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준비도가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준비도가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hort-Term Longitudinal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itie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on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Authors
원윤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Abidin(1988)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모델(Parenting Stress & Parenting Behavior Model)과 Bronfenbrenner(1979)를 주요학자로 하는 가족생태이론(Family Ecology Theory)을 이론적 틀로 하여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종단 연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자료 중 2014년도(7차, T1)에 조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2015년도(8차, T2)에 조사한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7~8차년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942가구의 만6세(T1)부터 만7세(T2)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은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Kindergarten Cohort(ECLS-K)의 Home Environment, Activities, and Cognitive Stimulation(HEQ) 중 일부 문항을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번역한 뒤, 제 3자에 의해 역 번역한 내용을 ECLS로부터 사용 허가를 취득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과 권희경(1999)이 개발한 문항을 참고하여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자체 제작한 척도를, 유아의 학습준비도는 Murphey와 Burns(2002)가 제작한 학습준비도 측정도구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번역한 뒤 예비조사를 수행하여 문항을 확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척도는 이은해 등(2008)이 제작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SPSS 23.0 프로그램(IBM Co., Armonk, NY)과 AMOS 23.0(I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검증하였다. 두 모형을 비교·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간명성과 경로계수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으로 채택된 경쟁모형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와 양육행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간접 경로는 모두 유의하였다. 먼저, 유아기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를 통한 간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은 낮았고,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이 낮을수록 유아의 학습준비도가 낮았으며, 낮은 수준의 학습준비도는 학령진입기 아동의 낮은 학업수행능력으로 연결되었다. 다음으로,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를 통한 간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어머니들은 긍정적 양육행동을 덜 나타내었고, 긍정적 양육행동을 덜 나타낼수록 유아의 학습준비도가 낮았으며, 학습준비도가 낮을수록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이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와 양육행동 및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종단적 경로를 통해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초등학교 입학 직전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양육행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특히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모-자녀 상호작용 활동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쳐 1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에 학령진입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 종단적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령진입기 아동의 인지‧학습적 발달의 선행 변인으로서 유아기 학습준비도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가정 및 영유아보육/교육기관의 협력적 연계와 교육적 지원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과 바람직한 양육특성 및 아동의 인지발달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과 학습준비도와 학업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hort-term longitudinal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itie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on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For this study, Abidin's(1988)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model and family ecology theory with Bronfenbrenner(1979) as the principal scholar were applied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Data were drawn from the 7th (T1) through 8th (T2) wave data (2014~2015)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 total of 942 mothers of 6- to 7-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and was selected as a final model.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below: First, regarding the indirect path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ities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higher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lower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ities, and the lower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ities, the lower the level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low level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was attributed to the low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higher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less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and the less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the lower the level of th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furthermore, the lower children's academic ability at school entry.  In conclusion, the present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explor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had effects on first-grade children's academic ability. This study evoked academic interest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just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in relation to first-grade children's academic ability.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s a leading variable in cognitive and learning development of children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the cooperative connec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rom home and child-care institutions have been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early childhood, and to make efforts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to increase desirable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Thu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to enhanc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