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사무엘하 7장 다윗계약에 대한 편집사적 연구

Title
사무엘하 7장 다윗계약에 대한 편집사적 연구
Other Titles
A Redactional Study on the Davidic Covenant in 2 Samuel 7
Authors
이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윤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Davidic Covenant in 2 Samuel 7:1-17 has evolved from a conditional covenant to an unconditional one. In general, the Davidic Covenant is known as an unconditional covenant in contrast to the conditional Mosaic Covenant. There is yet an unsolved question that the Davidic Covenant has a conditional phrase of "if you commit a sin.” The final theological message of the Davidic Covenant would depend on how to interpret the conditional expression. Until now, the study of the conditional phrase in the Davidic Covenant has been dominated by the view that the Deuteronomist added it to provide the reason for Judah's Babylonian captivity. Yet, only if the Davidic Covenant is understood simply from the perspective of Judah's destruction and the following Babylonian captivity, there is no chance to explain the future hope for restoration proposed by the Deuteronomist. Therefore,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at the final form of the Davidic Covenant was completed by the Deuteronomist who was living in the Babylonian region inserted the unconditional verses. For this study, the redactional layers of 2Samuel 7:1-17 will be divided at first. The text consists of three layers: the Pre-deuteronomistic Layer of Oracles, the Early Deuteronomistic Layer, and the Post-exilic Deuteronomistic Layer, each of which was redacted in a different period. First, the Pre-deuteronomistic Layer of oracles is verses 1a, 2-3, 11b, 14b, and 17. It was written in the period from the ninth to early eighth centuries BCE. Verse 14b implies a conditional tone. Second, the Early Deuteronomistic Layer were verses 1b, 4-7, 11a, 14a, and 15, and its dating was in the late seventh century BCE. This layer was the first edition of the Deuteronomist of which language reflects the deuteronomistic editorial hand. The promise to the Davidic dynasty is a transitional stage in the progression from conditional to unconditional. Third, the Post-exilic Deuteronomistic Layer consists of verses 8-10, 12-13, and 16, and was recorded from the late Babylonian exile to the early Persian period. The post-exilic Deuteronomist reminded the captives of the promises given to David. At this time, the word 'forever' (~l'(A[-d[]];, ad-olam) was used three times, expressing the unconditional promise to the Davidic dynasty more prominently than the Early Deuteronomistic Layer. In this way, the Davidic Covenant evolved from an initially conditional covenant to an unconditional covenant as it passed through exile. This view corresponds to the current position that the Davidic Covenant in the final text is a contract that has a strong unconditional character. At the same time, it gives room to read the text from a more hopeful perspective.;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엘하 7장 1-17절의 다윗계약이 조건성을 가진 계약에서 무조건성을 가진 계약으로 발전하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윗계약은 조건 계약의 시내산 계약과 대비되어 무조건 계약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조건 계약인 다윗계약 안에도 ‘그가 만약 죄를 범하면’이라는 조건성의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다윗계약 안에 있는 단 한 절의 조건성의 구절을 해석하는 방향에 따라 최종 본문의 신학적 메시지가 달라질 것이다. 지금까지 다윗계약 안에 있는 조건적 구절에 대한 연구는 신명기 사가들이 포로기를 거치면서 유다의 포로 된 이유를 알리기 위해서 추가한 것이라고 보는 입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다윗계약의 조건절을 유다의 멸망과 백성들의 바벨론 포로 된 이유로만 보는 것은 신명기 사가들이 그리려는 회복과 희망의 미래를 바라보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윗계약의 최종 형태가 신명기 사가들에 의해 바벨론 지역에서 무조건성을 가진 구절들을 삽입하여 현재의 본문으로 완성되었음을 밝히고 이에 따른 본문의 신학적 메시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무엘하 7장 1-17절의 편집층에 따라 구조를 나누는 일이 선행되었다. 본문은 총 3부 구조인 초기 예언층, 전기 신명기 사가의 층, 최종 편집층(후기 신명기 사가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다른 시대적 배경에서 기록되었다. 첫째, 초기 예언층은 1a, 2-3, 11b, 14b, 17절이다. 기원전 9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을 배경으로 저작되었으며 조건성을 나타내는 14b절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전기 신명기 사가의 층은 1b, 4-7, 11a, 14a, 15절로, 저작 연대를 기원전 7세기 후반으로 보았다. 이 층은 신명기 사가의 첫 번째 손길이 가해진 층으로 신명기적 사상이 들어간 언어들이 나타나며 다윗 왕조에 대한 약속이 조건성에서 무조건성으로 발전해가는 과도기적인 단계에 해당한다. 셋째, 최종 편집층(후기 신명기 사가의 층)은 8-10, 12-13, 16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로 후기에서 페르시아 초기 시대를 배경으로 기록되었다. 이 시기의 신명기 사가들은 바벨론에 있는 포로민에게 다시 한 번 더 다윗에게 주어진 약속을 상기시켰다. 이때, ‘영원히’ (~l'(A[-d[]];, 아드-올람)라는 단어를 3번이나 사용하면서 전기 신명기 사가의 층보다 다윗 왕조에 대한 무조건적인 약속을 두드러지게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다윗계약은 초기엔 조건성을 가진 계약이었고, 포로기를 거치면서 무조건성을 지난 계약으로 발전하였다. 이 관점은 최종 본문의 다윗계약이 무조건적인 특징을 강하게 가지는 계약이라는 기존의 입장에 부합한다. 또 동시에 조건성 구절을 후대에 추가했다는 주장보다 본문을 더 희망적인 관점에서 읽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