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반려동물에 대한 유대감이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반려동물에 대한 유대감이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Bonds with Companion Animal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 Analysis of the Moderate Effect of Types and Contents of Companion Animal Videos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본 연구는 반려동물 산업이 커지면서 동시에 늘어나고 있는 반려동물 학대로 인해 반려동물을 대하는 태도와 의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반려동물에 대한 유대감이 반려동물에 대한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반려동물에 대한 생명존중의식 뿐 아니라, 반려동물에서 더 나아가 자연환경에 대한 생명존중의식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같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두 변인들의 관계를 반려동물 영상들이 조절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있었기에 다양한 반려동물 영상들을 분류한 후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미디어의 유형(TV프로그램, TV뉴스,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미디어의 내용(특별한 반려동물, 반려동물 학대, 훈련 및 교육, 반려동물 일상)으로 나누어 두개의 조절 변인으로 조절 효과를 살펴봤다. 설문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총 326명의 응답을 얻은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반려동물에 대한 유대감은 생명존중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대감은 반려동물 생명존중의식과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 두 종속 변인들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어 유대감이 많을수록 생명존중의식도 같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절 변인들이 반려동물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유대감을 조절하였는지 검증해보았다. 미디어 유형 중 반려동물 생명존중의식에 조절하는 유형은 TV프로그램과 TV뉴스였다. 그 중 TV프로그램이 가장 크게 조절을 하였다. 이어서 미디어 내용인 특별한 반려동물, 반려동물 학대, 훈련 및 교육, 반려동물의 일상 중에서는 훈련 및 교육과 반려동물의 일상이 조절 효과를 보였으며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훈련과 반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가 더 큰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셋째, 조절 변인들이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유대감을 조절하였는지 검증해보았다. 미디어 유형 중에서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조절 효과를 보였으며 인스타그램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두 번째 조절 변인인 미디어 내용의 조절 효과에서는 특별한 반려동물, 반려동물 학대, 훈련 및 교육, 반려동물의 일상 중 유대감과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 관계를 조절하는 미디어 내용들은 없었으나 반려동물 일상은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 공존하는 사회에 필요한 연구로 반려동물에 대한 유대감이 반려동물 생명존중의식과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연구인 것에 의미가 크다. 또한, 어떠한 미디어의 유형과 내용이 반려동물과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반려동물을 비롯한 자연환경 생명존중의식을 위한 콘텐츠 제작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학문적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sought to explore attitudes and consciousness toward companion animal due to the growing companion animal’s industry and growing number of companion animal abuse.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at bond on companion animal will affect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not only companion animal’s life respect consciousness but also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natural environment. Moreover, there was a question of whether companion animal video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so we sorted out various companion animal video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djustment. We divided the types of media(TV programs, TV news, YouTube, Instagram) and the contents of the media(special companion animals, companion animal abuse, training and education, companion animal's daily lives) to examine the moderate eff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fter receiving a total of 326 responses from people living in South Korea. First of all, research shows that the bond between companion animal affec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The bond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life respect consciousness for companion animal and natural environment. So, the tighter bond, the greater the consciousness of life respect. Second, we have verified whether the moderate variables showed moderation of the bond to the life respect consciousness for companion animals. Among the media types, TV programs and TV news were the ones that moderated. Between them, TV programs showed higher effect.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ining and education’ and ‘daily lives of companion animals’ from media contents moderated the variables. The contents of training companion animals and educating them had a greater effect. Third, we have verified whether the moderate variables showed moderations of the bond to the life respect consciousness for natural environment. Among the media types, YouTube and Instagram showed a moderating effect, and Instagram showed a greater effec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were no media content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nd and life respect consciousness for natural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daily lives of companion animals directly affected life respect consciousness for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what types and what contents of media affects companion animal’s life respect consciousness in a society that coexist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was the first study to see if the bonds of companion animals affect companion animal’s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natural environmen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academic study to help explore ways to create contents for the consciousness of life respect for companion animals and natur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