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반복 읽기를 활용한 사실적 읽기 교육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반복 읽기를 활용한 사실적 읽기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teral Reading Education Through Repeated Reading -Focusing on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Authors
YE, YUQIAO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실적 독해력 향상을 위한 반복 읽기 활용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반복 읽기 중에서도 들으며 읽는 청묵독(Silent reading while listening, 聽默讀)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사실적 읽기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독해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표면적으로 소리내어 읽기를 유창하게 하더라도 그 의미를 파악하는 실질적인 독해에 있어서는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된다. 읽기에서는 글을 정확하고 유창하게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에 포함되어 있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단순히 읽기뿐만 아니라 심층적인 독해력까지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해력을 향상시킨다고 할 때 읽기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존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읽기 전략을 활용해서 독해력을 신장시키는 연구는 그 한계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보다 더 효과적인 읽기 전략 지도 방안이 필요한데, 기존 L2 교육에서 반복 읽기가 독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실험 결과를 통해 그 효과성에 대해서만 밝혔을 뿐 반복 읽기를 수행한 학습자의 구체적인 읽기 수행 변화 양상을 살펴보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반복 읽기의 수행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독해력을 향상할 수 있는 사실적 읽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L2 읽기 교육에서 반복 읽기에 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사실적 읽기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반복 읽기의 개념, 유형 및 특징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에서 반복 읽기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사실적 읽기의 개념 및 하위 유형을 검토하고 한국어교육에서의 사실적 읽기 교육 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한국어 읽기 교육에 초점을 두어 반복 읽기를 통한 사실적 읽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반복 읽기를 사용한 학습자의 사실적 읽기 양상을 중점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12명의 반복 읽기의 과정을 관찰하였고 학습자들의 사실적 읽기 양상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녹음을 들으면서 묵독하고, 한 차례의 읽기를 끝날 때마다 중심 내용을 요약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총 세 차례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작성한 요약하기 결과물을 바탕으로 사후 인터뷰를 하였다. 모든 자료를 수집한 후, 먼저 횟수별에 따른 학습자의 사실적 읽기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양상에 미치는 요인도 도출하였다. 이는 첫 번째 읽기에서 학습자가 듣기[聽(청)]에 더 많이 의존하여 글을 따라 읽는 것이고, 두 번째 읽기에서는 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읽기[讀(독)]에 더 의존하며 청(聽)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글을 목표 지향성 있게 읽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읽기에서는 청(聽)을 거의 활용하지 않으며 독(讀)에 집중하였다. 그 다음 전반적인 반복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읽기 특성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읽기 횟수의 증가와 함께 듣기의 활용도가 점차 감소되며 읽기 방식도 이로 인해 변화되었다. 또한 독해력은 읽기 횟수 증가에 따라 점차 향상되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어 고유어의 이해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과 읽기 흥미도가 점차 낮아졌다는 문제점도 확인되었다. 이러한결과는 교육 방안을 작성하는 데 큰 시사점을 준다. Ⅳ장에서는 읽기 전・중・후 단계에 따른 반복 읽기 활용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 반복 읽기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과제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KWL 읽기 전략과 결합하여 교육 방안을 더 구체화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전반적으로 요약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힘과 동시에 아쉬운 점을 제기하여 논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반복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읽기 양상 및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사실적 독해력을 향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실제적인 교수・학습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추후 더 많은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using repeated reading to improve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Therefore, among repeated reading, focused on Silent reading while listening (청묵독, 聽默讀) to examine the learner's literal reading patterns, and based on that, an teaching method used in korean education is prepared.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to improv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hile in fact that foreign language learners encounter many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despite being able to read. While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be able to read the text accurately and fluently,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notation conveyed by the text. From this perspective, foreign language learners should not only be able to read, but also master the ability to read for comprehension. When it comes to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using reading strategies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way. However, at this stage of Korean reading education, there is a lack of relevant research on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so there is a need to explore mor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to guide learners. Repeated reading, which has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By analyzing the relevant studies on repeated reading,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exploring whether repeated reading is effective, while there is no indepth study on what changes will happen to learners who practice repeated read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refore, this thesis will analyze the various pattern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repeated reading, and take this as a sentence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the related researches on repeated reading in second language reading education and the researches on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o ensure the necessity of the thesis. Then in ChapterⅡ, the necessity for repeate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mphasized by sorting out the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peated reading. In addition, the concept and subordinate types of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are reviewe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alyzed. In this part, the author puts emphasis on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the facts of repeated reading. The ChapterⅢ, on the other hand, focused on experimentally confirming the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patterns of learners who use repeated reading. To this end, 12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were observed in the process of repeated reading in the experiment, and how their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patterns changed was analyzed. In the experiment, the learner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audio recordings while reading, and to summarize the central content of the text at the end of each round of reading. A total of three rounds of reading were conducted. After the three rounds of reading, the learners were interviewed afterwards about their summaries. After all the data were collected, it firstly analyzed how the learners'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patterns changed at each stage, and then deduc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s in these style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first reading the learners relied more on listening to read, while in the second reading the learners focused more on reading and only listened selectively because they already had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in this stage, it can be found that learners are directed to read. Meanwhile, in the third reading, the learner have hardly done any listening, but only focuses on reading. Then, the read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at emerged for learners during the overall repeated reading process were compiled. During repeated reading, the learners' reliance on listening decreased with the increse of reading times, as a result, the reading style changed. In addition, th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d gradually as the number of readings increased. However, during this process, learners encounter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inherent words and their interest in reading gradually decreased. These read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eading also provide a lot of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ChapterⅣ, it is shown how the content of repeated reading is constituted in each of the pre and post-reading stages, and relevant reading activities are interspersed in each stage in order to maximize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ed reading. In addition, a more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is shown by combining it with KWL reading strategies. In the last chapter,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study is provided. Not on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revealed, but also presents the shortcomings of the experiment and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literal reading comprehension by elucidating the reading modalities and problems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use repeated read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actual teaching environment and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