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7 Download: 0

태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확장 의미 이해교육 방안 연구

Title
태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확장 의미 이해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Understanding on Extended Meaning of Color Express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Thai Korean Learners
Authors
KAEWMANEE, PODJANEE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색채표현의 확장 의미 이해를 신장시키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태 색채표현의 특징과 의미 확장 양상을 살피고, 태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색채표현의 확장 의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고려한 한국어 색채표현의 확장 의미 이해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색채는 우리 일상생활에 가장 기본적인 인식 중 하나의 영역이다. 그러나 학습자가살아온 시대와 지역, 국가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개인적인 경험과 배경 지식에 따라 색채에 대한 인식, 혹은 색채에 대한 느낌과 연상이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개인적 인지는 상호 간에 영향 관계를 가지며, 색채표현에서도 이러한 모습이 나타난다. 이는 서로 다른 언어·문화를 가질 경우 색채표현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한자 문화권에 속하지 않은 태국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색채표현을 학습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눈을 통해 인지하는 ‘색채’ 그 자체를 뜻하는 ‘기본 의미’보다는 ‘색채’ 또는 특정 색채를 가지는 대상물에 대한 사상으로 개념화되는 의미, 즉 ‘확장의미’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색채표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이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색채표현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고려하지 않으며, 대체로 문법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고려한 색채표현확장의미 이해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태국인 중·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색채표현과 색채표현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색채표현의 확장 의미 교육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습자가 한국어 수업 외에서 색채표현의 확장 의미를 습득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색채표현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중·고급 학습자는 모두 모국어에 기울이며 확장 의미를 인식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중급 학습자가 고급 학습자보다 한국어 및 한국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확장 의미를 파악할 때 다른 배경 지식을 활성화해서 인식하는 양상이 특징적이다. 반면 고급 학습자는 뛰어난 언어능력을 이용해서 주어진 상황·문맥을 잘 활용해서 확장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양상을 바탕으로 Ⅳ장에서 태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확장의미 이해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먼저 색채표현 확장 의미 이해교육의 목표와 교수·학습의 전체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태국어 색채표현과 유사성 유무의 기준으로 중급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의 목록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목록을 마련하여 색채표현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과 유의점 등을 제시하였다. 중급 학습자들의 경우 모국어 대응 표현이 있는 색채표현을 선정하고 고급 학습자를 위해서는 모국어에서 나타나지 않은 색채표현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최초로 한·태 색채표현을 비교·대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색채표현 확장 의미 이해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추후 연구들을 통해 좀 더 구체화된 교육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ems from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terms and color perception. Color is one of the fundamental perceptions though, the color we visually stimulated and the color our brain interpreted and recognized are different. Color term is the result of perceptions of color that has been interpreted by our brain and retrieved from personal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affected by ecological environments. Therefore, color terms differ not only in language but also in how we conceptualize them. In other words, a socio-cultural environment influence both how we express color and what we conceptualize by color. Not only the ‘literal meaning’ that describes the optical color but color terms also express the ‘extended meaning’ which conceptualize by color or the object with a specific color. And the last one is a complicated task for different cultural language speakers or learners. Base on this, Thai learners who disaffiliate with the culture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color terms, especially their ‘extended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 Accordingly, on the purpose of helping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extended meaning of Korean color expression, the extended meaning of Korean and Thai color express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on Korean color expressions were analyzed while how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understand the literal meaning and extended meanings of Korean color expression was studied by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Besides, this study had surveyed how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experience and demand for learning on the extended meaning of Korean color expression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group based on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level. Analysis of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extended meanings of Korean color expression showed that the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due to cognitive differences in color and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Also, the study participants used not only the context comprehension skill but also knowledge of color expression derived from the mother tongu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bout Korea to grasp the extended meanings of Korean color expression. These results were intimated that the color expression education plan should be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se points to provide the teaching method for Thai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II and III, this study constructed a teaching method for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intermediate learners was designed with an educational content composed by focusing on extended meaning of Korean color expressions which there is an adjustment expression in Thai. On the other hand, the teaching method for advanced learners was compos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the concepts of metaphor and metonymy,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of the extended meaning of the color expression in which there is no adjustment expression in Thai. This research suggests how to teach the extended meaning of Korean color expression for Thai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is significant for being an initial step for study color terms of Korean and Thai.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ai Korean learners understand the extended meaning of color expression and looking forward to furthering the research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for Thai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