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부인암 생존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Title
부인암 생존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ducational Needs for Sexual Health and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s according to the Stages of Survivorship in Gynecologic Cancer
Authors
배문경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부인암 생존자는 암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심각한 성건강 문제를 경험하며, 이러한 성건강 문제는 생존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부인암 생존자는 성건강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의료현장에서 성건강 문제에 대한 교육과 상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성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생존단계에 따른 부인암 생존자의 다차원적인 성건강 교육요구도를 이해하는 것과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인암 생존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의 차이와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존단계별 특성이 반영된 성건강 교육프로그램 및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두 대학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를 방문한 부인암 생존자 13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월 9일부터 2019년 11월 13일까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신혜숙과 송아영(2004)의 성건강 교육요구도 36문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Warren(1995)이 개발한 Family Sex Communication Quotient를 하상희, 이주연, 정혜정(2006)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15문항의 부인암 생존자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 도구로 수정ㆍ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version 21.0을 이용하여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은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점수의 순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 질병 특성, 성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존단계별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의 차이를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인암 생존자 137명은 급성 생존단계 48명(35.0%), 확장 생존단계 45명(32.8%), 영속적 생존단계 44명(32.2%)으로 나타났다. 2. 부인암 생존자의 성건강 교육요구도는 각각의 생존단계별로 성생리 영역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도출한 성건강 교육요구도 최우선 순위는 성생리 영역에서 급성 및 확장 생존단계는 ‘수술 후 받아야 하는 정기적인 신체검진’, 영속적 생존단계는 ‘배뇨곤란과 배변장애’ 로 나타났다. 성심리 영역에서 급성 및 확장 생존단계는 ‘수술 전의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는지 여부’, 영속적 생존단계는 ‘수술로 인한 감정변화(우울, 불안감)에 적응 할 수 있는 대처 방안’, 성적 상호작용 영역에서 급성 생존단계는 ‘성교 시 복부나 골반의 통증’, 확장 및 영속적 생존단계는 ‘요실금’으로 나타났다. 3. 부인암 생존자의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은 생존단계별로 정보적 영역이 가장 낮 게 나타났다. 4. 부인암 생존자의 일반적, 질병 관련,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건강 교육요구도는 급성 생존단계에서 40대 이하이며(F=3.32, p=.045), 재발 되지 않고(t=-2.24, p=.030), 암 진단 전 성관계 빈도가 1개월 1회 이상이며(F=4.22, p=.021), 성건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t=-2.12, p=.039)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확장 생존단계에서 암 진단 전 성관계 빈도가 1개월 1회 이상이며(F=3.93, p=.027), 최근 한 달간 성관계가 있는 경우(F=2.12 p=.040), 영속적 생존단계에서는 자궁경부암과 난소암 생존자의 성건강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F=4.57 p=.016). 5. 부인암 생존자의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은 성건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생존자의 경우 급성 생존단계(t=2.91, p=.006)와 영속적 생존단계(t=2.35, p=.02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확장 생존단계에서는 암 진단 전 성관계 빈도가 6개월 1회인 경우(F=4.45 p=.018), 부부 친밀감이 암 진단 이후 증가된 경우(F=3.49 p=.040)에 따라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부인암 생존자의 성건강 교육요구도와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371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인암 생존자는 생존 기간 동안 우선적으로 성생리 영역의 교육을 필요로 하며, 생존단계에 따라 성건강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는 각각의 생존단계에서 부인암 생존자가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부인암 생존자는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이 향상될수록 성건강 교육요구도가 증가하며, 생존단계에 따라 성건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암 진단 전 성관계의 빈도가 높고, 암 진단 후 부부친밀감이 증가한 경우에 의료진과의 성의사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의료진과의 성의소통을 개선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and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according to the survival stage of female cancer survivors, and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exu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nursing interventio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surviva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2019 to November 13, 2019 on 137 surviving women's cancer who were hospitalized or visited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In this study, the sexual health education needs of Shin Hye-sook and Song Ah-young (2004) were also analyzed using 36 questions, and the Family Sexual Communication Quotient developed by Warren (1995) was transformed by Ha Sang-hee, Lee Ju-yeon, and Jung Hye-jung (2006) using it as a modification tool with cancer survivors in 15 paragraph.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factor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c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version 21.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men’s cancer surviv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48 acute cancer survival stages(35.0%), 45 extended cancer survival stages(32.8%) and 44 permanent cancer survival stages(32.2%). 2.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for female cancer survivors were the highest in the field of sexual physiology for each stage of survival. The highest priority for sexual health education needs derived by region was "regular physical examinations after surgery" in the area of sexual physiology, and "vacuum difficulties and defecation disorders" in the stage of permanent cancer survival In the field of sexual psychology, acute and extended cancer survival was shown as 'whether it could return to preoperative daily life', permanent cancer survival was 'response to changes in emotions (depression, anxiety) due to surgery', sexual interaction was 'pain in the abdomen or pelvis during sexual interaction', and 'incontinence' for extended and permanent cancer survival stages. 3.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of female cancer survivors showed the lowest information area for each stage of survival. 4.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for female cancer survivors based on general, disease-related, and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are in their 40s or younger in the acute cancer survival stages (F=3.32, p=.045), no recurrence (t=-2.24, p=.030), the frequency of sexual intercourse more than once a month before cancer diagnosis (F=4.22, p=.021), where there is no experience in sexual health education (t=-2.12, p=.039) shows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ally. At the extended cancer survival stage, the frequency of sexual intercourse before cancer diagnosis is greater than once a month (F=3.93 and p=.027), if they have sex in the last month (F=2.12 p=.040). During the permanent cancer survival stages,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for survivors of cervical and ovarian cancer were high (F=4.57 p=.016). 5.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according to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of female cancer surviv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in the acute cancer survival stages (t=2.91, p=.006) and permanent cancer survival stages (t=2.35, p=.024) of survival for survivors who have received sex health education. In the extended cancer survival stages, it was shown that couples communicate better with medical staff if their intimacy increased after cancer diagnosis (F=3.49 p=.040) and if the frequency of sexual intercourse before cancer diagnosis was once every six months (F=4.45 p=.018). 6.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of female cancer survivors and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amounts of correlation (r=.371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female cancer survivors need priority education in the area of sexual physiology during their survival, and that the priorities of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vary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ir survival.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basis for identifying what is needed for the female cancer survivor at each stage of surviv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cancer survivors have increased sexu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s as they improve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have more experience with sexual health education depending on the stage of survival, have more frequent sex before cancer diagnosis, and have increased marital intimacy after cancer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ubsequent studies that can actively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to improve sexu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