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청소년기 도덕지능[MQ]의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

Title
청소년기 도덕지능[MQ]의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
Other Titles
A Study on Pastoral Care for the Recovery of Moral Intelligence [MQ] in Adolescence :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Authors
신희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정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evelopment and deficiency of moral intelligence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an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iscussing the recovery of moral intelligence in adolescence. Based on this, pastoral counseling functions as an initial role to help restore moral intelligence during adolescence by forming new attachment relationships. In general, discussions on morality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field of cognitive development‐educational psychology. However, in relation to an individual living a moral life, there is a limit to considering only the perspectives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education. The level of moral life does not naturally increase with age. Sinc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every moment,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only be a one‐off educ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moral intelligence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 view to cope with moral characteristics more broadly. Mor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make moral thinking and choices based on the inner world of an individual, and it is formed through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is unconsciously internalized from others important. Thus, moral intelligence can be restored and developed at any time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an individual has, and enables sustainability of a subjective and creative moral life. The reas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adolescence exposed to moral crisis more than any other period is that adolescence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at it has to experienc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self‐centered thinking. This is that while thinking that 'everyone is paying attention only to themselves', they have a special feeling to themselves, and have superiority. The narcissistic and excessive self‐centeredness of adolescents acts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interdependence of moral intelligence.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having the task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As adolescents form and develop a sense of self‐identity, they come to create life as the subject of life and trust themselves. This is connected with expanding their moral life by making their own moral choices and action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is an expectation toward adolescents. Above all, expectations such as excellent grades in home‐school‐society and advancement to prestigious universities cause overheated competition and hinder the development of moral intelligence. The fourth characteristic is to face various obstacles that hinder development.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and adolescent problems such as smoking, alcohol, antisocial behavior, and delinquency occur. These adolescent problems further hinder the development of moral intelligence. In that moral intelligence reflects the unconscious aspect of human psychology and originates from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basis for this was sought in psychoanalysis tha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onscious mental process and external objects. Psychoanalysis has made continuous progress since Freud's classical drive psychology. These are classical drive psychology, ego psychology,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 psychotherapy, which the researcher examined and described the development and deficiency of moral intelligence from these four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alyzing moral intelligence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helps us understand the attachment to the primary caregiver, which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moral intelligence. In addition, it serves as the basis for pastoral counseling therapy to restore moral intelligence during adolescence. Pastoral counseling is based on interrelationships, and that interrelationship implies the concepts of love and empathy. As such, pastoral counsel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moral intelligence in adolescence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attachment relationship coped with in psychoanalysis. In particular, in pastoral counseling, spiritually integrated psychotherapy suggests systematic therapeutic intervention by reshaping the attachment relationship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God. This reveals that pastoral counsel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moral intelligence.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t the same time introducing the concept of moral intelligence tha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Korea, this is an interdisciplinary study that includes psychoanalysis, moral psych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reflecting the contact points of these three disciplines is insufficient,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discussion in each field in that it proposed a pastoral counseling therapy for moral intelligence recovery based on psychoanalysis.;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지능의 발달과 결핍에 대해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데 있으며, 이것은 청소년기 도덕지능의 회복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목회상담은 새로운 애착 관계를 형성하게 하여 청소년기 도덕지능의 회복을 돕는 단초적 역할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도덕에 관한 논의는 인지발달·교육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한 개인이 도덕적 삶을 살아가는 것에 인지발달과 교육적 측면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도덕적 삶은 연령에 따라 자연스레 그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며, 교육 환경을 매 순간 제공하기 어렵기에 단발성 교육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도덕지능의 개념은 도덕의 특질을 보다 광범위하게 다룰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도덕지능은 개인의 심리내면 세계를 기반으로 도덕적 사고와 선택을 하는 능력으로,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무의식적으로 내재화되는 심리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한 개인이 맺는 긍정적인 관계 경험을 통해 도덕지능은 어느 시기라도 회복되고 발달될 수 있으며,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도덕적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어떤 시기보다 도덕적 위기에 노출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청소년기에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고유한 특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특징은 자아중심적 사고이다. 이는 모든 사람이 자신만을 주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특별한 느낌을 가지며 우월성을 갖는 것이다. 청소년이 가지는 자아도취적이고 지나친 자기중심성은 도덕지능의 상호의존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두 번째 특징은 자아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발달시킴에 따라 삶의 주체로써 인생을 창조하며 스스로를 신뢰하게 된다. 이는 스스로 도덕적 선택과 행동을 함으로써 도덕적 삶을 확장하는 것과 연결된다. 세 번째 특징은 청소년에게 향한 기대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가정·학교·사회에서 우수한 성적, 명문대 진학 등과 같은 기대는 과열된 경쟁을 야기하고 도덕지능의 발달을 저해한다. 네 번째 특징은 발달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에 직면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우울, 불안, 분노 등의 정신건강 문제와 흡연, 음주, 반사회적 행동 등의 비행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제로 인해 도덕지능의 발달은 더욱 저해 받는다. 따라서 청소년기는 도덕지능 발달에 가장 저해 받는 시기이자 회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청소년기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전개한다. 도덕지능이 인간 심리의 무의식적 측면을 반영한다는 점과 타인과의 관계성으로부터 기인한다는 점에 있어서, 무의식적 정신과정과 외부 대상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 정신분석학에서 그 근거를 모색하였다.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의 고전정신분석 이래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는 고전정신분석,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으로, 본 연구자는 이 네 심리학의 관점에서 도덕지능의 발달과 결핍에 대해 살펴보고 묘사하였다.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도덕지능을 분석하는 것은 도덕지능 발달에 결정적인 요소인 주양육자와의 애착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더하여 청소년기 도덕지능을 회복시키는 목회상담적 치료를 위한 기초적인 토대로 기능한다. 목회상담은 상호관계성에 기반해 있으며, 그 상호관계성은 사랑과 공감의 개념을 내포한다. 이렇듯 목회상담은 정신분석에서 다루는 애착관계와 맞닿아 있기에 청소년기 도덕지능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역할로 기능한다. 특별히 목회상담에서 영성통합치료는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애착관계를 재형성하게 하여 체계적인 치료적 개입을 제시해준다. 이렇듯 목회상담은 도덕지능을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로 위치함을 밝히는 바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한 도덕지능의 개념을 소개한 동시에, 정신분석학과 도덕심리학 그리고 목회상담학을 포괄한 학제 간 연구라는 점이다. 세 학문의 접점을 반영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을 기반으로 도덕지능 회복을 위한 목회상담적 치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있어, 각 분야에서의 논의를 확장시키는 데 공헌한 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