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의사소통,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Title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의사소통,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among Mother-Child Communicat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Mothers and Adolescent Children : Focusing on Actor and Partner Effects
Authors
조연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는 Bowen(1966)의 가족체계이론과 Cook과 Kenny(2005)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델 및 Ledermann, Macho와 Kenny(2011)가 제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델을 기초로,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와 남녀 청소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13~16세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 총 249쌍(4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자녀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부모-청소년 의사소통 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ACI)를 민하영(1991)이 부모용과 자녀용으로 번안한 것을 어머니용과 자녀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자녀 갈등은 모-자녀 간 불평 및 불만 척도(Conflict Behavior Questionnaire, CBQ)(Prinz, Foster, Kent & O'Leary, 1979)를 황영은과 도현심(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Keyes, Wissing, Potgieter, Temane, Kruger와 van Rooy(2008)가 개발한 단축형 정신건강 척도를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2012)가 번역하고 타당화한 한국형 정신건강 단축척도(Korean Mental Health Continum Short-Form, K-MHC-SF)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갈등, 심리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남자 청소년의 경우,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여자 청소년은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자기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갈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는 남녀 청소년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녀 청소년 모두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 자기효과와 간접적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남녀 청소년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선 자기효과에 있어,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대방효과에 있어,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양방향성이 강조되는 청소년기 모-자녀 관계에서 서로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적 변인과 성차를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족체계적 접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담적 개입 및 가족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uided by family systems theory (Bowen, 1966),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Cook & Kenny, 2005) an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Macho & Kenny, 2011), the present study examined actor-partner effects among variables including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Furth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actor-partner effects of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via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whether the differed in female and male adolescents. The researcher surveyed 249 dyads of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age 13-16) in South Korea. There were partial actor and partner effects among mother-child communicat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atified by sex, there were significant partial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erceived communication q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ale adolescents and mothers; whereas, for female adolescents and mothers, only actor effects of perceived communication exerted partial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in the actor-partner effect of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mothers and adolescen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case of boy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was partially 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girls, only the actor effect was significant. The next set of analyses added perceived conflict as an indirect pathway linking perceived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showed both partial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erceive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erceived level of conflict among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 final analysis examined the sex differences for the aforementioned indirect pathways. There were sex differences in the indirect actor effects, in that mother’s and children’s own perceived communication had differential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conflict. The indirect partner effects also differed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mphasize the bidirectionalit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dyadic process in which th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 children affect themselves as well as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mphasize the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Utilizing a family systems approach, this study’s findings can aid in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family policies that improve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