formation appearing in was extract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novel history was examined. First,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grasp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character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closely,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were able to be understood and empathized in depth. In that it was abl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behavioral logic of the characters, which was somewhat far from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work, the author’s character setting strateg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e of mind underlying the psychology of one character rather than evaluating that it was designed in only one aspect of the action. Second, in that it tried to reveal the suppression of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formation of characters with strong tendency to violence regardless of the good and the bad, men and women, the point where medieval ideology is broken could be captured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ird, it can be revealed through the author’s view of affirming the character type, which focuses on human nature, that is a work in which the artist's delicate and keen insight into the human inner world is embodied. Lastly, this study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in the big flow of our novel history. In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tended to be differentiated into a group of works with a deeper approach to the human inner world and works centered on popular interest, and wa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former. In addition, in the flow of the novel history, this work, could be placed in the stage between the crack in medieval ideology started from the 18th century and the ignition of change in earnest in the perception of human nature based on the crack. In line with the tendency of ideology to weaken in the 18th century, the author of carefully shows signs of ideological crack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