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1 Download: 0

간이식 수혜자의 중환자실 재실기간 영향요인

Title
간이식 수혜자의 중환자실 재실기간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uthors
노자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건희
Abstract
본 연구는 간이식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실한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특성과 중환자실 재실기간을 확인하고 중환자실 재실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S시 A대학병원에서 2018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간이식 수술 후 외과계중환자실에 입실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234명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재실기간의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해당 기관의 임상데이터를 직접 검색하고 추출할 수 있는 임상 연구 데이터 지원 시스템인 SUPREME을 사용하여 관련 변수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Program 25.0을 이용하여 각각 기술통계, t-test, chi 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중환자실 재실기간은 평균 5.68일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연장된 중환자실 재실기간인 5일 이상의 재실기간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54명(24.1%)이었다. 2) 영향요인을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수술 전 요인에서는 독립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가 없었고, 수술 중 요인에서는 수술 중 농축 적혈구 수혈량이 많을수록 재실기간이 연장될 확률이 1.03배(95% CI=1.00~1.07) 높았다. 수술 후 요인에서는 인공호흡기 유지시간이 길수록 중환자실 재실기간이 연장될 확률이 1.03배(95% CI=1.00~1.06) 높았고, 수술 후 승압제를 사용한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재실기간이 연장될 확률이 3.06배 높았으며(95% CI=1.17~3.01), 섬망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재실기간이 연장될 확률이 4.57배(95% CI=1.60~13.02) 높았다. 중환자실 입실 시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APACHEⅡ 점수가 높을수록 1.09배(95% CI=1.01~1.19) 재실기간이 연장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간이식 수혜자의 중환자실 재실기간에 대한 연구이며, 간이식 수혜자가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는 건강 문제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환자실 재실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연장된 중환자실 재실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질적인 간호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교육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재실기간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추후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근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중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ICU) after Liver transplantation. Patient’s data for those admitted to the SICU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is study enrolled 234 patients of 18 years and older, who had undergone a liver transplantation and had been admitted to the SICU. The variables used for analysis were factors influencing prolonged ICU stay and clinical outcomes. Thos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5.0. Associations between clinical factors and prolonged ICU stay were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reshold for significance was P 0.05. The averag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234 patients in this study was 5.68 days, and 54(24.1%)patients who sta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for more than 5 days. The probability of prolonging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1.03 times higher (95% CI=1.00~1.06, p=.031) as the ventilator time increased, 1.03 times higher (95% CI=1.00~1.07, p=.037) as greater the amount of red blood cell transfusion during surgery, 3.06 times higher (95% CI=1.17~3.01, p=.023) as using inotropics i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higher the APACHEⅡ score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prolonging the length of stay by 1.09 times (95% CI=1.01~1.19, p=.023). In the case of delirium, the probability of prolonging ICU length of stay was increased by 4.57 times (95% CI=1.60~13.02, p=.004)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develop delirium. Health care providers in ICU should be aware that patients who admit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nd have higher disease severity are more considered to reduce their ICU length of st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