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7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s Related to COVID-19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Authors
김상옥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건희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건강신념, 감염예방환경, 감염관리수행도를 파악하고 감염관리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소재 상급종합병원 및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5개의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총 161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0일부터 2020년 11월 26일까지 시행하였다. COVID-19 관련 지식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COVID-19 관련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건강신념은 Erkin과 Ozsoy(2012)의 도구를 기초로 COVID-19에 맞게 수정 보완한 COVID-19 관련 건강신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감염예방환경은 Han(2009)이 개발한 방어환경 측정도구를 안진선 등(2015)이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에 대한 방어환경에 관한 내용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만 21-30세가 69.6%으로 가장 많았으며, 78.9%가 여성이었다. 최종 학력은 학사 졸업이 91.3%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 근무 경력 및 응급실 근무 경력은 1년에서 6년 미만이 각각 56.5%, 55.9%로 가장 많았다. 2. COVID-19 의심 혹은 확진 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4.4%이며, 최근 1년간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는 98.1%이었다. 이전 신종감염병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37.3%이었고 신종감염병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는 62.7%이었으며,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교육 경로는 원내직무교육이 42.9%로 가장 많았다. COVID-19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는 89.5%이며, Level D 개인 보호구 탈착의 방법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89.3%). 개인 보호구 착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는 85.7%이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COVID-19 감염관리 교육방법은 이론과 실습병행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8.8%로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COVID-19 관련 지식은 25점 만점에 평균 19.53±2.21점이었다. 지각된 민감성은 4.37±0.65점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심각성은 4.16±0.69점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익성은 4.48±0.56점이었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3.36±0.94점으로 나타났고, 행동의 계기는 3.44±0.76점으로 나타났다. 감염예방환경은 평균 4.23±0.50점으로 나타났으며, 감염관리수행도는 평균 4.60±0.42점으로 나타났다. 4.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는 신종감염병 관련 교육을 받을수록(t=-2.64, p=.009), COVID-19 대비 개인 보호구 착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받을수록(t=-2.96, p=.004) 수행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COVID-19 관련 감염관리수행도는 지식(r=.29, p<.001), 지각된 심각성(r=.26, p=.001), 지각된 유익성(r=.25, p=.001), 지각된 장애성(r=-.27, p<.001), 감염예방환경(r=.41, p=.007)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감염관리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회귀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10.60, p<.001), 설명력은 32.7%로 나타났다.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결과, 지식이 높을수록(β=.18, p=.009),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β=.18, p=.010),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β=-.15, p=.033) 감염예방환경(β=.24, p=.002)이 좋을수록, 개인보호구 모니터링(β=.19, p=.006)을 받을수록 감염관리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OVID-19 관련 지식을 향상시키고 지각된 심각성을 강조하며, 지각된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 보호구 모니터링을 활성화하고 감염 예방을 위한 안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health belief,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related to COVID-19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61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in emergency department from November 10, 2020 to November 26. The date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was 19.53±2.21, perceived sensitivity was 4.37±0.65, perceived severity was 4.16±0.69, perceived benefits was 4.48±0.56, perceived barrier was 3.36±0.94, and cues to action was 3.44±0.76,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was 4.23±0.50, infection control practice was 4.60±0.42. 2.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shown to be relative to age (F=8.40, p<.001), nursing careers (F=11.04, p<.001) and their career in ER (F=8.11, p<.001), nursing experience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3.75, p<.001), education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2.21, p=.028),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t=-2.00, p=.015). Health belief related to COVID-19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shown to be relative to nursing experience to patients of COVID-19 (t=2.12, p=.035),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shown to be relative to education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2.31, P=.022). Infection control practice related to COVID-19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shown to be relative to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t=-2.64, p=.009), Monitoring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2.96, p=.004). 3.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not merely with the knowledge (r=0.29, p<.001), but also with the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r=.41, p=.007), Perceived severity (r=.26, p=.001), Perceived barrier (r=.25, p<.001). The knowledge and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r=.21, p=0.007). 4. In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related to COVID-19, the model accounted for 32.7% of the variability (R2 =.296). knowledge (β=.18, p=.009), Perceived serious (β=.18, p=.001), Perceived barrier (β=-.15, p=.033), infection prevention climate (β=.24, p=.002), Monitoring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β=.19, p=.006) were proven to be factors affecting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related to COVID-19.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practice, a systematic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emphasize the perceived benefits, and efforts to identify and eliminate perceived barri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onitoring and create a safe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