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치매 환자 가족 돌봄 제공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치매 환자 가족 돌봄 제공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who are taking care for demented family members
Authors
조아람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 환자 가족 돌봄 제공자의 치매 지식과 치매 두려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A 대학병원 신경과 외래에 내원하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 135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심의 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은 후 2020년 9월 25일부터 10월 16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치매 지식은 치매 지식도구를 이용하였고, 치매 두려움은 한국형 치매 두려움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Ⅱ를 번안 및 수정, 보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6.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질병 및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치매 두려움과 치매 지식은 two-sample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검정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치매 지식은 평균 10.53±1.69점(0~15점)이었으며, 치매 두려움은 평균 44.77±28.35점(0~120점),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120.13±28.46점(5~200점)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지식을 확인한 결과 치매 지식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t=2.678, p=.008), 대학교 졸업 군이 초등학교 졸업 군 보다 높았다(F=2.808, p=.04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두려움을 확인한 결과 치매두려움 정도는 80대 이상 군에서 60대 보다 높았고(F=6.486, p=.002), 기혼한 대상자가 사별한 대상자 보다 높았으며(F=2.700, p=.048), 배우자인 경우 사위인 경우 보다 높았고(F=5.330, p=.002),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초과 200만원 이하인 군에서 300만원 초과 군 보다 높았다(F=3.945, p=.010).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정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t=2.405, p=.018), 80대 이상보다 60대에서 높았으며(F=4.933, p=.009),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교 졸업 군에서 초등학교 졸업보다 높았고(F=3.995, p=.009), 며느리인 경우 배우자인 경우보다 높았으며(F=6.301, p=.001), 월 평균 수입이 200만원 초과 300만원 이하인 군에서 100만원 이하인 군보다 높았고(F=3.162, p=.027), 치매 환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높았다(t=-2.127, p=.035). 3. 연구 대상자의 치매 지식과 치매 두려움(r=-0.374, p<.001), 치매 두려움과 건강증진행위는(r=-0.546,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치매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는(r=0.357,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다중회귀분석결과, 연구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6, p=.048), 학력(β=-.19, p=.027), 치매 두려움(β=-.46, p<.001) 이었고, 여자인 경우, 초등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 치매 두려움이 낮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의 건강증진행위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성별과 학력에 영향을 받으며 치매두려움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노인 가족 구성원의 인구사회학적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치매 두려움 감소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간호 중재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s who are taking care of demented famliy memb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5th. 2020 to October 16th. 2020 from 135 participant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ementia knowledge, fear of dementia,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participant’s dementia knowledge score was 10.53(±1.69) and fear of dementia level was 44.77(±28.35),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was 120.13(±28.46). 1. Dementia knowledg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t=2.678, p=.008), educational background(F=2.808, p=.042). Fear of dement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F=6.486, p=.002), marital status(F=2.700, p=.048),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5.330, p=.002), average monthly income(F=3.945, p=.010).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t=2.405, p=.018), age(F=4.933, p=.009), educational background(F=3.995, p=.009),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6.301, p=.001), average monthly income(F=3.162, p=.027), coresidence with patient(t=-2.127, p=.035). 1. Dementia knowledge and fear of dementia was negative correlated(r=-0.374, p<.001), also fear of dementia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oo(r=-0.546, p<.001). Dementia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 correlated(r=0.357, p<.001). 1.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ex(β=-.16, p=.048), educational background(β=-.19, p=.027), fear of dementia(β=-.46, p<.001). This regression model explained 36.0% of the variances (F=6.382, p<.001). Through the researc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dementia patients’s dementia knowledge and fear of dementia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existed. and then it turns out that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re gender, dementia fear,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lationships with the patients. Therefore strategic intervention plan is needed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dementia pati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