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27 Download: 0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에 대한 연구

Title
호흡기 내과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인력배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are Needs and Nurse Staffing in Pulmonology Nursing Units
Authors
조혜경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호흡기 내과병동 환자의 간호필요도를 분석하고 각 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근무조별 간호사 인력배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로 전라북도 내 C 상급종합병원의 호흡기 내과에 해당하는 2개의 일반병동(A, B 병동)과 1개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C 병동)의 간호필요도와 간호사 배치수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소속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 동안 입원 후 퇴원한 환자의 재원 중 간호필요도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는 환자수준의 성별, 나이, 주상병명, 부상병 개수와 병동수준의 월별 병상가동률을 조사하였다. 일반병동의 간호필요도는 한국형 환자분류도구(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General Ward, KPCS-GW)로 측정된 환자분류점수와 환자분류군을 수집하였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필요도는 중증도·간호필요도 평가도구로 측정된 점수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점수는 일반병동에서는 ‘환자분류 총 점수 합’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는 ‘간호활동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의 합’을 사용하였으며, 해당 점수를‘하루 평균 환자 1명 당 간호필요도’로 변환하여 ‘간호사 1명 당 환자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일반병동의 환자분류군 ‘3군’, ‘4군’에 해당하는 환자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활동 2점 이상’, ‘일상생활 수행능력 3점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를 중증 환자로 분류하고 각 병동의 일별 전체 환자 중 중증 환자의 비율로 계산하여 간호사 배치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Version 9.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최대값, chi-square 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1년 동안 재원환자 2,622명으로 남자 1,684명, 여자 938명이었으며, 전체 평균연령은 70.10세였다. 재원일수 평균은 A병동(일반병동) 13.39일, B병동(일반병동) 19.60일, C병동(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19.10일이었다. 부상병 개수 평균은 A병동 1.31건, B병동 1.15건, C병동 1.34건이었으며, 각 병동의 월별 병상 가동률 평균은 A 병동 75.1%, B 병동 94.7%, C 병동 87.9%였다. 입원환자의 주상병명은 ‘호흡계통의 질환’이 53.2%를 차지하였다. 2. 일반병동의 간호필요도 중 간호활동 지표에서는 ‘투약 및 수혈’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일상생활 수행능력 지표에서는 A 병동 ‘위생’, B 병동 ‘기동성’이 가장 많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인 C 병동에서는 간호활동 지표 중‘호흡간호’가 대부분이었으며, 일상생활 수행능력 지표에서는 ‘배변&배뇨’가 가장 많았다. 3. 일반병동인 A 병동의 간호필요도 평균은 22.37±1.67점, 최소값 17.15점, 최대값 26.29점, B 병동의 간호필요도 평균은 18.02±1.71점, 최소값 14.63점, 최대값 25.31점이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인 C 병동의 간호필요도 평균은 2.16±0.67점, 최소값 0점, 최대값 4.63점이었다. 4. 일반병동의 중증 환자 구성은 환자분류군 ‘3군’과 ‘4군’에 해당하는 환자로 A 병동 53.3%, B 병동 21.0%를 차지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중증 환자 구성에서 ‘간호활동 2점 이상’은 전체 환자의 30.5%, ‘일상생활 수행능력 3점 이상’은 전체 환자의 18.9%를 차지하였다. 5. 일반병동의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수의 평균은 A 병동 낮번 8.05명, 초번 7.91명, 밤번 15.24명, B 병동 낮번 10.25명, 초번 10.43명, 밤번 18.87명이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인 C 병동에서는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수의 평균은 낮번 5.53명, 초번 5.58명, 밤번 6.31명이었다. 6. A 병동의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 비율이 높을수록 근무조별 간호사 1명 당 환자수는 감소하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간호필요도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B 병동에서의 간호필요도와 각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는 낮번(r=.048, p=.360)과 초번(r=-.038, p=.467)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간호필요도가 증가할수록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232, p<.001). 중증 환자의 비율은 증가할수록 낮번(r=-.256, p<.001)과 초번(r=-.244, p=<.001)의 간호사 1명 당 환자수는 감소하여 간호필요도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밤번 간호사 배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38, p=.469). C 병동의 간호필요도는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124, p=.018),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r=-.228, p<.001), 중증 환자 비율이 증가할수록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간호활동 2점 이상’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낮번(r=.134, p=.010)과 초번(r=.123, p=.018)의 간호사 1명 당 환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호흡기 내과 병동에서는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의 비율에 따른 일관된 각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A 병동에서는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의 비율에 따른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B 병동에서는 간호필요도가 증가할수록 밤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가 증가하여 간호사의 업무과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 병동에서는 간호필요도가 증가할수록 낮번 간호사 1명 당 환자수가 증가하였고, ‘간호활동 2점 이상’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번과 초번의 간호사 1명 당 환자수가 증가하여 근무조별로 차별화된 새로운 배치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병원 행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간호필요도와 중증 환자의 비율을 각 근무조별 간호사 배치수준과의 관계로 파악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근무조별 간호사 인력배치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변수로서 근거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간호필요도에 기반한 간호사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이를 통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needs and nurse staffing in pulmonology unit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used a retrospective design. A total of 2,622 patient medical records from a tertiary hospital in Jeollabuk-do were collected. The nursing needs of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nd discharged between September 1, 2019 and August 31, 2020 were analyzed. ‘Patient classification score' and ‘patient classification group' were used to reflect nursing needs in the general unit (KPCS-GW), and nursing need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were used as the severity and nursing needs assessment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s, chi-square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AS Version 9.4.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needs and nurse staffing by duty in the general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In the general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there was no consistent nurse staffing for each duty according to the nursing needs and the ratio of serious patients. In unit A, nurs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nursing needs and ratio of severe patients. However, in unit B, higher nursing needs could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on night duty (r=.232, p<.001). In unit C,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during the day increased as nursing needs increased. The higher the ratio of 'two or more points of nursing activities', the higher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during the day (r=.134, p=.010) and evening (r=.123, p=.018), suggesting that nurse staffing should be managed based on new standards differentiated by nursing needs and severe patient ratios. In conclusion, patient's nursing care nee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nurse staffing. Nurse staffing criteria according to number of beds should be converted to the number of patients instead. Thus, nurse staffing standards for each duty should be developed and evaluate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how measure nursing care needs by duty in relation to nurse staffing. Moreover, we should develop a nurse staffing program that considers variation in daily nursing needs to establish efficient staffing guidelin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